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마트병원 구축 사업추진 계획
1.1. 사업 개요
1.1.1. 추진배경 및 필요성
신종 감염병 시대의 새로운 의료의 패러다임 대두이다. COVID-19 팬데믹 사태와 같은 위기 의료상황에서 드러나듯이, 감염관리, 중환자관리, 중증외상 등 고도의 의료를 담당할 수 있는 의료자원은 매우 부족하다. 특히, 지역별 의료 공급의 불균형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의료인력과 자원의 부족이 극심하다. COVID-19 팬데믹 사태와 같은 감염력이 높은 질환이 등장하였을 때, 폭발적인 수요 증가를 수용해낼 수 있는 격리병동의 수와 관련 의료진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의료자원 활용의 효율성 증대 및 위기 의료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지역중심의료의 접목을 통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의 의료 스마트병원'이라는 새로운 의료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1.1.2. 사업추진 범위
사업추진 범위는 의료 스마트병원 선도 모델 구축을 위한 5대 핵심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지역 감염병 환자 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이는 위험도 예측, 환자 분류, 진단 보조 기능을 포함한다. 둘째, 지역단위 원격 생체징후 모니터링을 통한 고위험군 선제적 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셋째, 감염병 의료기관 원격협진 시스템 구축이다. 넷째, 위치 동선 추적 기반의 원내 감염 확산방지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이다. 다섯째, 스마트 병실 구현을 통한 비대면 진료 포함 병실업무 자동화이다.
이러한 5대 핵심 서비스는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품 도입과 동시에 스마트병원 서비스의 실증 및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 다인실 병원 환경에 최적화된 Plug & Work 방식의 게이트웨이를 활용하여 병원 환경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글로벌 기업의 제품과도 호환되어 글로벌 스마트병원 솔루션 시장 개척에 용이하다. 실시간 데이터와 분석 기반의 Insight 정보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의료 감염병 대처에 최적화된 개선이 가능하다.
1.2. 추진목표 및 계획
추진목표 및 계획은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지역 감염병 환자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지능형 환자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확진자, 자가격리자, 능동감시자, 환자분류를 신속하게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내 의료자원 현황을 감안하여 가장 최적의 치료 시설로 확진자를 배정하려 한다.
지역단위 원격 생체징후 모니터링을 통한 고위험군 선제적 관리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징후 모니터링을 통해 생활치료센터 입소 확진자, 자가격리자, 능동감시자의 상태감시와 위치동선관리를 동시에 추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자·격리자·감시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선제적인 치료 수준 관리를 시행하여 중증 환자로의 전이를 방지하고자 한다.
감염병 의료기관 원격협진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지역 내 생활치료센터, 감염병전문병원, 중증환자 치료병원, 국가지정음압병상 병원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원격협진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 상태 변화에 따른 협진 및 치료 시설 재배정을 시행하고자 한다.
위치 동선 추적 기반의 원내 감염 확산방지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병원 내 방문객 출입 관리와 동선 추적을 통한 시공간 상관성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접촉자 파악을 신속하게 시행함으로써 원내 확산을 막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병실 구현을 통한 비대면 진료 포함 병실업무 자동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실시간 의료기기 수량 및 위치 파악, 원내 검사 시약 냉장·냉동 보관 환경 유지 등 의료진들의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의료진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와 계획을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