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몰트라우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라비앙 로즈 속의 에디뜨 삐아프
1.1.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
1.2. 에디뜨 삐아프의 성인기
1.3. 에디뜨 삐아프의 성격 발달
1.4. 에디뜨 삐아프의 사회성 발달
2. 에디뜨 삐아프의 발달에 대한 교육적 처지 방안
3. 지식의 쇠퇴
3.1. 사고의 정지
3.2. 집단지성의 감축
3.3. 해결책: 교육
3.4. 사소한 것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라비앙 로즈 속의 에디뜨 삐아프
1.1.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
영화 '라비앙 로즈'에서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는 매우 불우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삐아프는 부모로부터 적절한 양육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었던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그녀의 후의 성격 및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영화 초반부에 삐아프는 거리에서 방치된 채 노부인이나 매춘 가게 여인들에게 말을 걸어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삐아프가 유년기에 형성해야 했던 기본적인 애착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프로이드의 성격 발달 이론에 따르면, 구강기와 항문기에 해당하는 유년기에 형성되어야 할 기본적인 신뢰감과 자율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삐아프의 부모는 거리의 곡예사와 악사로 묘사되는데, 이는 삐아프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지 못했음을 암시한다. 대신 삐아프는 할머니가 운영하는 매춘 가게에 맡겨지는데, 이 과정에서 그녀는 정서적 결핍과 폭력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듯 삐아프의 유년기는 애정과 보호가 결여된 채 방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영화에서 삐아프가 할머니 대신 자신을 돌봐준 '티틴'이라는 인물을 만나면서 변화의 계기를 맞는다. 티틴은 삐아프에게 애정과 관심을 보여주며, 그녀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이를 통해 삐아프는 점차 자신감을 회복하고 노래 재능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그녀의 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영화 '라비앙 로즈'에서 에디뜨 삐아프의 유년기는 매우 불우했지만, 그녀를 보살펴준 티틴의 존재로 인해 삐아프가 이를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유년기의 경험이 개인의 성격과 사회성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2. 에디뜨 삐아프의 성인기
에디뜨 삐아프의 성인기는 그녀의 성격 발달과 사회성 발달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던 시기이다. 유년기 동안 겪었던 아픔과 상처들이 성인기로 이어지면서 그녀의 성격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나가며 세계적인 가수로 성장할 수 있었다.
성인이 된 에디뜨 삐아프는 때때로 신경질적이고 즉흥적이며 강박적인 모습을 보였다. 영화 에서 묘사되는 바와 같이, 무대에서 쓰러져도 계속해서 노래를 부르는 등 노래에 대한 강박이 두드러졌다. 이는 어린 시절부터 노래가 유일한 자아실현의 통로였기 때문에 생겨난 특성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열정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강박증적인 성격으로 인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에디뜨의 성격은 또한 자유분방하고 유쾌한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주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새로운 도전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는 그녀가 유년기에 겪었던 소외와 방치로 인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했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성인이 된 에디뜨는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스스로의 가치를 인정받고자 했으며, ...
참고 자료
김영봉 외 4명, 『신 교육학개론』, 서현사, 2008
우준태, 「충동조절장애 특징 ‘공격적 행동’...치료법은?」, 헬스조선, 2015
지식의 쇠퇴
오마에 겐이치의 21세기 집단지성론
오마에 겐이치 저. 양영철 역. 말글빛냄 200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