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너를 기다리는 동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 "너를 기다리는 동안" 분석
1.1. 작품 소개
1.2. 타자 인식
1.2.1. 간주관성과 타자성
1.2.2. 소유 양식과 존재 양식
1.3. 시 형식과 타자성
2. 황지우의 타자 인식
2.1. 타자 인식의 변화
2.2. 시 형식과 타자 인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 "너를 기다리는 동안" 분석
1.1. 작품 소개
작품 소개는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은 누구나 경험해 보았을 기다림의 심정을 표현한 작품이다."너를 기다리는 동안" 시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12행은 화자가 "너"를 기다리며 느끼는 설렘과 절망감을 보여주고, 12행부터 22행까지는 화자의 "너"와의 만남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다. 화자는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에서 "너"를 기다리며 모든 발걸음에 설렘을 느끼지만, 결국 "너"가 오지 않아 절망감에 빠진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자는 "너에게 가고 있다"며 "너"를 향한 의지를 보인다.
1.2. 타자 인식
1.2.1. 간주관성과 타자성
간주관성과 타자성은 황지우의 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황지우는 "밖으로 끌려나와 기호로 눌려졌을 때, 그 기호를 보고 다른 사람들도 똑같이, 비슷하게, 혹은 전혀 반대로 의심하고…떠올리고…느낀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그는 타자와의 소통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와 '다른 사람'이 서로 다른 주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들 사이에 "간주관성"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즉, 타자와의 소통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서로 다른 주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나'와 '너'는 독립된 존재이지만, 그들 사이에는 어떤 통하는 지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황지우는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면서도 그들 사이의 "간주관성"을 강조한다. 그에게 타자는 단순히 '나'와 다른 존재가 아니라, '나'와 소통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를 통해 그는 타자와의 진정한 관계 맺기를 지향한다.
1.2.2. 소유 양식...
...
참고 자료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신호』 (한마당, 1994)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지성사, 1983)
황지우, 『나는 너다』 (문학과지성사, 2015)
황지우 외, 『제 8회 소월시문학상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3)
콜린 데이비스, 『엠마누엘 레비나스 - 타자를 향한 욕망』 (다산글방, 1996),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까치글방,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