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기사화된 생명윤리 이슈사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2000년대 기사화된 생명윤리 이슈사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간 복제와 윤리적 쟁점
1.1. 인간 복제의 정의와 유형
1.2. 인간 복제 기술의 역사와 현황
1.3. 인간 복제에 대한 법적 규율
1.3.1. 미국
1.3.2. 영국
1.3.3. 한국
1.4. 인간 복제에 대한 윤리적 논란
1.4.1. 공리주의적 관점
1.4.2. 자연주의적 관점
1.5. 배아복제의 과학적 의의와 사회윤리적 고찰
1.5.1. 배아복제의 역사와 현황
1.5.2. 배아복제의 과학적 의의
1.5.3. 배아복제에 따른 사회적 논란
1.5.3.1. 종교적 관점
1.5.3.2. 법률적 관점
1.5.3.3. 사회적 관점
1.6.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1.6.1. 뇌사의 윤리적 딜레마
1.6.2.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간 복제와 윤리적 쟁점
1.1. 인간 복제의 정의와 유형

인간 복제의 정의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인간 복제란 생명 복제 기술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인간 복제는 한 개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또 다른 개체를 만드는 생물학적인 인간 복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인간복제는 크게 인간 개체 복제와 인간 배아 복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인간 배아 복제는 통상적으로 '배아'란 수정란이 발생을 시작한 후 약 2주에서 8주까지의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8주의 이후의 상태를 '태아'라 한다. 그러나 흔히 '배아복제'라 할 때의 배아란 이러한 상태에 있는 배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란이 발생을 시작한 후 자궁에 착상되기 직전까지의 존재를 가리킨다. 다시 말해서 임신 시작에서부터 원시선이 나타나는 수정 후 14일까지의 존재, 엄밀히 말하면 '전 배아'를 가리킨다. 배아복제란 좁은 의미로 인간의 난자에 체세포의 핵을 이식하여 융합세포를 만든 후 이를 초기 배아단계까지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 개체 복제는 한 인간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다른 인간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여기에는 크게 수정란 분할과 체세포 핵 이식의 두 가지 기술이 있다. 첫째로, 수정란 분할법은 수정란이 4~8개의 세포로 분열한 상태에서 각각의 세포들을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여러 수단을 사용하여 분리해 내는 기술을 말하는데 이렇게 갈라진 세포들은 다시 완전한 개체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각각을 자궁에 착상시킨다면 인공적인 일란성 쌍둥이들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둘째로, 체세포 이식법은 복제양 돌리를 만드는데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성체의 체세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즉 성체의 체세포 핵을 분리해내어 여러 가지 처리를 거쳐 제 프로그래밍 시킨 후 난자와 수정시켜 새로 분화하게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1.2. 인간 복제 기술의 역사와 현황

인간 복제 기술의 역사와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93년 10월 뉴욕타임즈는 '생식을 위한 배아복제연구의 노력'이라는 기사를 내보냈고, 이후 인간 복제는 미국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상했다. 1997년 2월 23일, 영국 로슬린 연구소의 월멋 박사는 6년된 암컷 양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암컷 양을 출산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암컷 양의 이름이 '돌리'였다. 인간복제에 대한 미국 상원의 청문회에서 월멋 박사는 277번째 실험 끝에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켰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 탄생 과정에서 276번까지 수많은 복제 양 배아들이 원인 불명의 이유로 성장 중에 죽거나 출산 후 곧 사망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미국의 오리건주 비버튼 영장류 연구센터의 연구원 돈 월프박사는 1996년 8월경 원숭이 2마리를 복제하였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 돌리의 탄생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이 없이도 생명이 탄생할 수 있는 무성생식의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사건으로 인간 복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복제 기술의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2000년 10월 캐나다의 클로나이드 본사는 의료사고로 잃은 10개월된 아기의 복제를 부모로부터 의뢰받아 그 아이의 체세포를 핵이식해 복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호주와 미국의 과학자들은 인간의 DNA를 돼지의 세포에 주입시켜 인간과 돼지의 잡종배아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2001년 1월에는 미국과 이탈리아의 불임치료전문의사가 불임치료의 목적으로 복제할 것이라고 하여 1~2년 이내에 복제인간을 탄생시키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국내에서도 동물 복제 성공과 더불어 인간 배아복제에 대한 시도가 있었다. 1999년 2월 복제소 '영롱이'의 탄생으로 세계 5번째로 체세포 핵치환기술에 의한 동물복제에 성공했고, 1998년 12월 경희대학교에서 인간의 체세포를 복제해 4세포기까지 발달시킨 실험이 수행되었다. 또한 2000년 8월 황우석 교수팀이 36세의 남성 체세포를 이용하여 복제에 성공해 배반포까지 배양하였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

이처럼 인간 복제 기술은 이제 더 이상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실제로 현실화될 가능성을 가지고 우리 생활과 가까워지고 있다.


1.3. 인간 복제에 대한 법적 규율
1.3.1. 미국

미국은 2003년 2월 27일 인간 복제 금지 법안이 미 하원을 통과했다. 이미 생산된 특정 줄기세포들에 대해서는 국립보건원의 지침에 따라 정부지원을 받는 연구를 허용하고 있다. 주 단위에서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등 6개 주가 인간복제금지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22개 주 이상이 인간복제를 금지하는 법안을 상정해 놓고 있는 상태이다. 미국은 주 정부 차원에서 인간 복제에 대...


참고 자료

길성환(2003)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 신학적 성찰 / 12~14,14~16,60p / 학위논문(석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김경순 (2008.02)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체세포복제 배아 SCNT 정당성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17p /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김지은 (2008.08) 인간복제에 관한 연구: 도자 설치 작업을 중심으로 / 9p / 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도봉희 (2008.08)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18~35p/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서울사립대학교 교육대학원
문성학, 정창록 (2010.10)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2p / 국내학술기사. 새한철학회 논문집
손성호(2003.겨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 소고 / 5p / 국내학술기사.
이상희 (2003.05) 인간존엄. 복지위해 과학기술 존재: “인간복제 금지관련법안”, 과학발전-생명윤리 조화롭게 추진해야 / 국내학술 기사
이화선 (2004.02) 인간복제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오마이뉴스(2002.12.29) 유종필 기자 인간 복제 회사 클로네이드, '세계 최초의 복제 아기 출생' 발표
YTN 강성웅 기자 (2004.01.18) 복제 인간 배아 이식 성공
아시아 경제 (2014.02.11) 이창환 기자다시보는 황우석 박사 관련 주요 일지
경인일보, 디지털뉴스부 (2014.02.27) '줄기세포 논문조작' 황우석 집행유예 2년 확정판결… 법정공방 8년만에
구영모. “인간복제의 윤리문제.” 『한국인』 1997년 5월호.
김영정. “유전자 복제와 인간의 정체성.” 『계간 철학과 현실』 1998 년 겨울호.
서정선. “생명복제 기술의 문제점.” 『과학과 기술』 제30권 6호.
박종균, “생명복제에 관한 윤리적 반성과 전망,
http://my.netian.com/~hjh2955169.htm
이인영, “생식적 복제와 치료적 복제에 관한 쟁점 사항과 입법제안”, 보건복지포럼, 2001.7
―――, “ 국내 배아복제기술 어느 수준인가”, 중앙일보 2000년 8월 23일자.
http://my.netian.com/~wjpmlee/hlthdata
프랑스 사례
http://www.soundofhope.kr/bbs/board_view.php?bbs_code=bbsIdx47&num=29561&page=1&keycode=&keyword=
장기이식 사례
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4036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