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게젤의 성숙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게젤의 성숙이론
1.1. 성숙의 개념과 특징
1.2. 발달의 기본원리
1.2.1. 발달방향과 순서의 원리
1.2.2. 상호적 교류의 원리
1.2.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1.2.4. 자기규제의 원리
1.3. 성숙준비도 이론
1.4. 발달 관찰 및 측정
1.5. 성숙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게젤의 성숙이론
1.1. 성숙의 개념과 특징
아놀드 게젤(A. Gesell)은 인간의 생명이 작은 단세포가 자궁벽에 붙어 매우 빠른 분열과 증식을 함으로써 시작되며, 태내 발달은 주로 각 세포의 핵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물질인 유전자에 의해 통제된다고 보았다. 유전자는 유기체의 형태와 행동 유형이 순서적으로 발달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한다. 그가 이러한 발달과정을 방향 짓는 기제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을 '성숙(maturation)'이라고 하였다.
게젤의 정의에 따르면, 성숙이란 정신적·신체적 현상에 동등하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개체의 전 성장 형태와 변화 정도를 결정하는 성장의 내적 요소를 의미한다. 성장과 성숙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성숙은 외적 환경과 내적 환경에 반응하는 유기체의 제반 발달적 분화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성장보다 훨씬 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즉, 성숙은 환경의 역할과는 구별되는데, 환경적 요인은 적절한 성장을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지만 구조와 행동 유형의 순서적 발달에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일은 성숙기제의 역할이다.
따라서 게젤에 따르면, 출생 후에도 발달의 방향은 성숙에 의해 특수한 순서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아기가 처음에는 혀와 입술을 통제하고, 그 후 눈 운동, 목, 어깨, 팔, 손, 손가락, 몸통, 다리, 발 등의 순서로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는 것은 신경계의 성장과 유전자에 의해 중재된 성숙 때문이다. 물론 발달 속도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발달의 순서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이처럼 게젤은 성숙이 발달의 주요 요인이며, 환경적 요인은 그것을 지지하거나 약간 수정하는 수준이라고 보았다.
1.2. 발달의 기본원리
1.2.1. 발달방향과 순서의 원리
발달방향과 순서의 원리는 발달이 무작위가 아닌 정돈된 방식에 따라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달은 머리에서 발 쪽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어떤 시점에서든 발 부분보다 머리 부분이 먼저 발달한다는 경향성을 보인다. 따라서 출생 시 신생아는 다리보다 머리 부분이 더 빨리 성숙되며, 팔의 협응이 다리의 협응에 선행된다. 이러한 경향을 두미(cephalocaudal) 발달 경향이라고 한다.
게젤은 성숙준비도 이론을 근거로 영유아의 행동발달을 면밀히 관찰하여 발달척도, 학교준비도검사 등을 개발하였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발달의 기본 골격은 예정된 계획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아동의 내적 계획보다 앞서 특정 기술이나 행동을 가르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달에 저해가 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중심 부분이 말초 부분보다 먼저 발달하는 근원(proximodistal) 발달 경향성도 관찰되는데, 이는 어깨 동작이 손목과 손가...
참고 자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아동복지의 이해 / 윤황지 / 학문사
아동복지 / 성영혜, 김연진 / 동문사
현대사회와 아동 / 김현용 외 /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