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복음, 전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9.30
10,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용서, 복음, 전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음 전도로서의 선교
1.1. 복음 전도와 선교의 개념 정리
1.2. 복음 전도에 대한 건설적 이해

2. 복음 전도 훈련 프로그램의 이해
2.1. FAITH 전도 프로그램의 개관
2.2. FAITH 전도 프로그램의 실제

3. 변화하는 시대 속 복음 전도의 방법론
3.1. 자신의 약함에 대한 인정과 신뢰
3.2. 성령의 능력에 의지한 전도
3.3. 상황에 맞는 복음 전달의 전략

4. 복음의 내용과 메시지
4.1.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
4.2.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4.3. 재림과 새 천년왕국의 약속

5. 전도의 실천적 방법론
5.1. 그리스도의 사랑의 모습 보이기
5.2. 복음의 진리 선포하기
5.3. 성령의 능력 의지하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음 전도로서의 선교
1.1. 복음 전도와 선교의 개념 정리

복음 전도(evangelism)는 비기독교인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말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여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도록 하는 것이다. 복음 전도의 역사는 신약성경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중세 시대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선교(mission)라는 용어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복음 전도라는 용어의 사용은 줄어들었다.

한편, 선교는 복음 전도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비기독교인에 대한 사역뿐만 아니라 제3세계 민족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선교는 지리적으로 거리가 있는 비기독교 문화권에 대한 사역을 의미한다. 반면에 복음 전도는 같은 서구 문화권 내의 비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역을 말한다.

이처럼 선교와 복음 전도는 그 개념과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두 용어가 점점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부 학자들은 선교, 전도, 증거 등의 용어가 서로 호환 가능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에큐메니칼주의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복음 전도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있다. 이는 선교라는 용어가 풍기는 식민주의적인 어감에 대한 반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교황 바오로 6세도 사도적 권고문에서 선교 대신 복음화와 유사한 파생어를 214회 사용하였다.

요컨대, 복음 전도와 선교는 개념상 차이가 있지만 점차 그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현대 교회에서는 복음 전도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선교가 풍기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1.2. 복음 전도에 대한 건설적 이해

복음 전도는 하나님이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신도들과 교회에게 맡긴 사명이자 과업이다. 죄에 묶여 노예 노릇을 하는 인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뜻을 받아 교회가 세상을 사랑으로 섬기고 가르치며 치유하는 모든 사역이 선교라고 할 수 있다.

복음 전도와 선교를 동일한 개념으로 혼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양자의 구분이 중요하다. 복음 전도는 교회의 모든 선교적인 활동에 녹아있어야 하며, 선교와 분리되거나 복음 전도와 선교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복음 전도는 교회의 전체 사역의 본질이 되어야 하며, 선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복음의 전도는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이 이 땅에 인간의 몸을 입고 내려와 사랑과 가르침으로 사역을 행하셨다.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써 모든 죄악을 이기시고 예수님을 통해 이 땅에 다시 하나님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우리는 예수님의 사역인 복음의 사건들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이를 전함으로써 전도한다. 즉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이미 유효하게 하신 일과 기적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과정이다. 전도자는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고 복음의 사건들을 중개하는 매개자의 역할이며, 입으로 선포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이다.

복음 전도는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구체적인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회개란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죄의 습관들을 버리고,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아 삶의 태도와 양식을 통째로 바꾸는 변화를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즉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하나님의 형상을 잃었던 인간이 다시 하나님을 향해 시선으로 돌리고 죄의 용서를 빌고 하나님과 다시 연결되는 삶을 사는 것이다. 따라서 복음은 good news, 즉 기쁨의 소식이다. 복음은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긍정과 희망의 메시지이다.

복음을 전도하기 위해서는 '말'로만 너무 내용을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은 위험하며, 이는 사람이 머리로 이해한 것에 복음을 한정할 수 있다. 오히려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겸허히 받아들이며 겸손한 마음으로 사랑과 봉사를 통해 기쁨의 소식을 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복음을 전한다는 것은 교파간의 개종이 아니며, 또한 교회의 성장이나 확장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교회의 영향력과 성도의 믿음을 이용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는 권력을 도구로 사용하면 안 된다. 성공적인 교회 성장에 대한 잘못된 이해는 전도를 통해 신도를 확보하는 데 몰두하게 하여, 세례받은 교인의 수, 성찬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수를 세어 물리적으로 "회원"을 늘려가는 데 혈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참된 교회의 성장은 물리적으로 성도의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뜻을 바로 알아 사역을 감당할 수 있는 교회의 일꾼을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복음 전도의 본질은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고 복음의 사건들을 중개하는 것이며,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말씀만이 아닌 사랑과 봉사의 행동으로 복음을 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의 성장이나 확장이 아닌 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분의 일꾼을 세워나가는 것이 참된 교회의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2. 복음 전도 훈련 프로그램의 이해
2.1. FAITH 전도 프로그램의 개관

FAITH 전도 프로그램의 개관은 다음과 같다.

FAITH는 바비 웰치(Bobby Welch)와 더그 윌리암스(Doug Williams)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1982년 플로리다 주 데이토나 비치에 소재한 제일 침례교회에서 첫 만남을 가졌으며, 마태복음 28장 19절~20절 말씀을 토대로 FAITH 교회 학교 전도전략을 탄생시켰다. FAITH는 단어 그 자체의 의미를 고려하여 "믿음"으로 번역될 수 있으나, 다섯 개의 영어 알파벳 F.A.I.T.H를 따라 복음을 제시하는 방식을 시도하여 "천국에 가기 위해, 또는 구원을 얻기 위해 용서(Forgiveness)가 필요하고, 그 용서는 모든 사람에게 유효(Available)하나, 한 가지 불가능성(Impossible)이 있는데, 그것은 죄를 회개(Turn)하는 것이고, 그 결과 우리는 천국(Heaven)을 소유할 수 있다"라는 순서로 소개한다.

FAITH의 주요 목적은 멤버들이 효과적으로 복음을 나눌 수 있도록 하고, 교회학교를 강화하고 세우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들이 FAITH 방문 개요를 분명히 이해하도록 하고, 팀 단위로 실천하며, 전도대상자를 교회에 등록시키고 섬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FAITH의 대상은 교회학교와 예배를 통해 이미 교회와 연관을 맺고 있는 사람, 교회와 무관한 사람, 교회 행사에...


참고 자료

바비웰치, 더그 윌리암스. FAITH 번역팀 역.「전도전략 FAITH에 여정」. 요단출판사, 2004.
http://www.wbcjax.com/FAITH
http://m.blog.naver.com/wonho7277/220484825990
고유경. "초대교회 성장 원리의 현대목회 접목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웨스트민스터대학원대학교, 2017.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4988680
고훈 ( Ko Hoon ). "이만형의 초기 한국 근대 복음주의 선교와 계몽주의와의 상관관계 연구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 기독교 문명화, 계몽, 그리고 일방적 선교." 복음과 선교 50.- (2020): 85-113., http://www.riss.kr/link?id=A10694657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