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균관대학교 연구계획서 써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문제
1.3. 연구 방법
1.4. 기대되는 효과
2. 공과대학 남녀 성비율에 대한 조사 및 연구
2.1. 서론
2.2. 본론
2.2.1. 탐구준비
2.2.2. 탐구진행
2.3. 결론
2.3.1. 설문법 결과분석
2.3.2. 인터뷰법 결과분석
2.3.3. 제언
3.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모든 것
3.1. 개요
3.2. 학종에 대한 긍정적 의견
3.3. 폐단과 비리
3.4. 논쟁이 되는 부분
3.5. 학생부종합전형과 대학생활과의 연관성
3.5.1. 학생부 종합전형이 상위권 대학교에서 대폭 늘어나게 된 이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과학은 어린 유아의 일상생활에서 문제 해결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유아로 하여금 생활의 적응력을 보다 높여주고 자신감 있는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유아 과학교육의 동향은 지식과 기술을 암기하는 기능이 아닌 문제해결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맞아 모든 사람의 과학적 소양이 중요시 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의 목적은 과학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과학을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있다. 즉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모든 문제들을 과학적인 사고와 지식, 그리고 과학적 방법으로 해결하는 능력, 즉 과학적 소양이 중요하게 되었다.
유아는 분절되어 소개되는 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는 성인과는 달리 그들의 세계에 대하여 분리된 내용보다는 통합된 전체 경험을 통하여 경험하고 배우므로 유아에게 지식을 하나씩 조각조각 넣어주려고 하는 것은 유아의 입장에서는 의미 없고 지루한 연습에 불과하다. 유아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지식을 잘 통합하므로 가르치는 것도 의미 있는 상황 속에서 개념을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과학연극은 공연행위에 주목적을 두기 보다는 극형식을 통해 유아 자신의 과학적 상상력을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과학적 사실의 직접적인 전달보다는 그와 관련된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과학적 이해가 심화될 수 있으며 유아들은 연극에서 맡은 역할과 대사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의미를 경험적으로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과학연극은 학습자의 감정을 자극하고 심미적으로 즐거운 환경에서 시각적 기억을 제공함으로써 과학의 과정과 이미지를 바르게 정립할 수 있다. 또한 과학연극은 유아들에게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을 통합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에 유아에게 문학적 경험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관련 과학 활동에서 과학연극 활동으로 갈 수 있도록 상황과 맥락을 제공하는 가교의 역할을 하는 문학적 접근에 의한 과학교육이 필요하다. 이야기 문학은 줄거리가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보다 쉽게 사고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동화는 다양하고 흥미 진진한 주제와 정보를 포함하며 삽화가 매력적이로 아름답게 그려져 있어 이해하기 쉬우며 기억하기 쉽기 때문에 학습개념을 보다 명로하게 이해시켜준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인 접근 방식은 유아 주도적이며 과정 중심적인 과학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1.2. 연구 문제
이 연구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이 유아의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통해 유아에게 문학적 경험뿐만 아니라 관련 과학 활동과 과학연극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j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선정하였다. 이 유치원은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사의 경력 및 교육수준이 비슷한 이들 유아 중 20명은 실험집단에, 20명은 통제 집단에 배정한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며, 검사도구로는 전경원의 도형창의성 검사와 Tegano, Sawyers와 Moran(1994)의 검사를 기초로 하여 전형미(2000), 최은경(2001)등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한다. 창의성 검사의 각 영역별 검사 채점 방법은 검사지에 기록된 것을 토대로 채점기준에 따라 점수화하여 통계처리 한다. 문제 해결력 검사는 Tegano, Sawyers와 Moran(1994)의 검사를 기초로 하여 전형미(2000), 최은경(2001)등이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한다.
본 연구는 2013년 8월 29일부터 12월 13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창의성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한다. 둘째, 사전검사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한다. 셋째, 본 실험은 14주 동안 주 2회씩 총 28회에 걸쳐 실시한다. 넷째, 사후검사는 14주간의 실험이 끝나고 2013년 12월 9일~13일까지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t검증을 실시한다.
