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경치료법(Endodontic Treatment)
1.1. 신경치료란?
치아 내부에는 신경, 혈관 가지 조직(치수)이 있다. 치아에 심한 충치나 외상을 받은 경우 박테리아 등에 의해 치아 내부의 치수가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방치되면 치수가 죽게 된다. 신경치료는 감염된 조직을 확실히 제거하고, 깨끗하게 소독하며, 신경관 안을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재료와 단단한 물질로 채우는 과정이다. 신경관은 반듯한 형태가 아니라 울퉁불퉁하고 불규칙적으로 수많은 작은 공간이 있기 때문에 세균의 완벽한 제거는 쉽지 않으며, 보통 3-4번 내원이 필요하다. 신경치료 후 2-3일간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마지막 과정인 신경관내 약제를 넣은 후에는 불편감이 조금 더 있을 수 있으나 이후 점차 호전된다. 신경치료 후에는 치아를 단단한 보철로 씌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1.2. 신경치료가 필요한 경우
치아에 심한 충치나 외상을 받은 경우 박테리아 등에 의해 치아 내부의 치수가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방치되면 치수가 죽게 됩니다. 이런 경우 신경치료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신경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치가 치수까지 진행된 경우이다. 심한 충치가 치수까지 도달하면 치수 내부가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므로 신경치료가 필요하다.
둘째, 치주염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이다. 치주염이 악화되어 치근단까지 진행되면 치수까지 염증이 이어지므로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
셋째, 치아가 깨지거나 부러진 경우이다. 외상으로 인해 치아가 손상되면 치수가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으므로 신경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처럼 충치, 치주염, 치아 손상 등의 이유로 치수에 염증이 생기면 세균의 침입을 막고 치수를 완전히 제거하는 신경치료가 필요하다.
1.3. 신경치료 시 주의사항
신경치료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치료 중에는 치료 받는 치아방향으로 음식물을 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신경치료 중인 치아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부러지기 쉬우므로 질긴 음식은 자제해야 한다.
둘째, 신경치료 후에는 치실 사용 및 치아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충전물로 보강되지만 여전히 약한 상태이므로 깨끗한 구강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6개월에 한 번 정도 정기적으로 치과검진을 받아야 한다.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아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신경치료 시에는 치료받는 치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치료 후에도 철저한 구강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신경치료의 성공적인 예후와 치아의 장기적인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1.4. 신경치료 과정
신경치료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엑스레이 사진을 찍어 치아의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손상된 치아 부위를 안전하게 제거해준다. 다음으로 염증 신경을 제거하고, 염증 신경이 자리 잡았던 공간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염증이 완전히 사라지면 신경관을 충전 약재로 밀봉하여 막는다. 신경치료를 마친 후에는 단단한 보철물(크라운)로 치아가 깨지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치수를 제거하고 소독하며, 신경관을 충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치아의 내부 감염을 치료하고 보존하는 것이 목적이다.
1.5. 신경치료 재료와 기구
신경치료(Endo:Endodontic treatment)를 위해 필요한 재료와 기구는 환자의 치아상태 파악, 신경치료 첫째날, 둘째날, 셋째날, 넷째날(마지막날) 등 단계별로 다르다.
첫째날에는 와동 형성, 치수실 개방(A/O), 발수(P/E) 등을 위해 dental mirror, pincette, explorer, round bur, prep bur, endo-Z bur, fc(formcresol) 또는 depulpin, Cotton Pellet, sotopper, caviton, alcohol cotton Pellet 등을 사용한다.
둘째날에는 근관세척(C/I), 근관장길이측정(WL/D), 근관확대(C/E)를 위해 Root-zx, endo ruller, gg bur, File(K-file, H-file, Niti file), RC-Prep, saline, naocl, Paper point, Smooth broach 등을 사용한다.
셋째날에는 근관 소독(CD)을 위해 saline, naocl 등을 사용하고, 넷째날(마지막날)에는 근관 충전(CF)을 위해 saline, naocl, Paper point, endo ruller, Gutta-Percha point, Accessory Cone, master Cone, Sealer pex, Spreader(Hand Spreader, Finger Spreader), Cutter, Plugger 또는 Condenser 등을 사용한다.
Vitapex는 수산화 칼슘, 요오드포름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력이 우수하고 지용성이며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로 사용되며, Calcipex는 Calcium hydroxide 제재로 강한 소독 효과가 있는 수용성 제품이다.신경치료 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와 기구들은 치료 단계 및 목적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이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유를 돕기 위한 것으로, 재료와 기구를 적절히 활용해야 성공적인 신경치료가 가능하다. 특히 각 단계별로 어떤 용도로 어떤 재료와 기구를 사용하는지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경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경치료 재료와 기구는 치아 내부 구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