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제의 정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펌제의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퍼머넌트 웨이브의 개요
1.1. 퍼머넌트 웨이브의 정의 및 목적
1.2. 헤어 디자인의 3요소

2. 퍼머넌트 시술에 사용되는 도구
2.1. 퍼머넌트 시술에 필요한 도구
2.2. 도구의 기능 및 사용법

3. 퍼머넌트 웨이브의 원리
3.1. 제1제의 환원작용
3.2. 제2제의 산화작용

4. 퍼머넌트 시술 과정
4.1. 퍼머넌트 시술 단계
4.2. 펌제의 종류와 특성

5. 모발 상태에 따른 적절한 펌제 선택
5.1. 모발의 특성에 따른 펌제 선택 기준
5.2. 펌제 선택의 중요성

6. 퍼머넌트 웨이브의 응용
6.1. 스파이럴식 와인딩
6.2. 스킵웨이브(skip wave)

7. 열펌과 아이론펌의 원리
7.1. 열펌의 원리와 작용
7.2. 아이론펌의 작용과 온도

8. 세팅(setting) 퍼머넌트
8.1. 모발 구조와 수소결합
8.2. 아이론펌의 특성

9. 직펌과 디지털 퍼머넌트
9.1. 직펌 시술 과정
9.2. 디지털 퍼머넌트 시술 과정

10. 볼륨 매직 스트레이트
10.1. 볼륨 매직 스트레이트의 원리
10.2. 모발 진단 및 상담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퍼머넌트 웨이브의 개요
1.1. 퍼머넌트 웨이브의 정의 및 목적

퍼머넌트 웨이브란 자연 상태의 모발에 물리적·화학적인 방법을 가하여 모발의 구조나 형태를 변화시켜 웨이브(wave) 상태를 형성시켜 그 웨이브가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영속적인 파도와 같은 움직임"이며 오랫동안 웨이브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퍼머넌트 웨이브의 목적은 퍼머넌트 종류와 각각의 특성 및 효과를 잘 파악하여 고객의 개성과 취향에 어울리는 퍼머넌트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커트의 보완을 통해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것이다.


1.2. 헤어 디자인의 3요소

헤어 디자인의 3요소는 "형태(form), 질감(texture), 칼라(color)"이다. 모발의 질감을 살릴 수 있는 감성기술로 커트(cut) 스타일에 따라 그에 어울리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두상의 형태에 따라 볼륨감을 나타낼 수도 있다. 모발량 분위기 조절 효과로 스트레이트로 볼륨(volume)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본적인 블로킹과 와인딩 기법을 익힌 후 5,7,9등분 스타일로 와인딩을 테스트할 수 있다.


2. 퍼머넌트 시술에 사용되는 도구
2.1. 퍼머넌트 시술에 필요한 도구

퍼머넌트 시술에 필요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고객 가운은 퍼머넌트에 사용되는 제품 등이나 여러 가지로부터 고객의 의류나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타올은 면 소재의 변색이 잘 되지 않는 색상을 선택하며, 통일감을 주기 위해 1~2가지의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로드,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 시술 장갑, 꼬리빗, 고무줄, 엔드페이퍼, 비닐 캡, 스틱, 타이머, 헤어밴, 핀셋, 핀컬핀, 탈지면, 헤어샴푸, 린스, 도끼빗이나 브러시, 헤어드라이기, 드라이롤, 헤어 스티머기 등이 퍼머넌트 시술에 사용되는 주요 도구이다. 이러한 도구들은 모발의 변형과 고정, 약제의 도포와 작용, 시술 과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2.2. 도구의 기능 및 사용법

퍼머넌트 시술에 사용되는 도구의 기능 및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로드(rod)는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을 감아 웨이브 모양을 만들어 주는 도구이다. 일반로드와 특수로드가 있으며, 특수로드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만들어져 모발의 웨이브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큰 로드를 사용하면 느슨한 웨이브가, 작은 로드를 사용하면 타이트한 웨이브가 만들어진다.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 용제는 환원제인 제1제와 산화제인 제2제로 구성된다. 제1제는 티오글리콜산 또는 시스테인 계열의 화합물이며, 모발 내부의 시스틴 결합을 끊어 모발을 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제는 과산화수소나 취소산 염류를 주성분으로 하며, 제1제의 작용으로 절단된 시스틴 결합을 재형성하여 새로운 모양을 고정시킨다.

시술 장갑은 퍼머넌트 시술 중 화학제품으로부터 미용사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꼬리빗(rat tail comb)은 모발을 가르거나 나누어 와인딩하기 쉽게 하는 도구이다. 재질은 부드럽고 표면이 매끄러워야 하며, 빗살이 고르게 배치되어 있어야 한다.

고무줄(replacement rubber)은 와인딩된 로드를 두피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발에 적절한 탄력을 주어 웨이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엔드페이퍼(end paper)는 모발을 로드에 균일하게 감는 것을 돕고, 환원제가 모발에 과도하게 흡수되어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비닐 캡(vinyl cap)은 환원제의 도포가 끝나면 씌워 두피와 모발 전체에 환원제가 고르게 작용하도록 하고, 휘발성 알칼리의 방출을 막는다.

그 외에도 스틱, 타이머, 헤어밴드, 핀셋, 핀컬핀, 탈지면, 헤어샴푸, 린스, 도끼빗, 브러시, 헤어드라이기, 드라이롤, 헤어 스티머기 등 퍼머넌트 시술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의 전 과정에서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미용사가 효과적이고 안전한 시술을 진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3. 퍼머넌트 웨이브의 원리
3.1. 제1제의 환원작용

퍼머넌트 웨이브의 제1제는 환원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티오글리콜산(thioglycolic acid)과 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알칼리성분인 암모늄염은 모발을 팽윤시키고 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티오글리콜산은 모발 내 케라틴 단백질의 시스틴 결합을 환원시켜 절단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모발에 제1제를 작용시키면, 티오글리콜산 또는 시스테인의 환원작용에 의해 모발의 시스틴 결합이 2개의 시스테인으로 절단된다. 이 때 티오글리콜산 또는 시스테인은 디티오글리콜산(dithioglycolic acid) 또는 시스틴(Cystine)이 생성된다.

이러한 환원작용을 통해 모발의 구조가 변형되어 원하는 웨이브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3.2. 제2제의 산화작용

제2제의 산화작용은 환원된 시스테인을 다시 산화시켜 원래의 시스틴 결합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제1제에 의해 절단된 시스...


참고 자료

이하나,조희숙(2010), 모발에 알칼리제를 적용 했을시 손상도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김양자(2006), 퍼머넌트 웨이브 디자인 과정 중에 발생하는 모발의 손상 분석과 보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김철중 외(2005), 화학제 처리 모발의 구조 변화 연구, 한국모발학회
고경숙(2010). 유용미생물 사용 시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성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유태순,정연,김정해(2006).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방법에 따른 모발의 물리적·역학적 특성 변화.한국의류산업학회지
강미영,「퍼머넌트 웨이브 – 베이직 펌」, 『헤어퍼머넌트웨이브 강의자료』, 2020.
김하형, 「“불법 퍼머넌트 웨이브제 판친다” 고급 펌제 대부분 법규 위반...제조기준 변경 시급」, 『뷰티누리』, 2004.
유태순, 김정해, 정연,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방법에 따른 모발의 물리적·역학적 특성 변화」,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06.
박초희, 「퍼머넌트 웨이브에 따른 모발 손상도의 물리적 속성 변화에 관한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3
모발 미용학, 이원경 | 청구문화사 | 1998년 11월 30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