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래사회와 교육 혁신
1.1. 미래 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필요성
교육은 변화할 세상에 대비하여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그 세상을 살아가고,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의 교육과정은 미래의 모습과 사회의 변화를 예상하여 반영해야할 책무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 있어 미래 사회의 변화와 그에 대비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는 항상 중요한 화두였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최근의 사회 변화는 이전에는 겪지 못했던 속도와 양상이다.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경기가 우리에게 주었던 충격에서 보듯이 기술의 혁신이 인간을 위협하고 있고 우리가 가르쳐야 하는 아이들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적 활동까지 대체해갈 세상에서 살아가야한다. 이런 변화 속에 지금과 같은 교과 중심의 탈 맥락적인 지식 전달 위주의 학교 교육이 미래에도 필요할지 의문이다. 학교 교육이 변화해야 우리의 아이들이 미래를 살아갈 수 있고, 공교육과 학교가 생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과 문제의식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처럼 미래사회는 지금과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교육의 방향 또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지식이 폭증하고, 학문 간 융합이 활성화되는 등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의 역할과 지위가 재편되고, 경제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등 사회적 변화도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비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새로운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방법의 혁신이 요구되는 것이다.
1.2.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등장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등장은 지식 습득 중심의 기존 교육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단순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넘어 실제 삶에서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등장 배경에는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자리 잡고 있다. 전통적인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많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보다는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 창의적 문제 해결, 의사소통 등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OECD와 같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DeSeCo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국제적 움직임과 더불어 각국의 교육정책 입안자들도 기존의 지식 중심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개념이 도입되었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 시 학생들의 성공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중심으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지식의 암기가 아닌 배운 내용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1.3. 핵심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핵심역량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역량은 최근 교육 개혁의 핵심적인 의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역량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없는 상황이다. 역량 개념은 본래 직업 혹은 직무와 관련하여 논의되던 개념이었다. McClelland는 기존의 적성검사나 지능검사가 개인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성취를 예언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역량이 상황에 자발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으로 이는 삶 속에서 성공과 실패를 예언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역량은 특정한 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예측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관심받기 시작하였다.
핵심역량은 "사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를 의미한다. 즉, 핵심역량은 모든 학습자가 길러야 할 필수적이며 보편적인 능력을 말한다. 이는 기존의 교과 및 학문영역에 따른 '교수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 왔던 교육에서,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나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별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 모델을 수립하고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의 함양은 지식과 기능을 도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