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NSTEMI 치료 및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기간 및 방법
2. NSTEMI(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2.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2. 질병의 병태생리
2.3. 증상 및 예후
2.4. 진단방법
2.5. 치료 및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개인력
3.1.2. 건강력
3.1.3. 간호력
3.1.4. 신체검진
3.1.5.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3.1.6. 의학적 치료 및 경과
3.2. 간호과정 적용
4. 간호진단 및 중재
4.1. 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4.2. 비정상적인 심박동수 및 심장질환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4.3. 항응고제 투약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NSTEMI(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우리나라 응급실에 많이 방문하는 케이스중 하나이다. 해당 질환은 초기 응급처지와 치료하는 시간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연구를 통해 NSTEMI에 대해 어떠한 이유로 이 질환이 발생하는지 공부하고, 해당 병태 생리를 통해 환자에게 진정하게 필요한 간호는 무엇이 있는 지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본 연구 하였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23년 05월 08일부터 2023년 05월 12일까지 OOOO병원 ICU에 입원하신 김OO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 관찰 및 사정, 간호기록지, EMR 차트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성인간호학 서적, 관련 문헌 및 사이트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2. NSTEMI(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
2.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NSTEMI(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하나로, 관상동맥 내 혈전이 형성되어 심근에 혈류 공급이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상태이다. NSTEMI의 정의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NSTEMI는 심근경색증으로, 심근세포의 손상 또는 죽음으로 심근이 괴사된 상태를 의미한다. NSTEMI는 ST분절 상승이 없는 심근경색으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지 않고 부분 폐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심근세포가 손상되지만 완전한 폐쇄로 인한 광범위한 괴사는 나타나지 않는다.
NSTEMI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이다. 동맥벽에 콜레스테롤과 지방 등이 침착되어 죽상경화반이 형성되고, 이 죽상경화반이 파열되면 혈전이 생겨 관상동맥을 부분적으로 막게 된다. 이로 인해 심근 일부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여 심근경색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고혈압, 당뇨병, 흡연, 비만 등의 위험요인들이 NSTEMI 발생을 증가시킨다. 고령, 가족력, 남성 등의 요인들도 NSTEMI 발생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NSTEMI는 관상동맥 죽상경화증과 그에 따른 혈전 형성이 주된 병인이며,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질병 발생을 촉진한다고 할 수 있다.
2.2. 질병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죽상동맥경화증은 NSTEMI의 주요 원인이다. 이는 1차적으로 동맥 내벽에 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일어나는 현상이다.
죽경화의 진행은 3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지방층 단계에서는 동맥혈관 내피 아래에 엷은 노란색 지방이 쌓이게 된다. 둘째, 섬유판 융기 단계에서는 30세경부터 동맥벽에 나타나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증, 유전, 흡연 등에 의해 만성적인 내피세포 손상이 일어나 콜레스테롤과 다른 지질 성분이 혈관벽에 붙어 혈관 구조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셋째, 병소의 복합적인 변화 단계에서는 지방, 혈전, 칼슘 축적 등이 일어나 동맥벽이 단단해지고 좁아지게 된다.
이렇게 진행된 죽경화는 결과적으로 관상동맥의 70% 이상 폐쇄를 초래하여 심근의 허혈을 야기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일부 동맥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측부순환이라 한다. 이러한 측부순환이 생성되면 새로운 혈액 통로가 만들어져 만성 허혈 상태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NSTEMI의 경우 동맥경화성 플라크의 파열 또는 침식이 주된 병태생리로 설명된다. 플라크의 파열은 혈소판 응집반응을 유발하여 관상동맥에 혈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심근 일부의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심근세포의 영구적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염증반응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서는 백혈구,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평활근세포의 활성화에 의한 염증지표들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염증반응은 플라크의 불안정화와 혈전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20분 내에 혈액공급이 차단되면 심근세포가 죽기 시작하고 자가소화가 일어나며 염증반응이 수반된다. 2-3주 안에 괴사된 조직은 육아조직으로 대치되고, 섬유아세포가 발생하여 교원조직을 합성하면서 2-3개월에 걸쳐 반흔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반흔조직은 수축과 이완 능력을 상실하여 좌심실 기능 감소와 심부전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NSTEMI의 병태생리는 관상동맥 플라크의 파열 및 혈전형성으로 인한 심근 허혈과 괴사, 그리고 이에 동반된 염증반응과 조직 재형성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2.3. 증상 및 예후
NSTEMI(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의 증상 및 예후는 다음과 같다.
NSTEMI 환자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흉통이다. 흉통의 부위와 양상, 방사부위 등은 안정형 협심증과 비슷하나 그 강도가 훨씬 심하고, 30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가슴에 무겁게 짓눌리고,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통(crushing pain)이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으로도 완화되지 않는다. 흉통은 활동 중이나 휴식 시, 수면 주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원인 없이 발생된다. 또한 10-15%의 환자에서는 막연한 불편감이나 쇠약감, 숨이 차거나 소화불량 등을 호소하며 이는 노인이나 당뇨병이 있는 심근경색에서 볼 수 있다.
호흡곤란은 NSTEMI 초기에 나타나는 주요 증상이다.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카테콜아민이 분비되어 혈압과 심박수가 증가하지만, 좌심실 심근의 20% 정도에 괴사가 오면 심장의 수축력 저하로 인해 심부전이 발생한다. 괴사된 심근으로 인한 심박출량 감소로 저산소증, 소변량 감소, 폐울혈이 발생하면서 환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된다.
NSTEMI 환자는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피부가 잿빛이고 축축하며 차갑게 느껴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초기에 혈압과 심박동 수가 증가하지만 이후 혈압은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저하된다. 매우 심각한 경우 신관류와 소변량이 감소...
참고 자료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618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92~308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50A0235
서울아산병원:http://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2
급성 ST분절 상승과 ST 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의 예후 비교, 김민철, 안영근, 조경훈 외 17명, 대한 내과학회지: 제 77권 제 5호
관동맥질환에 의한 내과응급질환, 대한내과학회지: 제 73권
고자경 외 (2017). 성인간호1 퍼시픽북스. 제 1판. 서울 : 퍼시픽 북스
차병헌 외 (2017). 알기 쉬운 병리학, 제 1판. 서울 : 고문사
대구경북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채성철 (2009). 급성 심근경색 치료. 환자 및 가족을 위한 교육소책자 심혈관 센터편.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2018). 심혈관조영술이란?.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1View.do?ds_code=D0004776&main_content_id=957&content_id=957&cPage=1&DP_CODE=BR&MENU_ID=003
Science Central Journals
https://www.e-sciencecentral.org/articles/SC000008274
정남식 외 (2013). 급성 심근경색증. 심장과 혈관 68(15) NO4.
최우순 외 (2003). 급성심근경색증 진단에 대한 심근표지자와 생화학적 검사의 유용성.
임상병리검사학회지, 35(1), 22-28.3
한국일보 “계단을 오르는데 가슴이 뻐근하고 호흡이 가쁘다면..”.권대익 기자.2021.06.28 https://hankookilbo.com/News/Read/A*************002812?did=NA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박은영 역 | 현문사(유해영) 101-104, 105-108, 220-223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 아산 병원 – 관상동맥조영술 https://amc.seoul.kr/asan/depts/heart/K/content.do?menuId=5025#
대한심장학괴 –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https://www.circulation.or.kr/general/treatment/?sub_num=1
황옥남 외 8명. 성인간호학(상권). 현문사. 2019. 674- 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