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데이터 윤리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쟁점
1.1. 빅데이터의 정의와 핵심기능
1.2. 빅데이터 분석기법 소개
1.3. 빅데이터의 순기능과 역기능
1.4.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사례 분석
1.5. 빅데이터의 윤리적 쟁점과 개선방안
1.6. 빅데이터의 미래전망과 향후 방향
2.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
2.1. AI 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
2.2.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증가
2.3. 개인정보 유출 및 악용 위험
2.4.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
2.5. AI 기술의 수용: 긍정적 측면
2.6. AI 기술의 제한: 부정적 측면
3.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의 관계
3.1. 새로운 위험적 요소
3.2. 민주주의 기본질서
3.3. 민주적 의사결정
3.4. 대의민주주의의 위협
4. AI 기술의 규제와 윤리 원칙
4.1. 국내적 제도, 원칙, 정책 및 법률
4.2. 국제적 제도, 원칙, 정책 및 법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윤리적 쟁점
1.1. 빅데이터의 정의와 핵심기능
빅데이터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 이를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와 통찰을 도출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빅데이터의 핵심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데이터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고객의 행동 패턴, 선호도, 구매 이력 등 다양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수집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와 통찰을 도출하는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소셜 미디어 분석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패턴과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실행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기업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 세분화, 마케팅 전략 수립, 신제품 개발 등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넷째,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빅데이터의 핵심기능은 데이터의 수집, 분석, 활용을 통해 기업의 의사결정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고객 니즈를 더 잘 이해하고, 신제품 개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1.2. 빅데이터 분석기법 소개
빅데이터 분석기법 소개는 다양한 기법들로 구성된다. 빅데이터는 방대한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다루므로, 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석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그중 대표적인 빅데이터 분석기법에는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웹 마이닝, 소셜 마이닝, 현실 마이닝 등이 있다.
데이터 마이닝은 대용량의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서 숨겨진 지식, 예기치 못한 경향, 새로운 규칙 등의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가치 있는 정보를 만들어낸다.
텍스트 마이닝은 자연어로 구성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패턴이나 관계를 추출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기법이다. 신문기사, 소셜미디어 게시글 등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웹 마이닝은 인터넷상에서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고 통합하는 것이다. 웹페이지, 검색 데이터, 클릭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소셜 마이닝은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글과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흐름이나 패턴, 사회의 여론 변화 추이 등을 파악하는 기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다.
현실 마이닝은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해 휴대폰, GPS 등의 기기를 통해 수집된 사회적 행동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실제 세계에서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행동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이처럼 빅데이터 분석기법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와 통찰을 도출하는 데 활용된다. 기업, 정부, 연구기관 등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이러한 기법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활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1.3. 빅데이터의 순기능과 역기능
빅데이터의 순기능은 현재 빅데이터가 그 이용분야가 넓을 뿐만 아니라 당연히 발전해야 하는 것이 마땅한 기술이라는 점이다. 그 예로는 서울의 심야버스와 구글의 독감 예측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심야버스의 경우 유동인구의 교통수요량을 조사해 이를 기반으로 늦은 시간에 주요 장소를 기점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정책이다. 이에 대한 반응은 아주 긍정적이었다. 더불어 구글도 미 질병통제본부(CDC)보다 예측력이 뛰어난 것을 보면 이는 분명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순기능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공익을 위해 이용할 때의 이야기이다. 현실에서는 막대한 자본을 가진 대기업이 상업적으로 최대의 이익을 내기 위해 이용될 것이 분명하고 그렇게 이용이 되고 있다. 국민은행의 사례를 보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후불교통 카드를 출시했다. 이는 고객의 편의를 위해 한 것도 맞지만 실제 목적은 이익창출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개인의 정보는 철저히 돈을 위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데이터들은 특정한 이익을 위해 이용하기에 정말 쉬울 것이다. 한 가지 가정을 해보자면 대선을 앞두고 있고 대선주자들은 국민들의 환심을 사려 할 것이다. 만약 검색어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한 관심분야(종교, 애완동물, 복지, 레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에 대한 정책과 후보의 이름을 보여준다면? 예상하건대 분명 좋은 방법일 것이다. 이렇듯 빅데이터는 이름이나 성별 나이 등이 없어도 충분히 사람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4.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사례 분석
현재 스마트폰의 활용, 데이터 관리와 분석 기술의 발전 등으로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기업에서는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관련 데이터를 생산하고 영업전략, 마케팅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행동 패턴 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숨은 니즈를 발견하고 행동의 변화를 예측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 등이 있다.
