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021년 현재를 살아가는 국민들 중 한 사람으로서 취업을 준비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대변인이라는 생각이 든다. 청춘이라고, 남들이 빛나는 시기라고 말할 수 있는 20대에 즐겁게 보내는 기억도 많긴 하지만 나름 치열하게 열심히 공부하여 지내온 세월들이었다. 그러나 그렇게 경쟁밖에 존재하지 않는 세상 속에서 살아온 지 오래된 지금 주변 사람들의 학력, 스펙들은 점점 쌓여가는데 바늘구멍으로 낙타가 들어간다는 말이 현실화가 되듯 취업시장의 문은 정말 좁디좁아져 있다. '비정규직'이라고 명시하는 것은 정규직과 달리 근로 방식, 근로 시간, 고용의 지속성 등에서 보장을 받지 못하는 고용형태이다. 정규직과 달리 근로방식을 보장받지 못하는 대신에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고 하는 일에 적당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 대신에 비정규직 같은 경우에는 사내에서 어떠한 일을 겪든 간에 회사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외부 사람과 같은 사람의 취급을 받기 때문에 주변에서 서럽다는 표현을 하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 있다.
2. 우리 사회의 비정규직 문제
2.1. 비정규직의 정의와 특징
비정규직이란 정규 근로자와 다르게 근로 방식, 근로 시간, 고용의 지속성 등에서 보장을 받지 못하는 고용형태이다. 정규직과 달리 근로방식이 보장되지 않는 대신에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고 하는 일에 적당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회사에서 어떠한 일을 겪든 간에 회사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외부 사람과 같은 취급을 받기 때문에 주변에서 서럽다는 표현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정규직 근로자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비정규 근로자, 비전형 근로자, 비정형 근로자 등의 표현이 사용된다. 하나의 회사에 다니고 있는 사람들을 지켜보면 정규직, 비정규직, 공무직, 계약직, 무기계약직 등 매우 다양한 계급을 가진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들의 보이지 않는 계급사회가 사람들에게 크고 작은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2.2. 비정규직 문제의 발생 배경
비정규직 문제의 발생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이다. 기업들은 경영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규직 고용을 줄이고 비정규직 고용을 확대해왔다. 기업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고용 조정이 용이하고 인건비 부담이 낮아 유연한 인력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 변동에 따른 인력 감축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은 비정규직 활용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이다.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업 증가, 여성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은 노동시장의 유연성 요구를 높였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정규직 채용을 꺼리게 되었고, 대신 단기 고용계약, 파견근로 등 비정규직 활용에 주력하게 되었다.
셋째, 노동관련 법제도의 변화이다. 1998년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 2007년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정 등으로 비정규직 고용이 제도화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법적 규제를 회피하고자 했다.
넷째,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선호 차이이다. 고용주는 인건비 절감과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근로자는 정규직 일자리에 대한 선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선호의 불일치로 인해 비정규직 고용이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제도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비정규직 문제가 발생하고 심화되고 있다.
3. 비정규직 문제의 문제점
3.1. 고용 불안정성
비정규직 근로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고용 불안정성이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고용의 지속성이 낮고, 언제든 해고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생활 안정성을 크게 해치며, 개인의 경력 개발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도 장애가 된다.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의 고용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수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