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및재해간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응급및재해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응급 및 재난재해간호
1.1. 재해관리와 응급의료전달체계
1.2. 응급간호
1.2.1. 응급간호실무 범위
1.2.2. 응급간호 요소
1.2.3. 응급간호의 목표
1.2.4. 응급환자 특성과 간호
1.3. 응급처치의 일반적 원칙
1.4.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
1.4.1. 병원 전 단계
1.4.2. 병원 단계
1.5. 응급 환자의 사정
1.5.1. 상황에 따른 소생술
1.5.2. NEDIS에 따른 평가
1.5.3. 응급간호 순서

2. 무의식 환자 응급간호
2.1. 무의식의 정의 및 원인
2.2. 응급간호

3. 외상 환자 응급간호
3.1. 다발성 외상과 응급간호
3.2. 감염 예방

4. 열, 냉 관련 응급상황과 간호
4.1. 열에 의한 손상
4.2. 냉에 의한 손상

5. 약물중독 및 과용 시 응급간호

6. 교상 환자 응급간호

7. 쇼크 환자 응급간호
7.1. 쇼크의 개념 및 단계
7.2. 쇼크의 병태생리
7.3. 쇼크 환자 사정 및 협동적 관리
7.3.1. 진단검사
7.3.2. 약물요법
7.3.3. 치료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응급 및 재난재해간호
1.1. 재해관리와 응급의료전달체계

재해관리와 응급의료전달체계는 각종 재해를 관리하고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개발과 집행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대응체계이다. 응급의료체계(EMS: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는 불의의 사고로 인한 질병 발생 시 신속한 응급처치와 병원 진료를 통해 응급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유기적인 연결체계이다. 응급의료체계의 4가지 요소로는 병원 전 처치단계, 이송단계, 병원진료단계, 그리고 통신체계가 있다. 병원 전 처치단계에서는 현장에서 주로 응급구조사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제공하고, 이송단계에서는 응급처치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병원으로 이송한다. 병원진료단계에서는 병원에 도착하여 각 진료과의 의료기술을 집중하여 처치를 시행하며, 통신체계에서는 응급 환자 발생 시 신고를 받고 구급차와 병원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응급의료체계를 통해 응급 환자의 신체와 생명에 대한 위협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


1.2. 응급간호
1.2.1. 응급간호실무 범위

응급간호실무 범위는 간호사정, 분석, 진단, 계획, 중재, 결과확인, 평가 등을 포함한다"" 즉, 실제적 또는 잠재적이고 갑작스럽거나 위급하게 발생된 신체적 또는 사회심리적 문제들에 대한 전반적인 간호실무를 의미한다"" 이는 최소한의 돌봄이나 생명지지를 위한 방법, 환자 또는 보호자 교육, 적절한 의료체계와 법에 대한 지식을 요구한다""

응급간호실무는 광범위한 지식과 신속하고 사려 깊은 사정기술, 생리적 반응, 사회심리적 행위, 위기중재, 의사소통술, 중증 환자 간호, 상해간호 및 기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간호 등을 포함한다""


1.2.2. 응급간호 요소

응급간호 요소는 광범위한 지식과 신속하고 사려 깊은 사정기술, 생리적 반응, 사회심리적 행위, 위기중재, 의사소통술, 중증 환자 간호, 상해간호 및 기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간호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지식이란 응급환자의 병력, 증상 등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을 의미한다. 신속하고 사려 깊은 사정기술은 응급상황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사정하여 필요한 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리적 반응은 쇼크, 출혈, 저산소증 등 응급상황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인지하고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사회심리적 행위는 응급환자와 보호자의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간호 행위를 말한다. 위기중재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제공하는 능력을 말한다. 의사소통술은 응급상황에서 환자와 보호자와의 효과적인 소통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중증 환자 간호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 대한 집중적이고 전문적인 간호를 말하며, 상해간호는 외상 환자에 대한 손상 부위의 신속한 사정과 처치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기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간호는 응급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간호사의 역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응급간호 요소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상황 대처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2.3. 응급간호의 목표

응급간호의 목표는 "위험한 질병이나 상해를 입은 환자에게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소생과 안정을 찾게 하는 것"이다. 응급환자는 돌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불안해하거나 공포와 혼란상태에 빠지게 되며 때로는 화를 내고 자제력을 잃을 수 있으며 품위를 상실하기도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응급간호를 위해서는 환자의 감정이나 요구, 관심을 파악하고 환자 가족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과 요구사항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의료진은 성실한 태도로 환자 상태를 관찰하고 치료하며, 환자 정보를 가족들에게 충격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게 전하는 일이 중요하다.


