소개글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특성 학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평생교육 개념과 필요성
1.1. 평생교육의 정의
1.2. 평생교육의 필요성
1.2.1. 인간의 욕구 충족
1.2.2. 학교교육의 보완
1.2.3. 변화와 혁신을 위한 필요성
2. 평생교육 참여 방식
2.1. 원격교육을 통한 평생교육 참여
2.2.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3. 평생교육기관의 특성 및 조직유형
3.1. 평생교육기관 조직의 고유한 특성
3.2. 평생교육기관에 적합한 조직유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평생교육 개념과 필요성
1.1. 평생교육의 정의
평생교육의 정의는 "한국평생교육법 제2조에서는 평생교육을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하고 학력보안교육, 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이 포함된 모든 형태의 조직적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평생교육은 학교 정규교과과정이 제외된 교육활동이며 학력보완 교육 등 모든 형태의 교육이자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이다.
1.2. 평생교육의 필요성
1.2.1. 인간의 욕구 충족
평생교육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헤르즈버그의 욕구 2요인 이론에 따르면 만족 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일과 관련해 타인에게 인정받으며 자신의 업무에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익히며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또한 매슬로우는 욕구 5단계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사회적 욕구가 평생교육과의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간은 미완성의 존재는 자신의 개발을 통해 이상 또는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데 이는 자아실현의 욕구라고 할 수 있다. 자아실현 욕구는 평생교육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가 평생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은 자신을 미완성 존재로 여기며 누구든 계속해서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한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집단, 사회에 속하기 위해서 자격을 얻기 위한 학습을 하게 되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학습을 지속적으로 하게 된다.
1.2.2. 학교교육의 보완
평생교육은 인간의 교육이 가정, 학교, 사회에서 전 생애동안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육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참고 자료
김남선, 「평생교육론」, 형설출판하, 2019.
김신일, 「평생교육론」, 교육과학사, 2019.
정민승, 「평생학습, 또 하나의 오래된 미래」, 에피스테메, 2021.
류영철,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제(미래학습사회를 위한)」, 교육과학사, 2022.
임태희(2016), 평생교육기관의 조직문화가 평생교육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