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이해
1.1. 정의 및 발생률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은 자연적인 진통과 관계 없이 임신 37주 전에 양막이 파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조산의 원인 중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PPROM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위험요인이 알려져 있다. 가장 주요한 위험요인은 이전의 조산 경험과 이전의 PPROM 경험이다. 이전에 조산을 경험하였거나 PPROM이 발생했던 산모는 재발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자궁경관의 결함도 PPROM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경관무력증은 양막의 조기 파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선진부의 늦은 진입 또한 이와 관련이 있다. 자궁 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도 PPROM이 발생할 수 있는데, 양수과다증이나 다태임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모의 연령, 다산부, 흡연 등도 PPROM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고령 산모나 다산부의 경우 자궁의 기능적 약화로 인해 PPROM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은 양막의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임신 중 적은 체중 증가도 PPROM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충분한 영양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양막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염도 PPROM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질 내 감염, 특히 B군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은 양막의 파열을 유발할 수 있다. 임신 초기 3개월 이상의 산전 질출혈 역시 감염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종합하면, PPROM의 주요 원인 및 위험요인으로는 이전의 조산 및 PPROM 경험, 자궁경관의 결함, 자궁 내 압력 증가, 산모의 나이와 다산 여부, 흡연, 부적절한 체중 증가, 그리고 감염 등이 있다.
1.3. 증상 및 진단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증상과 진단은 다음과 같다.
조기양막파열의 가장 전형적인 증상은 임산부의 질에서 많은 양의 액체가 갑자기 흘러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분비물은 따뜻하고 묽은 상태이며, 투명하거나 혼탁하거나 붉은 빛을 띠기도 한다. 산모의 속옷이 다 젖을 정도로 질에서 양수가 흘러나오게 된다. 또한 자궁수축의 증상이나 혹은 태아 운동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PROM의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산모에게 파막된 시간과 누수되는 액체의 특성을 확인해야 한다. Nitrazine 검사나 Actim 검사를 통해 양막파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질경검사와 초음파검사를 통해 자궁경부를 관찰할 수 있다. 질경검사는 자궁경부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4. 산모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
조기양막파열(PPROM)은 산모와 태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첫째,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감염 위험이 높다. 양막이 파열되면 자궁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조기양막파열 후 12~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으로 자궁 내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조기양막파열은 산후 자궁내막염의 주요 위험 요인이 된다. 전치태반의 위험도 2~3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자궁 내 감염은 태아의 패혈증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조기양막파열 임신 34주 전 발생 시 신생아 사망률은 37%까지 높아진다. 또한 조기분만으로 인한 합병증들이 있는데, 호흡곤란증, 뇌실내출혈, 동맥관 개존증, 괴사성 장염 등이 대표적이다.
종합하면, 조기양막파열은 산모의 감염 위험을 높이고 태아의 안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신속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PPROM의 치료 및 관리
2.1. 보존적 치료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보존적 치료는 임신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치료법이다. 37주 미만의 감염이 없는 PPROM 환자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보존적 치료의 목표는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