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유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개요
1.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정의
1.2. 공유경제에서 공유 모빌리티의 의의
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2.1. 자전거 공유 서비스 - 따릉이
2.2.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 라임(Lime)
2.3. '유사택시' 모빌리티 플랫폼 - 타다
3. 공유숙박서비스가 호텔 산업에 미치는 영향
3.1. 공유숙박서비스로 인한 호텔 이용의 감소
3.2. 공유숙박서비스의 스펙트럼 확대: 고급화 영역 침범
4. 공유숙박서비스에 대한 호텔 업계의 대응 방안
4.1. 스파 및 웰니스 서비스의 확대
4.2. 독자적인 패키지 상품 개발
4.3. 레스토랑 및 바의 차별화
4.4. MICE 산업과의 연계 및 활성화
5. 공유 모빌리티와 공유숙박서비스의 미래
5.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한계와 과제
5.2. 공유숙박서비스와 호텔 산업의 상생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개요
1.1.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정의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는 공유경제의 일종으로, '공유'와 '모빌리티(이동수단)'의 합성어이다. 공유경제란 이미 생산된 제품을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는 협력 소비경제를 의미한다. 공유 모빌리티는 이러한 공유경제가 이동수단에 적용된 모습이다.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하나의 이동수단을 한 사람만이 이용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하나의 이동수단을 여러 명이 공유하여 이용함으로써 자본주의 시대에 대응하는 '공유'라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는 주로 제공 회사에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장비를 보유하고 주기적인 관리를 한다.
1.2. 공유경제에서 공유 모빌리티의 의의
공유경제에서 공유 모빌리티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경제적으로 봤을 때, 하나의 이동수단을 한 사람이 이용한다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하나의 이동수단을 여러 명이 이용함으로써 자본주의 시대에 대응하는 '공유'라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즉, 공유 모빌리티는 공유경제의 일환으로서, 개인이 소유한 이동수단을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 모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모빌리티는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개인이 소유한 이동수단의 이용률을 높이면 자동차 생산과 폐기에 소요되는 자원과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같은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공유 모빌리티는 대중교통 등 기존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 내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경제의 핵심 분야인 공유 모빌리티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2.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사례
2.1. 자전거 공유 서비스 - 따릉이
서울시에서 운영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따릉이'는 자가차량이 없는 '뚜벅이'들에게 가장 대표적인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따릉이'는 1일권 혹은 정기권을 구입하여 해당하는 기간동안 횟수 제한 없이 대여할 수 있다. 대여소는 주로 지하철역 혹은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장소에 있으며, 원하는 장소에 '따릉이' 대여소 신청을 할 수도 있다. 기존의 '쏘카'나 '그린카'와 같은 카셰어링과 다르게 '따릉이'는 지정된 대여소에 반납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편리하다. '따릉이'의 이용 건수의 절반은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되어 있는데, 도보로는 멀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엔 가깝거나 환승이 불편한 경우에 주로 이용하곤 한다. '따릉이'의 1일 이용요금은 1시간에 1천원으로 상당히 저렴하며, 여의도 한강공원의 자전거 대여소에서 1시간에 2천원으로 대여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편리함과 가성비까지 갖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울시의 교통체증과 대기오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사회 및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의 '따릉이'뿐만 아니라 창원시의 '누비자', 대전의 충청도 방언을 응용한 '타슈', 세종시의 '어울림', 광주광역시의 '타랑께'와 같은 공공자전거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2.2.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 라임(Lime)
'라임'은 근래에 가장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이동수단인 공유 전동 킥보드 시장의 기업 중 하나이다. '라임'은 2017년 1월에 최초로 시작된 미국의 유니콘 기업으로,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전동 킥보드는 매연이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이라는 것이 환경적인 면에서의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인 '따릉이'와 마찬가지로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유용한데, 직접 페달을 밟아야 하는 자전거보다 더욱 편리하다. 사용 방법은 '라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운전면허증을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여와 반납을 하는 시스템이다. 대여와 반납 장소는 지정되어 있지 않고 이전 사용자가 반납한 장소에서 대여하는 방식으로 이용한다. 전동 킥보드 공유를 제공하는 기업은 '라임'을 시작으로 '빔(Beam)', '킥고잉', '고고씽', '씽씽' 등 다양하다. 이용을 지원하는 지역은 주로 서울과 같은 수도권인...
참고 자료
남시현 기자, “다가오는 스마트 모빌리티 공유, 어떤 업체들이 서비스하고 있는가?”, 동아일보, 2019.07.11.
대학생 서포터즈, “공유모빌리티, 상생과 편리함이 만나다.”, 서울주택도시공사 NAVER블로그, https://blog.naver.com/together_sh/221643394774, 2019.09.09.
서민준 기자, “[취재수첩] ‘타다 실패’ 반복하지 않으려면”, 한국경제, 2020.06.08.
서혜미 기자, “’거리의 무법자' 전동킥보드 … 지자체들 골머리”, 한겨례, 2020.06.04.
김민정⋅이화령⋅황순주(2016.12), 『공유경제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기대효과와 우려요인 및 정책적 함의』
노영훈(2017.12), 『공유경제시대에서의 조세정책적 과제: 숙박공유를 중심으로』, 29p-30p
안희자(2017.03), 『주요국의 숙박공유 정책 동향과 시사점』, 1p-3p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숙박공유 스타트업의 부상과 전통 호텔의 대응』, 1p-5p
박병률(2017.07.11), ‘공유경제 경험자 88% “호텔·택시 등 이용 줄였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707111827001
뉴스위크한국판(2019.06.17), ‘에어비앤비 성장에 긴장하는 호텔들’,
http://newsweekkorea.com/?p=25418
최종결(2017.12.12), ‘국내 호텔업 낙관 전망속 o2o 시대 대응력 갖춰야’, 스타트업투데이, http://www.startup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1743
Mia A. Mackman(2018.12.12), ‘[HVS Report] 에어비앤비 생태계에 맞서는 호텔과 리조트’, 호텔아비아 편집국, http://m.hotelavia.net/news/articleView.html?idxno=1794
김재범(2019.07.07), ‘한국은 국제회의 유치 강국, 지난해 세계 2위 기록’, 스포츠동아,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707/96360728/2
박은하·박광연(2019.02.27.) ‘출생 ’최저‘ 사망 ‘최고’…저출산·고령화 심화,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902272137015
오힘찬(2019.03.12), ‘에어비앤비가 호텔투나잇을 인수한 이유’, 테크 칼럼니스트,
https://medium.com/@him_chan/%EC%97%90%EC%96%B4%EB%B9%84%EC%95%A4%EB%B9%84%EA%B0%80-%ED%98%B8%ED%85%94%ED%88%AC%EB%82%98%EC%9E%87%EC%9D%84-%EC%9D%B8%EC%88%98%ED%95%9C-%EC%9D%B4%EC%9C%A0-32061c07998a
장난감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이용 경험과 대여 장난감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초구 장난감 도서관을 중심으로_(최세나 저. 2018.02)
영유아를 둔 부모를 위한 장난감대여 및 육아지원실 서비스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