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 실습- 의사소통 분석
1.1. 실습기관 및 대상자 정보
'1.1. 실습기관 및 대상자 정보'에 따르면 의사소통 분석 실습이 진행된 곳은 00병원이며, 3명의 대상자 정보가 제시되어 있다.
첫 번째 대상자는 성별 남성, 연령 30세, 상세불명의 정신장애와 틱장애를 진단받은 000님이다. 두 번째 대상자는 성별 남성, 연령 65세, 상세불명의 조현병과 상세불명의 비타민 B 결핍을 진단받은 *** 님이다. 세 번째 대상자는 성별 남성, 연령 35세, 상세불명의 조현병과 주의나 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행동장애를 진단받은 ###님이다.
따라서 실습기관은 00병원이며, 실습대상자는 정신장애를 가진 30세 남성 000님, 65세 남성 ***님, 35세 남성 ###님이라고 볼 수 있다.
1.2. 언어적 의사소통 분석
언어적 의사소통 분석은 대상자의 말하기, 경청, 질문, 응답 등 의사소통의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의사소통 행동과 그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사례에서는 대상자가 선호하는 게임에 대해 말하며 대화를 시작하였다. 대상자는 게임에 대해 친숙하고 관심이 많음을 보였고, 상담자는 이를 바탕으로 개방적인 질문을 하여 대상자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게임을 통해 타인과 교류할 수 있어 좋다고 하며,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였다. 상담자는 이를 명료화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여 대상자의 신뢰를 얻고 친밀감을 높였다.""
두 번째 사례에서는 병동 내 갈등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대화를 시작하였다. 대상자는 "마인드 컨트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였고, 상담자는 이를 바탕으로 개방적인 질문을 하여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을 이끌어냈다. 대상자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마인드 컨트롤을 하는데, 상담자는 이를 반영하며 대상자의 자기조절 능력을 격려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사례에서는 대상자의 구강 관리 행동에 대해 상담자가 정보를 제공하며 대화를 시작하였다. 대상자는 치아 아픈 것에 대해 표현하였고, 상담자는 이를 바탕으로 가글 사용을 제안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담배 흡연 행동에 대해 대상자가 설명하자 상담자는 이를 반영하고 점진적인 감량을 제안하는 등 대상자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세 사례에서 언어적 의사소통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관심사, 감정, 경험, 문제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자가 적절한 반응과 개입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치료적 관계 형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3. 비언어적 의사소통 분석
내담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는 상담자와 대화를 나누는 동안 눈을 마주치며 반응하였다. 이는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행동이다. 내담자가 꾸준히 상담자의 눈을 마주치며 대화에 참여하는 모습은 상담자에 대한 신뢰감과 집중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둘째, 내담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정 변화를 보였다. 게임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즐거운 표정을 지었지만, 아들과의 관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표정이 어두워졌다. 이러한 표정 변화는 내담자의 감정 상태를 잘 반영하고 있다.
셋째, 내담자는 상담자의 말에 경청하며 고개를 끄덕이거나 웃음을 보이는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상담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이해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행동이다. 내담자가 상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모습은 상호작용의 원활함을 보여준다.
넷째, 내담자는 때때로 손짓이나 몸짓을 사용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다. 예를 들어 게임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테블릿 PC를 내미는 행동을 보였고, 아들과의 관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손으로 몸을 감싸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비언어적 행동은 내담자의 감정 상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
종합하면, 내담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상담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 감정 표현, 경청 및 이해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내담자의 전반적인 의사소통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1.4. 의사소통 평가 및 분석
첫 번째 의사소통 분석(1.4. 의사소통 평가 및 분석)에서는 내담자와 상담자 간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내담자는 게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으며, 상담자와 함께 게임을 공유하는 것을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담자는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