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췌장염 영향불균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췌장의 구조 및 기능
2.2. 췌장염
2.2.1. 급성췌장염
2.2.2. 알코올
2.2.3. 담석
2.2.4. 위험요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및 징후
2.5. 급성췌장염의 증상표
2.6. 진단 / 검사
2.7. 만성췌장염
2.8. 내과적 관리
2.9. 외과적 관리
2.10. 생활습관관리
3. 간호사정
3.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3.2. 성인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수집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4.4.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췌장염의 원인으로는 2가지가 있는데 음주나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음주 소비량은 OECD 국가 중 21위며, 아시아에서 1위이다. 매년 음주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음주로 인한 췌장염이 발병할 수 있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급성 췌장염은 보건 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따르면 2017년 36,354, 2018년 39,078명, 2019년 40,656명, 2020년 39,804명, 2021년 38,494 명으로 2019년에 비해 2021년에 환자는 감소는 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급성 췌장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병태 생리와 알맞은 간호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췌장의 구조 및 기능
췌장은 위 뒤에 위치한 길고 가느다란 장기이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 부분으로 구분되며 외분비샘과 내분비샘의 기능을 한다. 췌장의 외분비샘은 샘꽈리라고 불리는 분비단위로 다양한 효소를 포함한 알칼리성 췌장액을 분비한다. 분비 세포들의 집합체인 샘꽈리는 췌관으로 연결 된다. 췌관은 십이지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총담관과 합해진다. 췌장은 매일 1~1.5L의 췌장액을 생산한다. 췌장액은 투명하고 중탄산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 알칼리액은 산성미즙이 십이지장으로 들어올 때 산도를 중화하고 장내효소와 췌장효소의 활동을 위해 산도를 최적화 한다. 췌장액의 분비는 미주신경과 장호르몬인 세크레틴과 콜레시스토키닌에 의해 조절된다. 췌장액은 모든 종류의 음식 소화를 돕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리파제는 지방의 분해와 흡수를 촉진하고, 아밀라아제는 전분소화를 담당한다. 트립신, 키모트립신, 카복시펩티드 분해효소는 단백질 소화의 절반을 담당한다.""
2.2. 췌장염
2.2.1. 급성췌장염
급성췌장염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상태이다. 급성 췌장염은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염증 과정이다. 급성췌장염의 특징은 원인요인이 제거되면 증상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급성 췌장염은 급성 간질성과 급성 출혈성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급성 간질성 췌장염의 경우 췌장샘이 전체적으로 붓고 염증이 있으나 해부학적인 형태는 변하지 않고 출혈이나 괴사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 급성 출혈성 췌장염의 경우 출혈과 괴사가 발생하며 심한 경우 췌장의 광범위한 지방괴사뿐만 아니라 복강이나 흉강 그리고 피하조직도 괴사가 일어난다.
급성 췌장염의 발병 원인으로는 알코올, 담석, 고지방혈증, 췌장에 가해지는 외상이나 수술 시 조작,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중 췌관을 과도하게 팽창시키거나 담췌장관 팽대의 촉진 등과 같은 췌장의 외상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자극으로 인해 췌장에서 발생하는 병리적인 변화는 췌장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의 조기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상적으로는 이러한 효소들이 췌장에서는 비활성화된 형태로 분비되고 십이지장에서 활성화되는데, 췌장염인 경우 이러한 효소들이 장내로 분비되기 전에 활성화되어 췌장조직을 손상시킨다.
이 효소들의 활성화에 의해 췌장이 자가소화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되고, 점진적으로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고 더 많은 효소가 활성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과정이 만성화됨에 따라 췌장 실질조직의 파괴가 발생한다. 급성 췌장염 환자의 90%는 췌장에만 한정되나 환자의 10~15%에서 장기간의 병원 입원이 필요하고 합병증과 같은 이환율과 치사율을 나타내는 심각한 형태로 발전한다.
2.2.2. 알코올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오디관약근의 경련을 유발하며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시켜서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샘꽈리 세포의 세포막을 약하게 하여 세포가 쉽게 손상 되어 트립신 억제제의 양이 감소된다. 췌장의 지방대사와 전신의 지방 대사를 방해하여 고지혈증을 악화한다. 이처럼 알코올은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2.2.3. 담석
담석은 담즙 내 담즙성분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성되는 결정체로, 담석증은 급성췌장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담석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다가 췌관과 담관이 만나는 부위를 막아 췌장액의 배출을 방해하여 췌장염이 발생한다. 이 때 담즙이 췌장관 안으로 역류함으로써 췌장의 실질 조직이 손상되어 급성췌장염이 발생하게 된다. 담석은 고지방혈증, 급격한 체중 감소 등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중 췌관을 과도하게 팽창시키거나 담췌장관 팽대를 촉진하는 등의 췌장 외상도 급성췌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저혈압성 쇼크, 심폐 측로 형성이나 맥관염의 발생으로 인한 췌장의 국소 빈혈도 급성췌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2.4. 위험요인
급성 췌장염의 위험요...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서울:현문사. 338-344, 493-494.
대한종양외과학회 (췌장암) https://www.koreansso.org/general/general01_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21, p41-45 p387, p552-560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2019, 수문사, P142~143, 146~147
안지원 외, Pacific Manual 내과 vol.2 소화기, Pacific Books, 2022, p.18, P92-94
이종율 외, 포널스 임상매뉴얼, 2021, 포널스 출판사, p17-35
김정애 외 1명 공저,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2011, p44-45, p90-103, p142, p146
서울 아산병원-질환백과-급성 췌장염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3thDsInfo.do
OECD 음주소비량,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C06_OECD&conn_path=I2
서울 청년 클리닉, http://youthclinic.org/sub6_2.php
이미지출처
질병관리본부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
do?cntnts_sn=5248
윤은자 등 (2019), 성인간호학Ⅰ(9th ed), 경기도: 수문사
혈액검사 정상수치, https://blog.naver.com/shalstjs3/222153031696
데메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2277&cid=40942&categoryId=32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