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모성)간호학 현장실습 케이스스터디 c/sec수술을 받으신분이고 진단명은 전반적인 수축골반으로 인한 불균형에 대한 산모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대상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아두골반불균형
2.1.1. 정의
2.1.2. 원인
2.1.3. 증상
2.1.4. 진단
2.1.5. 치료
2.2. 제왕절개
2.2.1. 생리
2.2.2. 간호
2.2.2.1. 수술 전 간호
2.2.2.2. 수술 시
2.2.2.3. 수술 후 간호
2.3. 임신성 고혈압
2.3.1. 정의
2.3.2. 분류
2.3.3. 원인
2.3.4. 증상
2.3.5. 치료 및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건강사정
3.1.1.1. 간호력
3.1.1.2. 진단검사 및 치료효과 확인을 위한 검사
3.1.1.3. 임상검사
3.1.1.4. 의사의 치료내용
3.1.2. 자료요약
3.1.3. 문제중심 기록지 작성
4.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제왕절개 분만 건수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분만 시의 합병증, 이전의 제왕절개 경험, 난산 등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난산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아두골반불균형(CPD)은 지난 10년간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전체 제왕절개 분만의 10~1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들의 제왕절개율 10~20%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아두골반불균형의 원인과 증상을 확인하고, 이에 맞는 간호와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대상자에게 빠른 회복과 더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1.2. 연구대상 및 방법'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Case 대상자 김00(F/40세)님은 신장 163cm에 몸무게가 임신 전 63kg였지만 현재는 몸무게 101kg으로 38kg 증가하였다. 본원에서 혈압이 높아 자간전증, 임신성 고혈압을 진단받은 상태이고 모성 골반이상으로 인한 난산으로 응급 c-sec을 시행하였다. 실습을 하면서 환자에게 자주 찾아가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대상자의 진단과 처치 및 간호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예후를 관찰하고, 신체사정 및 환자의 EMR과 관찰,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여 연구하였다."
2. 문헌고찰
2.1. 아두골반불균형
2.1.1. 정의
아두골반불균형이란 분만 시 아이 머리 크기와 산모의 골반 크기 사이에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산모의 골반이 너무 좁거나 아이의 머리가 너무 큰 경우, 또는 이 두 가지가 함께 발생할 경우 아두골반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질식 분만이 어렵게 되며,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2.1.2. 원인
아두골반불균형의 주요 원인은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또한 아두가 이례적으로 변형되거나 산류(caput)가 과도하게 형성되었거나, 이 두 가지가 같이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은 경우, 정상적인 분만이 어렵게 된다. 곧 아두와 골반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어 아두골반불균형이 초래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두가 이례적으로 변형되거나 산류(caput)가 과도하게 형성되면 이 역시 아두골반불균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태아의 머리 크기와 산모의 골반 크기 사이의 불균형, 그리고 아두의 변형이나 비정상적 발달 등이 아두골반불균형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2.1.3. 증상
산모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 호흡, 요통 혹은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의 수축, 자궁 경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고 분만진행이 안 되는(2~3cm 미만에서 수시간 진통 지속)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태아는 태아의 심박동수 감소, 태동의 감소, NST 검사상의 그래프 이상, 도플러(doplar ultrasound) 초음파상 이상 소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1.4. 진단
산모의 자궁 내진을 통한 산모 골반의 형태나 크기 및 골반의 산도 좌골가시(ischial spine)의 돌출 여부 등의 확인과 초음파검사로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여 진단하게 된다. 즉, 산모의 골반이 태아가 통과하기에 좁다고 여겨지면 태아와 산모의 안전을 생각하여 제왕절개술로 분만하게 된다."
2.1.5. 치료
산모의 골반이 태아가 통과하기에 좁다고 여겨지면 태아와 산모의 안전을 생각하여 제왕절개술로 분만하게 된다. 제왕절개술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시술법이다. 제왕절개술에는 자궁하부 절개와 고전적 절개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자궁하부 절개술이다. 자궁하부 절개술은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절개부위도 쉽게 치유되고 자궁체부에 비해 얇기 때문에 혈액의 손실이 적고 합병증도 거의 없으며 분만 시 자궁 근무력증과 수술 후 복부팽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고전적 제왕절개는 피부 및 자궁체부 벽에 수직적 정중선 절개가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태아 만출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자궁근육의 큰 혈관이 절단되므로 혈액 손실이 증가하며 자궁근종이 허약해져 이후 임신과 출산에서 자궁반흔이 파열될 위험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2.2. 제왕절개
2.2.1. 생리
제왕절개는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제왕절개에는 자...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I,II 김산옥 외, 퍼시픽북스
모성/여성건강간호학 I,II 안숙희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 I,II 손정태 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pageIndex=9&sortType=&searchNWord=%EC%9E%90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768&cid=51007&categoryId=5100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외, 현문사
CASE STUDY, 에듀퍼스트
간호사를위한 약리학 김금순외 수문사
임신출산육아 대백과 삼성출판사 2013
나의 첫 임신출산 대백과 보령모자생활과학연구소 2013
여성건강간호학2 이영숙외 현문사 2012
간호학 석사 학위 논문 : 입원산모의 낙상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서연 2016
하영수.이경혜. (2016). 여성 모성 간호학 ⅠⅡ, 신광 출판사.
강승주, 강은희. (2015), 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성인간호학 1.2 서울 : 퍼시픽북스
성미혜, 홍영혜. (2015), 간호과정의 적용, 서울 : 수문사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최정수 ( Jung Soo Choi ) , 최세경 ( Sae Kyung Choi ) , 위지선 ( Ji Sun We ) , 안현영 ( Hyun Young Ahn ) , 신종철 ( Jong Chul Shin ). 2008. 원저: 임상 : 태반조기박리 임신에서 임신성 고혈압 질환 유무에 따른 비교연구.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19(4) : 356-363
김계숙외 8명 ,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변지수(JS Pyun). 1993. 한국에 있어서의 임신성 고혈압증.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36(6) : 737-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