1.2.4. 응급환자 특성과 간호

응급환자는 갑작스런 지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에 놓인 환자를 의미한다. 응급환자는 돌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불안해하거나 공포와 혼란상태에 빠지게 되며, 때로는 화를 내고 자제력을 잃을 수 있으며 때로는 품위를 상실하기도 한다. 따라서 응급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감정이나 요구, 관심을 잘 파악하고, 환자 가족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과 요구사항을 경청하여야 한다. 또한 의료진은 성실한 태도로 환자 상태를 관찰하고 치료에 임해야 한다.

응급환자는 지병이나 상해로 인해 건강과 생명이 급박하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에, 응급간호에서는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손상의 정도를 빨리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응급간호에서는 즉각적으로 또는 잠재적으로 생명에 위협이 되는 환자 문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응급간호에는 광범위한 지식과 신속하고 사려 깊은 사정기술, 생리적 반응과 사회심리적 행위에 대한 이해, 위기중재 능력, 효과적인 의사소통술, 중증 환자 간호 및 상해간호 능력 등이 요구된다.

특히 응급환자는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여 불안, 공포, 혼란 등의 심리적 반응을 보이므로,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과 요구, 관심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 가족에 대한 관심과 지지도 중요한데, 환자 정보를 제공할 때 가족들이 큰 충격을 받지 않도록 배려하고, 환자 상태에 대한 일관성 있는 설명으로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

응급환자 간호에는 ABC(Airway, Breathing, Circulation)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생명징후를 안정화시키는 응급처치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흉통, 골절 등 주요 증상에 대한 검사와 처치를 신속히 진행하고, 환자의 과거력과 알레르기, 투약력 등 정보를 조사하여 적절한 처치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정서적 지지를 통해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인 상태 평가와 기록으로 상황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응급환자 간호는 생명을 구하고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이지만,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요구에도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응급간호사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환자 중심의 공감적 태도를 겸비해야 할 것이다.


1.3. 응급처치의 일반적 원칙

응급처치의 일반적 원칙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기도, 호흡, 순환(ABC's)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생술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확인한다. 기도의 개방성과 적절한 환기 유지에 주력하며, 출혈량과 심박출량에 따른 적절한 처치를 실시한다. 효과적인 혈액 순환의 유지를 통해 쇼크를 예방한다.

신속하고 전반적인 신체검진을 시행하여 흉통, 골절 등 주요 증상을 확인한다. 알레르기반응, 저혈당, 경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병력을 확인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멸균 드레싱으로 상처를 보호하고, 무의식 환자의 경우 금식을 유지하여 흡인의 위험을 줄인다.

환자의 불안감 감소를 위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진행경과를 설명한다.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관찰, 기록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즉시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한다.응급처치의 일반적 원칙은 환자의 기도, 호흡, 순환(ABC's)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생술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확인하며, 기도의 개방성과 적절한 환기 유지, 출혈량과 심박출량에 따른 적절한 처치, 효과적인 혈액 순환의 유지를 통해 쇼크를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신속하고 전반적인 신체검진, 기저질환 확인, 상처 관리, 환자의 정서적 지지, 활력징후 관찰 및 기록, 필요시 즉시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1.4.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
1.4.1. 병원 전 단계

응급 환자 중증도 분류에서 병원 전 단계는 환자의 확인, 분류, 안정, 응급처치, 이송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응급 환자 발생 시 현장에서 응급구조사가 환자의 ...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대한심폐소생협회 -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4p~34p
사례&인터뷰
https://www.min-iren.gr.jp/?p=11397 - 여러사례
https://www.yna.co.kr/view/AKR*************0073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ja&u=https://medical.jiji.com/topics/1236&p
rev=search - 대피소 사례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ja&u=https://www.ikyo.jp/commu/disaster/
dmat-002&prev=search - 현장 파견 나간 간호사 선생님 사례
http://disaster-nursing.com/disaster_nursing/kyouiku_to_igaku.html - 파견 나간 간호사 선생
님 사례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4254&searchKey=&searchWord=&pageIn
dex=1 - 서울대학교 병원뉴스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4254&searchKey=&searchWord=&pageIn
dex=1 -지진 시 고혈압 환자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ja&u=https://www.buzzfeed.com/jp/kotahat
achi/311fukushima-ptsd&prev=search - PTSD 사례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804 - PTSD 치료
http://www.mykpcc.com/bbs/board.php?bo_table=07_9 - PTSD 치료
동일본대지진 관련
https://ne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D%98%B8%EC%BF%A0_%EC%A7%
80%EB%B0%A9_%ED%83%9C%ED%8F%89%EC%96%91_%ED%95%B4%EC%97%AD_%EC%A
7%80%EC%A7%84ws.joins.com/article/5205137
https://www.yna.co.kr/view/AKR*************0073
https://www.min-iren.gr.jp/?p=11397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