1.4. 기대되는 효과
본 연구의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 등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들이 동화를 활용하여 과학 연극 활동에 참여하면서 문제 상황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생각해내고,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며, 열린 사고로 접근하고 주변 사물과 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이 동화를 활용한 과학 연극 활동을 통해 문제 해결력 하위 요소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 해결에 대한 결론 도출 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들은 동화 속 등장인물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진술하며,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동화를 매개로 한 유아과학 연극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교육기관에서 동화를 단순히 듣는 데 그치지 않고 과학 연극 활동으로 연계함으로써 유아과학교육의 근간이 되는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 공과대학 남녀 성비율에 대한 조사 및 연구
2.1. 서론
대학을 다니면서 많은 학생들이 신기하게 여기는 존재 중에 하나가 바로 '공대생'이다. 특히 소수의 인원인 공대 여학생들은 남자, 여자와는 다른 성별로 구분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공대녀'에 대한 클리셰(cliche)는 다양하다. 공과대학 여학생들이 학교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수자이기 때문에 그런지는 몰라도 유독 공대 여성에 대한 유머가 자주 회자된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공대 여자는 과에서 자기 맘대로 남자를 골라 사귈 수 있다", "연애 못하는 공대녀는 바보"류의 이야기이다. 이런 맥락에서 몇 년 전 한 통신사 광고로 공대 여자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공대 아름이'라는 CF가 방송되었다. 광고에서는 아름이가 엠티를 못 간다고 하자 같은 과의 모든 남자들이 'I ♥ 아름' 이라고 써진 티셔츠를 입고 "아름아 같이가" 를 외치는 모습이 묘사된다. 물론 과장이 보태졌겠지만 남자 10명에 여자 1명꼴로 여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공과대학의 현실을 감안하면 마냥 과장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공대의 남녀 성비를 감안하면 쉽게 수긍이 가는 농담이다.
또한, 한...
참고 자료
강남희 (2010). 유치원에서 매일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정하 (2008).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교육부 (1995).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 1. 총론. 서울: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 (2000).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년 12월 17일 청와대에서의 ‘2011년 업무 계획’보고에서 의 창의적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초 중등 STEAM 교육 강화 발표.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2011). STEAM기반 교육용 로봇 활용 초등학생 대상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 컴퓨터 정보 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 집. 19(2), 221-224.
권영례, 박영충 (1997). 수학·과학 통합 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연구, 2(1), 121-16.
권지연 (2001). 유아 과학 교육의 문학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미, 김현주, 송현숙 (2002).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김균형 (2002). 연극의 교육적 사용방법에 대한 연구. 연극 교육연구, 7, 5-44.
김면성, 장현오 (2008).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47(1), 1-25.
김미경 (1997). 발견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김미숙 (2005).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민정, 김민진 (2009). 반복적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읽기 태도와 이야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4), 27-50.
김선아 (2012).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신곤 (2009).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 보육학, 57, 53-73.
김은미 (1996). 동화 만들기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미 (2003). 과학관련 동화를 통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은 (2001).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수행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주 (2007). 문학을 통한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보육학, 50, 229-252.
김정주 (2008). 동화를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 표현력 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 17(2), 125-136.
김진수 (2008). 기술 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김효정 (2005). 통합적 동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나지연 (2005). 과학 연극 수업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춘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미옥, 신현옥, 김영숙, 류칠선 (2000).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교문사.
민병욱 (2000). 교육연극의 기본원리, 민병욱 · 심상교(편),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PP49-76). 서울:연극과 인간.
박두란 (1999). 과학 동화가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상희 (1990). 이야기 내용에 대한 질문 방식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선홍 (2007).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기초한 물에 관한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개념이해와 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예원 (2008). STS 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 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은선 (2010). 과학연극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현선 (1996).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소정 (2002). 문학적 접근에 의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보건 복지부 (2007). 표준교육과정.
서은정 (1993). 유치원 아동의 이야기 꾸미기와 독서환경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주연 (1997).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통한 그림책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배란 (2002). 통합적 접근에 의한 물리적 지식 활동 경험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송정범, 이태욱 (2010).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5(1), 11-22.
