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보건의료는 단순히 치료와 예방의 영역을 넘어, 사회 전반의 정의와 형평성을 담아내는 중요한 분야이다. 현대 사회에서 의료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그 자원이 어떻게 분배되느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시장정의와 사회정의라는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이 충돌한다. 시장정의는 의료 서비스가 경제적 능력에 따라 효율적으로 분배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반면, 사회정의는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의료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가치를 내세운다. 이러한 두 정의의 차이는 보건의료 자원의 배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유경쟁 시장에서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기술화로 인한 전문화는 현대 의료 시스템의 필연적인 흐름이지만, 이는 인간적 관계를 소홀히 하고 비인간화를 초래할 위험도 있다. 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화 과정에서 환자는 종종 숫자나 데이터로만 취급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들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환자와 가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간호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2. 보건의료에서 시장정의와 사회정의
2.1. 보건의료에서 시장정의
보건의료에서 시장정의는 의료 서비스가 시장의 원칙, 즉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유롭게 배분된다는 개념에 기반을 둔다. 이 정의는 의료 서비스가 개인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원이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된다고 본다. 자유경쟁 속에서 의료 서비스는 재화처럼 거래되며, 그 대가를 지불할 수 있는 사람에게 최적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능력에 맞는 의료 서비스의 소비는 정의로운 것으로 여겨진다. 치료 서비스는 단기적으로 성과가 드러나기 쉽고 수익성이 높기 때문에, 시장정의의 논리에서는 많은 자원이 이쪽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정의의 이면에는 여러 문제가 존재한다. 예방적 차원의 서비스는 당장의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의료 자원은 주로 치료 중심으로 쏠리게 되고, 건강 예방 활동은 경제적 논리에서 벗어나게 된다. 미국의 민간 의료 시스템은 시장정의의 대표적인 예로, 의료 서비스의 대부분이 민간 보험사에 의해 좌우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자산이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빈곤층은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2.2. 보건의료에서 사회정의
보건의료에서 사회정의는 모든 인간이 건강보호나 최소한의 수입처럼 인간다운 생활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기본 개념에 기반한다. 시장정의가 개인의 안녕만을 고려한다면, 사회정의는 개인과 공동체의 안녕을 강조한다. 따라서 경제적 자원 부족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이 제한되는 것은 불공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즉, 공정한 분배는 시장정의에서 개인의 구매력이 아닌 필요에 기반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의료의 사회정의는 보건의료를 경제적 이익의 관점이 아닌 사회적 자원으로 본다. 건강은 공동의 책임이며 공동체의 안녕이 개인의 안녕보다 우선시 되고, 사회문제에 대한 공공적 해결책 활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시장정의에서 의료혜택을 제공받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평등한 접근은 기본적인 권리라는 관점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은 정당화된다. 지불능력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시장정의와는 반대로 보건의료에서의 사회정의는 정부가 의료자원을 형평성 있게 할당하는 데 더 효율적이라고 가정한다. 모든 사람이 동일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공공의 개입이 필수적이라고 본다. 사회정의는 예방적 의료 서비스에 중점을 두며, 장기적으로 의료비를 절감하고 사회의 건강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결국 보건의료에서 시장정의는 경제적 효율성을, 사회정의는 형평성을 강조하는 서로 다른 관점을 보여준다. 시장정의는 자유경쟁을 통한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중시하지만, 이로 인해 경제적 지불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