대표적인 기업들의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넷플릭스의 경우 자사의 시네매치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통해 고객이 해당 작품을 평가하고, 다른 고객들도 그 작품을 이용했다면 비슷한 선호도를 가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작품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넷플릭스는 이를 통해 시네매치 시스템의 정확성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두었고, 이용자 수가 두배로 증가하고 매출이 7배 성장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아이팟 등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제작·판매하면서 이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있다. 특히 음성인식 서비스인 '시리(Siri)'는 이용자의 질문이나 행동을 미리 예측해 최적의 답을 제시해줌으로써 빅데이터의 새로운 양상을 제시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익스체인지(Facebook Exchange)'라는 실시간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외부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가 페이스북에 접속하면 해당 방문 기록을 분석해 관련 광고를 사용자의 페이스북 이용 화면에 보이게 하는 방식이다. 광고 업체 애드롤(AdRoll)은 이를 통해 기존 페이스북 광고에 비해 최대 16배 이상의 비용 대비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관계관리(CRM)를 위한 수집 정보의 폭을 늘리고, 지역별 매출성향 또는 실수익 비중, 빈도수 등을 분류하여 고객을 세분화하여 관리하는 등 효율적 고객관리에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의 소비패턴 분석에 따라 매장 배치를 개선함으로써 매출을 증대시켰다.
이처럼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 이해와 마케팅 전략 수립,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5. 빅데이터의 윤리적 쟁점과 개선방안
빅데이터의 윤리적 쟁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보 폐기에 관한 문제가 있다. 기업들이 일정 시간이 지나도 정보를 폐기하지 않고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카드 3사의 유출 사태 때 유출된 정보 중에는 사망자에 관한 정보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카드 회사들이 사망한 고객들의 정보를 폐기하지 않고 보관해 왔음을 시사한다. 폐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법률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정보들이 지나치게 오랜 시간 보관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보 폐기에 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정보 관리자의 윤리 의식 문제가 있다. 국내 금융기업에서 발생한 유출 사태 중 대다수가 외부...
참고 자료
조성우, 빅데이터 시대의 기술
김동완,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조하현,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 문제점과 대책
Brynjolfsson, E., & McAfee, A. (2014). The Second Machine Age: Work, Progress, and Prosperity in a Time of Brilliant Technologies. W. W. Norton & Company.
Ford, M. (2015). Rise of the Robots: Technology and the Threat of a Jobless Future. Basic Books.
Tegmark, M. (2017). Life 3.0: Being Huma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Knopf.
West, D. M. (2018). The Future of Work: Robots, AI, and Automat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Davenport, T. H., & Ronanki, R. (2018).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Real World. Harvard Business Review.
김도윤 (2020). 인공지능기술과 인간의 책임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윤수정 (2020). 인공지능사회에서의 기본권. 공법연구.
김승래 (2018). 4 차 산업혁명과 AI 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 법학연구.
양천수, 인공지능 혁명과 법, 서울:박영사, 2020.
고학수 외 2인,“인공지능과 차별”,「저스티스」제171호, 한국법학원, 2019.
이상욱, 이호영, 인공지능(AI) 윤리와 법(Ⅰ)-AI 윤리의 쟁점과 거버넌스 연구, 세종: 한국법제연구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