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카를 마르크스와 그의 저작들
1.1. 마르크스의 생애와 성공요인
1.2. 《공산당 선언》
1.3. 《자본론》
1.4. 마르크스주의 사상의 확산과 소멸
2. 마르크스에게 영향을 준 인물들
2.1. 헤겔
2.2. 프루동
2.3. 바쿠닌
2.4. 세르반테스
2.5. 셰익스피어
3. 마르크스주의의 재평가
3.1. 자본주의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3.2. 복지국가와 수정자본주의
3.3. 공산주의 체제의 실패와 민주주의로의 회귀
4. 시대적 배경 - 19세기 유럽
4.1. 왕정 시대
4.2. 프랑스혁명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카를 마르크스와 그의 저작들
1.1. 마르크스의 생애와 성공요인
카를 마르크스는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에에서 중산층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유복한 환경에서 자신만의 자유로운 유년 시절을 보냈지만, 그는 신분과 계급의 차이, 그리고 돈이 많고 적음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대우받지 못한다는 것에 불편함을 느꼈다. 이에 마르크스는 변호사나 교수가 되어 사회적인 지위와 명성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는 길을 포기하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한다.
마르크스의 주요 성공 요인 중 첫 번째는 바로 그의 희생정신이다. 마르크스가 베를린 대학에 다닐 때, 학생들은 그에게 정부를 비판하는 유인물에 글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당시에는 좋은 대학에 다니면 앞날이 보장되는 시대였지만, 반정부 활동에 가담하면 변호사나 공무원이 되기 어려웠다. 마르크스는 고민 �끝에 유인물 작성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자신에게 보장된 안락한 삶을 버리고 정부를 반대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며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다한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자신의 학비는 물론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져야 했지만, 마르크스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평등한 세상을 만들겠다는 꿈을 위해 노력했다. 졸업 후에도 마르크스는 극심한 가난과 추방 등의 고난을 겪었지만, 자신의 삶 전체를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노동자들을 위한 투쟁에 바쳤다.
두 번째 성공 요인은 마르크스의 끊임없는 탐구정신이다. 《자본론》 1권은 1867년에 출간되었지만, 이는 마르크스가 구상한 지 무려 20년만의 일이었다. 1847년부터 이미 《자본론》의 주요 사상을 구체화하고 있었으며, 1849년에는 대략적인 윤곽을 잡았고, 1857년에는 자본주의에 대한 개론을 완성하였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자신이 다루는 주제에 관한 모든 문헌을 철저히 연구하고 만족스러운 해답을 얻기 전까지는 집필을 서두르지 않았다. 가족을 부양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는 영국 박물관 도서관에서 자본주의를 연구하는 데 몰두했다. 잦은 병과 과로에도 불구하고 그는 공부를 멈추지 않았다. 이처럼 자본주의 발달의 선두 주자였던 영국을 직접 방문하여 연구하고, 기존 경제학자들과 구별되는 자신만의 경제학을 완성한 마르크스의 탐구 정신은 그의 성공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마르크스의 정의감도 주요 성공 요인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마르크스는 신분과 계급의 차이, 그리고 부의 불평등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아버지의 연설 후 경찰의 협박으로 인해 아버지가 굴복하는 모습을 보며 분노했던 마르크스는, 정의를 위해서는 목숨을 걸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에 마르크스는 변호사나 공무원이 되는 대신 철학자의 길을 선택했고, 모든 사람이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한다. 비록 극심한 가난과 추방을 겪었지만, 그는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노동자들을 위한 투쟁에 자신의 삶 전체를 바쳤다.
결과적으로 마르크스의 희생정신, 탐구정신, 정의감은 그의 성공 요인이 되었다. 그의 노력과 헌신으로 인해 《자본론》과 《공산당 선언》이 탄생했고, 이는 20세기 세계 역사를 크게 바꾼 사상적 토대가 되었다. 비록 마르크스가 생각한 공산주의 사회가 실현되지 않았지만, 그의 사상은 여전히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고 있다.
1.2. 《공산당 선언》
《공산당 선언》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1848년에 작성한 책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주장하고 있다.
《공산당 선언》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 사회가 부와 빈곤의 극단적인 양극화를 낳는다고 비판한다. 당시 영국런던은 공장들이 생겨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모여들었지만, 노동자들은 하루 종일 일해도 겨우 먹고 살 수 있는 반면 자본가들은 더욱 부를 축적해 갔다. 어린아이들까지도 하루 20시간 가까이 일했고, 아주 적은 삯만 받았다. 이렇게 타락한 초기 자본주의 시대의 모습을 《공산당 선언》은 비판하고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런 자본주의는 결국 노동자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켜 혁명으로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공산당 선언》은 정당한 권리를 찾으려는 노동자들을 돕기 위해 공동 저술되었다. 이 책은 자본주의 사회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의 투쟁을 통해 혁명으로 무너져 새로운 공산주의 사회로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공산당 선언》은 출판 당시부터 혁명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큰 찬사를 받았지만, 마르크스를 비판하는 이들에게는 폭력적인 사상을 퍼뜨리는 책으로 비난받기도 했다. 실제로 《공산당 선언》의 영향으로 러시아에서 시작해 중국, 쿠바, 북한 등 많은 나라에서 공산주의 혁명과 함께 독재자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20세기 말 독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공산주의 체제의 많은 국가들이 무너지고, 자본주의 국가들이 사회주의의 일부 특성을 흡수하면서 수정자본주의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처럼 《공산당 선언》은 당시의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했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1.3. 《자본론》
《자본론》은 마르크스가 1860년대 초부터 1880년대 초까지 장기적인 사상과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한 방대한 저술집으로,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자본론》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의 생산과정', '자본의 분배과정', '자본의 총체적 과정'을 순차적으로 분석해 자본주의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모순을 갖...
참고 자료
Marx, K. 자본론 제1권(상) (제2개역판),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2001.
Marx, K. 자본론 제1권(하) (제2개역판),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2001.
Marx, K. 자본론 제2권 ,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1989.
Marx, K. 자본론 제3권(상) ,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1989.
Marx, K. 자본론 제3권(하) , 김수행 역, 비봉출판사, 1989.
자본론 ㅣ 카를 마르크스 지음 ㅣ 김수행 옮김 ㅣ 비봉출판사 ㅣ 2015.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