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벤치마킹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망고 시장 가치 분석
1.1. 망고 소개
1.2. 영양분석 및 소득분석
1.3. 가치분석 및 향후 전망
2. 참다래 벤치마킹
2.1. 망고산업의 취약점 분석
2.2. 참다래 유통사업단 현황
2.3. 비교측정지표
3. 게임화 모델의 적용 사례
3.1. 게임화의 배경
3.2. 게임요소 도출
3.3. 구체적인 게임화 내용
3.4. 게임화 도입 성과
4. 타은행 벤치마킹 분석
4.1. 벤치마킹 과정 및 기준
4.2. 타지점 분석 내용
4.3. 우리지점의 장단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망고 시장 가치 분석
1.1. 망고 소개
망고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식물이며, 열대지방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널리 심고 있는 열매 중의 하나로 아시아 동부, 미얀마, 인도의 아삼 주가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된다. 망고는 키가 15~18m 정도에 이르는 상록수로 오래 살며, 잎은 길이가 30㎝ 정도이고 창처럼 생겼다. 분홍색을 띠는 작은 꽃은 향기가 나며 줄기 끝에 드문드문 모여 달려 큰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룬다. 꽃은 잡성주(雜性株)로서, 어떤 꽃은 수술과 암술이 모두 달리지만 수술만 있는 꽃도 있다.
열매는 크기나 특징이 매우 다양한데, 제일 작은 것은 서양자두보다 작고, 큰 것은 무게가 1.8~2.3㎏까지 나가기도 한다. 모양도 넓은 타원형, 둥글고 심장 또는 신장처럼 생긴 것, 길고 가는 것 등 다양하다. 일부 변종(變種)들은 붉고 노란 색조가 선명하지만, 대부분은 흐린 녹색을 띤다. 씨는 1개로 크고 납작하며 과육은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을 띠고 과즙이 많으며 독특하고 향기로운 맛이 난다. 망고는 비타민 A·C·D가 풍부하다.
망고의 원산지는 말레이반도, 미얀마, 인도 북부로 알려져 있으며, 재배역사는 4000년 혹은 6000년으로 아주 오래 되었다. 특히 원산지인 인도에서는 성스러운 과수라고 일컫는다. 전설에 의하면 석가가 명상에 잠겼다가 깨달음을 얻은 곳이 보리수라고 하는데, 이 보리수가 바로 망고나무라고 전해진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열대 과수로 생산량도 포도, 바나나, 오렌지, 사과 다음으로 세계 5위이며 종류도 상당히 많다.
유럽에 소개된 것은 포르투갈 사람이 15세기에 인도 항로를 발견한 뒤부터이고, 이후 포르투갈 사람에 의해 아프리카로, 또 정복한 브라질로, 섬을 따라 서인도 제도로, 그리고 멕시코,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하와이 등 전 세계적으로 퍼져 갔다. 지금은 아프리카, 브라질, 멕시코,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하와이 등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주도 서귀포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1.2. 영양분석 및 소득분석
망고의 영양분석에 따르면 100g당 탄수화물이 16.8g, 단백질이 0.7g, 비타민 A가 4,800IU, 비타민 C가 35.0mg, 나이아신이 1.1mg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고는 비타민 A와 C가 풍부하여 암 예방 등의 건강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망고의 소득분석 결과, 단가는 22,400원/kg이고, 1,199kg의 수량을 생산하여 조수입 26,858천원, 경영비 17,090천원, 소득 9,768천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망고는 풍부한 영양분과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가치가 높으며, 제주 지역의 주요 열대과일로서 생산 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1.3. 가치분석 및 향후 전망
국산 망고의 향후 전망은 매우 밝다. 한국은 이미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몇 년 전부터 아열대기후지역에 속하게 되었으며, 농업의 방향도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열대 작물재배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어 재배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는 고온 다습한 해양성 기후를 띄며 일조량이 풍부하여 국내 유일의 망고 재배 지역으로 가장 적합한 곳이다. 또한 일부 남해안 일대의 바람이 잦으며 선선한 기후를 지닌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추측되어 앞으로 망고의 확대재배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유추된다.
제주도 및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재배 가능한 국산 망고의 품종은 애플망고이며, 이미 제주농원 등과 같은 여러 농장에서 소량 생산해 내고 있다. 제주도에서 생산되고 있는 애플망고종의 출하 시기는 4월에서 9월 사이이며 과즙이 풍부하고 맛이 좋아 향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웰빙 열풍과 맞물려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더욱 크게 어필할 수 있는 작목으로 기대된다.
제주도 내 망고 재배면적은 153.7ha이며 29농가가 재배 중이며, 지역별로는 ...
참고 자료
거북선농업, 정운천, 한국신지식농업인회, 2004
전남 해남 참다래영농조합법인, 농업일반, 2006
제주지역 농업동향, 2007
참다래 생산성 제고방안, 박준근, 한국농업경제학회, 1996
참다래재배현황 및 연구방향, 임경호, 농촌진흥청, 2004
해남 참다래 사례를 통한 지역농업혁신, 농림기술관리센터, 2006
[책] 오픈 콜라보레이션, 이준기, 2012, 삼성경제연구소
[기사] 게임화, “승자에게 디지털 월계관을 씌워라”, 브라이언 버크(Brian Burke), 2014.04.30., 컴퓨터월드
[기사] ‘실효성 UP!’보안 훈련과 게임화 기법, Lamont Wood, 2014.07.21., 컴퓨터 월드
[리포트] Gamification Examples, ATG Lab, technical report 2014G08
[리포트] 게임화(Gamification)의 현재와 미래: 주요 사례와 연구 방향, 김상균, 2012,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웹사이트] Nike+: https://secure-nikeplus.nik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