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는 현대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으로 최근 그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많은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성인에게도 많은 불편감을 야기하며 여러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현재 많이 대두되는 질병이지만, 특히 위, 식도가 미성숙하고 매일 수유를 하는 신생아에게 있어 매우 눈여겨 보아야 할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출생 직후 몇 개월간은 50%의 아이들이 반복적으로 구토나 올리는 증상이 있으며 10~12개월까지도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 5%에서 증상이 지속된다. 위식도 역류는 신생아에게 생리적인 현상이긴 하나 증상이 사라지지 않을 경우 성장장애, 출혈 혹은 연하곤란 등으로 발전될 수 있기에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하여 위식도 질환의 발병을 최대한 예방하거나 증상을 줄이는 데 어른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이에 위식도 역류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GERD(위식도역류질환)의 정의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은 위산과 위 내용물이 비정상적으로 식도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식도에 조직 손상을 일으켜 형태학적 변화 및 합병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위산과 담즙을 비롯한 위 내용물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하여 염증이 생긴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식도에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이라고도 한다.
3. 원인
3.1. 위 내용물의 증가
위 내용물의 증가는 위식도 역류질환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위 내용물이 양적으로 증가하면 식도로 역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 내용물의 증가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식후나 유문 협착, 위 내용물 정체, 위액 분비 과다 등으로 위 내용물이 증가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위장관 통과가 원활하지 않아 위 내용물이 정체되면 식도로 역류할 수 있다. 또한 위액 분비가 과다한 경우에도 위 내용물이 증가하게 된다.
신생아의 경우에는 수유 중 영아의 위치, 과식, 구토, 과도하게 게우기, 카페인이나 니코틴 등에 노출, 음식 알레르기 또는 소화관 이상 등으로 위 내용물이 증가할 수 있다. 신생아의 위와 식도는 미성숙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쉽게 위 내용물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위 내용물이 증가하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편한 증상이 발생하거나 식도에 염증 및 조직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위 내용물의 증가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2. 복압 상승
복압 상승은 위식도 역류질환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비만, 임신, 복수 등으로 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역류가 잘 일어나게 된다. 즉, 복압이 상승하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복압을 상승시키는 행위들, 예를 들어 기침, 무거운 물건 들기, 고개 숙이기 등도 위식도 역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들은 일시적으로 복압을 증가시켜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만든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복압 상승이 잘 일어나는데, 이는 생리적으로 복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압 상승은 위식도 역류질환의 핵심적인 발병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만, 임신 등의 요인들을 관리하고 기침, 무리한 움직임 등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3.3. 하부식도조임근 기능저하
하부식도조임근 기능저하는 위식도역류질환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하부식도조임근은 위와 식도 사이에 위치하여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하부식도조임근의 기능이 저하되면 역류가 잘 일어나게 된다.
하부식도조임근의 기능저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하부식도조임근의 압력과 긴장도가 낮아지면 역류가 잘 일어난다. 이런 경우는 대개 신경전달물질인 nitric oxide의 분비 증가, 칼슘통로차단제나 진정제 등의 약물 복용, 만성 알코올중독, 임신, 비만 등에서 볼 수 있다. 둘째, 식도 운동 기능의 장애로 인해 식도 내용물의 청소가 지연되면 역류가 지속될 수 있다. 셋째, 식도열공허니아(hiat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