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인생 회고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서전의 개념과 특성
2.1. 자기고백의 특성
2.2. 역사성
2.3. 자기반성
3. 비비언 고닉과 「상황과 이야기」
3.1. 비비언 고닉 소개
3.2. 「상황과 이야기」 주요 내용
3.2.1. 글쓰기의 구조와 텍스처
3.2.2. 자전적 이야기와 페르소나
3.2.3. 에세이 쓰기의 역동성
3.2.4. 회고록의 성격과 중요성
3.3. 저자의 글쓰기 지도 방법
4. 자전적 글쓰기의 실제
4.1. 연보 작성
4.2. 자서전 일부 작성
5. 자서전의 교육적 가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서전은 '한 개인의 살아온 이야기'이다. 사실상 그 이야기들만 담겨 있다면 자서전이다. 물론 비교적 포괄적 개념일 수는 있다. 하지만 자서전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자서전이 아니라고 할 수는 더더욱 없다. 자서전은 무엇인가. 독자는 왜 자서전을 읽는가. 우리가 말하는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자서전은 '살아온 이야기'로 규정지을 수 있다. 그 주체가 누구든 그 사람이 살아온 이야기가 곧 자서전이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의 살아온 이야기를 독자들은 왜 읽을까. 이것은 곧 자서전의 특성 및 자서전의 독서 동기와 맥을 같이 한다. 그 특성이 곧 자서전을 읽는 이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자서전의 개념과 특성
2.1. 자기고백의 특성
자기고백의 특성은 자서전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자서전은 자기기록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작가 자신의 살아온 이야기를 진실(진솔)하게 풀어놓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고백이 없으면 자서전은 의미가 없다. 대부분의 내용은 주위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채워놓은 자서전을 내놓을 이유도 없을 것이다.
자기고백의 특성은 작가 자신의 솔직한 내면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고백은 작가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서전에서 작가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공개적으로 고백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발견과 성장을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때로는 부끄러운 과거나 실수를 고백하기도 하지만, 이는 작가 자신의 진실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기고백의 특성은 자서전을 단순한 기록이 아닌 문학적 작품으로 만든다. 작가는 자신의 내적 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냄으로써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자서전은 단순한 사실의 나열을 넘어서 작가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과 의미 부여의 장이 된다. 따라서 자기고백의 특성은 자서전의 핵심이자 문학성을 담보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2. 역사성
자서전의 역사성은 자서전이 지난날의 기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서전은 과거의 개인적 경험과 사건들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역사성을 가진다. 이는 자서전이 개인의 삶의 궤적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사도세자의 빈 혜경궁 홍씨가 남긴 『한중록』은 개인의 자전적 회고록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사실들이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자서전은 개인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평범한 개인의 삶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서전은 단순히 개인의 역사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서전에는 작가가 살아온 시대상과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서전을 통해 특정 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사회·문화적 특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자서전은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서전은 작가 개인의 삶과 그 시대 상황이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기록이기도 하다. 즉, 자서전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관점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것이 공적 영역과 맞물려 형성된다는 점에서 역사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종합하면, 자서전의 역사성은 개인의 삶의 궤적을 기록하는 동시에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다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자서전은 단순한 개인의 기록을 넘어서 특정 시대상을 담아내는 중요한 문헌이 된다고 할 수 있다.
2.3. 자기반성
자기반성은 자서전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자서전은 일차적으로 자기 독백이며 자기 고백이다. 이는 필연적으로 자기반성을 동반한다. 지난날을 돌이켜보는 것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그것은 곧 자기반성을 의미한다. 아무리 단순한 기록이라 하더라도 그 기록을 통해 훗날 어떤 형태로든 수정 또는 반영된다면 그것 역시 같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서전은 자기 인식의 과정이자 자기 이해의 과정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과거의 자신을 돌아보고 성찰하며, 현재의 자신을 발견하고 미래의 자신을 구상할 수 있다. 자서전 작가는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또한 자서전은 작가의 내면세계와 경험, 관점을 드러내는 창구이자 작가 자신과 대화하는 과정이다. 작가는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되돌아보며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미래를 구상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성찰은 작가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자서전의 자기반성적 특성은 작가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객관화하고 성찰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자아정체성 확립과 자기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3. 비비언 고닉과 「상황과 이야기」
3.1. 비비언 고닉 소개
비비언 고닉은 미국의 비평가이자 저널리스트, 에세이스트로, 뉴욕시티칼...
참고 자료
상황과 이야기 - 에세이와 회고록, 자전적 글쓰기에 관하여, 비비언 고닉 (지은이), 이영아 (옮긴이), 마농지, 2023-09-05
(원제 : The Situation and the Story: The Art of Personal Narrative)
유호식 (2004). 『자서전과 허구』,불어불문학 연구.
최영민. 『쉽게 쓴 자기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11.
최경도(2008),「자서전 연구의 성격과 전망」, 영미문학교육.
원철(2013),「차이와 생성으로서의 디지털 서사: 공감각적 내재성」, 인문연구.
류은희 (2002).『자서전 장르규정과 그 문제 : 역사기술과 시로서의 자서전』,독일문학.
유성경, 김유진(2015),「삶의 의미추구와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 및 기본심리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