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특수아 부모의 심리단계와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특수아 부모의 심리단계
2.1. 충격과 거부의 단계
2.2. 분노와 원망의 단계
2.3. 타협(교섭)의 단계
2.4. 침체의 단계
2.5. 수용의 단계
3. 특수아 부모의 심리단계에 대한 예시
3.1. 충격과 거부의 단계 예시
3.2. 분노와 원망의 단계 예시
3.3. 타협(교섭)의 단계 예시
3.4. 침체의 단계 예시
4. 특수아 부모 지원의 필요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녀의 출산은 자녀 양육을 맡은 부모에게 있어서 기쁨과 함께 책임과 어려움을 안겨주는 하나의 도전이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자녀 양육에 따르는 책임과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경험한다. 그러나 만성적인 질병이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장애를 겪고 있는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에는 질병에 따르는 특수한 요구들로 인해 부모가 겪는 양육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결국 가족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된다. 특수아동을 둔 가족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예를 들면 부모들 자신의 심리적인 부담, 특수장애아의 양육과 장래에 대한 근심, 부모가 갖는 심리적 혹은 양육에서의 무거운 책임감, 특수아들의 형제들이 갖는 심리적, 사회적인 열등감 내지는 가정에 대한 불만, 가족 외의 사람들과의 관계, 경제적인 부담, 사회적 지원의 결여 등이 있다. 특수아동을 출산한 부모들은 아동의 신체 또는 정신적인 특징으로 인해 출산 직후 장애아를 낳았다는 충격을 받으며, 특별한 대책 또는 지식 없이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한 연구에 의하면 특수아 부모들이 자녀의 장애를 수용한 시기는 6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3~4세였다. 그만큼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특수아동을 부모가 얼마만큼 빠르게 수용하는가에 따라 앞으로의 양육과 교육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특수아 부모의 심리단계
2.1. 충격과 거부의 단계
특수아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장애를 갖고 태어나거나 의료진으로부터 장애 진단을 받는 경우, 그 사실에 심리적 충격을 받고 객관적으로 증명된 사실을 거부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것은 고통스러운 현실이나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인간의 방어기제가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러운 특수아 부모의 심리적 반응이다. 특수아 부모들은 자녀의 장애 사실을 들은 뒤에 아이가 보이는 장애 증상이 다른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 해결될 수 있는 일시적인 질병이나 상해라고 여기고 의료진의 진단이 잘못되었다고 믿곤 한다. 그러나 이 심리단계에서 정신병리학적으로 고착될 경우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육자는 특수아 부모가 하는 이야기들을 수용적인 자세로 듣고, 함께 협력하여 특수아가 더 나은 삶의 질을 영유하는 방안을 고찰해야 한다.
2.2. 분노와 원망의 단계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가 불가역적임을 인정한 후부터 '분노와 원망'의 심리상태를 보이게 된다. 이 단계에서 특수아 부모는 자녀의 장애를 부정적인 형태로 수용하며 주변에서 도움을 주려는 사람, 간호사, 의료진, 친척, 배우자 등의 사람들에게 적대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특수아 부...
참고 자료
권재희,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와 장애부모 집단미술치료 사례." 한국재활심리학회 연수회 2009.- (2009): 269-286.
http://www.riss.kr/link?id=A107187480
김소영.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중다매개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http://www.riss.kr/link?id=T13737284
목연주, 박경. "발달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신체화와 Pendulation을 적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의 적용."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5.1 (2015): 27-45.
http://www.riss.kr/link?id=A101859077
정금란. "초등학교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http://www.riss.kr/link?id=T11591125
최정아. "일반아동 부모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국내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http://www.riss.kr/link?id=T11934212
특수아 부모교육론 교안
여광응 외 3인, 2003, <특수아동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