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차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차별의 개념과 특성
1.1. 노인차별의 정의
1.2. 노인차별의 유형
1.2.1. 개인적 차별
1.2.2. 사회적 차별
1.3.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노인차별의 현황과 문제점
2.1. 노인차별 실태
2.2. 노인차별이 미치는 영향
2.2.1. 심리적 안녕감 저하
2.2.2. 우울과 고독감 증가
3. 노인차별 예방을 위한 노력
3.1. 개인 및 가족 차원의 노력
3.2. 사회·제도적 차원의 노력
3.2.1. 법적 규제
3.2.2. 사회적 인식 개선
4. 광고에 나타난 노인차별
4.1. 광고 속 노인차별 사례
4.1.1. 독일 DIY 기업 호른바흐의 광고
4.1.2. 삼성카드 광고
4.2. 광고 속 노인차별의 문제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차별의 개념과 특성
1.1. 노인차별의 정의
노인차별의 정의는 "노인 개인 또는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노인이라는 이유로 하여 적절한 대우를 하지 않는 형태의 부적절한 행동이 가해지는 것"이다. 즉, 나이가 많고 노쇠하다는 이유로 그릇된 선입견에 의해서 차별하는 것을 말한다. 노인차별은 1969년 Robert Butler에 의해 처음 소개된 개념으로, 차별(discrimination)이란 특정 대상에 부정적인 태도와 부정적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극도의 편견, 지속적인 차별, 심한 거부반응을 갖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1.2. 노인차별의 유형
1.2.1. 개인적 차별
개인적 차별이란 의무 집단에 속한 사람을 멸시하고, 참여기회를 부정하며, 개인 수준의 공공연한 행위를 말한다. 노인에 대한 개인적 차별의 예로는 노인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행동, 노인의 의견을 경청하지 않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태도, 노인을 단순히 경제적 부담으로 인식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인적 차별은 노인들의 자존감과 자아실현을 저해하고 소외감을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노인 개개인을 존중하고 그들의 경험과 지혜를 소중히 여기는 태도가 필요하다.
1.2.2. 사회적 차별
사회적 차별은 제도화된 차별이라고도 한다. 소수집단의 성취를 저해하거나 제한을 하여서 그들을 종속적으로 불이익을 당하는 위치에 묶어두기 위해서 관행적으로 확립된 행위양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즉, 사회적 차별은 개인적 차별과 달리 제도적으로 구조화된 형태로 나타나는 차별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 내에서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그들의 삶의 기회와 권리가 제한되는 것을 말한다. 노인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고용, 교육, 의료, 복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노인들이 불이익을 당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회적 차별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차별은 개인적 차별에 비해 보다 고착화되고 구조화되어 있어 개선하기 더 어렵다. 따라서 노인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인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지위 하락과 역할 상실이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는 노인이 가족과 사회에서 존경받는 존재였지만,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지위와 역할이 낮아지면서 노인들이 차별받게 되는 것이다.
둘째, 노인들의 잘못된 사고방식과 행동이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노인들이 고집스럽고 고루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거나 예절 바르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경우, 이로 인해 다른 세대들이 노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차별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세대 간 단절 현상이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친다.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차이로 인해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고 이는 노인차별로 이어지게 된다.
넷째, 대중매체에 나타나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친다. 대중매체에서 노인을 무능력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표현하는 경우, 이는 사회적으로 노인에 대한 부정적 ...
참고 자료
강초록 · 조영태, 2012, “사회적 차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구학」, 35(3), 1-27.
권중돈 · 손의성, 2010,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노인복지연구」, 49(단일호), 81-105.
김미경, 2000, “노인복지에 대한 가족사회학적 접근”,「한국사회학」,34(SPR), 65-84.
주신수(2013), 「부정적인 광고비주얼의 광고효과」,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짱위치(2012), 「광고모델 유형과 제품 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삼성카드 광고 영상 확인 - 한국광고총연합회
http://www.adic.co.kr/gate/video/show.hjsp?id=W1683014&type=T
연합뉴스(2019.04.14)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3047600082?input=1195m
투데이신문(2018.06.21)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168
KBS NEWS(2019.03.29) - 독일 호른바흐 광고 영상 확인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68952&re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