송순임 (2002).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창의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은수, 안경숙, 유윤영 (1999). 통합적 접근에 의한 영유아 과학교육. 서울: 다음세대.
신재정 (2000). 역할놀이 학습이 아동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경숙 (2003). 유아 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병란 (2007). 그림책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상인, 최영신, 임희준 (2008). 과학 연극이 초등학생의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과학교육, 27(4). 328-340.
오채선 (2007). 유아교육기관 극놀이의 현장적용 한계와 가능성. 교육인류학연구, 10(2), 65-99.
옥영희 (2008). 표현활동과 탐구활동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질적 연구: 인지 중심유아 미술활동의 현상학적 접근. 조형교육 , 32, 275-305.
유준희 (1993). 과학역할놀이와 공연. 관악사.
윤정희, 나귀옥 (2006).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과학그림책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37-1.
윤혜경 (2007).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초등 과학교육,26(3), 260-266.
이경우, 이정환 (1989).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절절한 그림책-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양서원.
이경민 (2004). 유아과학교육. 정민사.
이경우, 이정환 (1989).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이경화, 이성숙, 김경화 (2010). 유아 언어 교육. 고양: 공동체.
이기숙, 조경자, 채종옥, 김소양 (1992).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2, 91-112.
이대균, 임자영 (2007).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2(6), 99-122.
이순덕 (2004). 동화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진 (1999). 그림책에 기초한 통합적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일련 (1998). 극화활동이 4, 5세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1999). 협동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현옥, 박정선 (2009). 영유아 교수방법론. 고양: 공동체.
임부연, 손은경, 오정희 (2010).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보육학, 65, 37-57.
정남미 (1996). 사회적 역할놀이가 유아의 말하기, 듣기, 쓰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동환, 정원주 (2004). 유아의 어휘력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언어프로그램-연극놀이 중심으로. 한말 연구 학회, 15, 267-284.
정옥주 (1997). 동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유진 (2009).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선서학위 논문.
조민아 (2007). 과학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조형숙 (1999). 예비교사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수업의 효과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19(2), 227-245.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 (2010).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지성애, 김낙흥, 심현정, 이상미, 심재연 (2009). 미술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공간능력 및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5), 307-330.
지성애, 박찬옥, 홍혜경, 김희정, 박유영, 문신혜 (2008) 동화에 기초한 과학극화
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6), 127-152.
차금선 (2003). 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채미영 (2003). 유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평가 준거 개발. 한국 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계숙, 김영중 (2005). 동화를 통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11, 53-73.
최순혜 (2005).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경 (2001). 문학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인숙 (2001). 과학 주제 중심 통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6(3), 1-2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연구실). 2011년 5월 19일자 PISA 과학 분야 관련통계.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사전: 용어편. 서울: 한국어사전 연구사.
한유미 (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황의명, 조형숙 (2005).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황은숙 (2009). STS 프로그램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정숙 (2009). 과학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정현 (2009). 창의력 사고력 계발을 위한 교육연극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홍정화 (2005). 유아를 위한 STS 접근 방법의 적용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Akerson, V. L. & Flanagan, J. (2000).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cience and language arts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45-362.
중앙대학교 [진로탐색을 위한 학과소개서]-공과대학편 p114-235
http://admission.cau.ac.kr/ipsi/dataroom.htm?bbsid=pds&ctg_cd=iphak&page=1&skey=&keyword=&mode=view&bltn_seq=97394
Campus Life 미디어 “공대생’에 대한 편견을 버려~ 공돌이? 공순이? 그들만의 비밀을 파헤치다!”
http://media.campuslife.co.kr/Media_View.asp?idx=15167
인터넷 한양 뉴스 “여성 공대생 편견 타파!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공대생들의 이야기”
http://www.hanyang.ac.kr/user/WeeklyUserList.action?command=print_view&work=pdf&weeklyId=2011-04-3-8
20대가 만드는 20대 대표 언론 고함 “공대 아름이의 진실 혹은 거짓 ‘여자는 공대가면 안되나요?’”
http://goham20.tistory.com/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