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및 치료이론의 개념(자아분화, 삼각관계, 핵가족정서체계, 가족투사과정, 다세대 전수과정, 출생순위, 정서적 단절, 사회적 퇴행)들을 바탕으로 가족관계 역동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이론
1.1. 이론적 특성
1.2. 주요 개념
1.2.1. 자아분화
1.2.2. 삼각관계
1.2.3. 핵가족 정서과정
1.2.4. 가족투사과정
1.2.5. 다세대 전수과정
1.2.6. 출생순위
1.2.7. 정서적 단절
1.2.8. 사회정서적 과정
1.3. 치료목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이론
1.1. 이론적 특성
가족치료의 선구자들이 사회적 산물로서의 인간을 인정하면서도 대체적으로 관심의 초점을 핵가족에만 국한시켰다면,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은 핵가족에 초점을 두면서도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대에 걸쳐 진행되어 온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보웬에 따르면 어느 시기이든 이 3대가 주요한 정서적 장을 이룬다.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은 8개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행동과 문제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보웬 이론의 핵심은 통일성(togetherness)과 개성(individual)이라는 양극의 두 세력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왔다. 동질화 쪽으로 기울면 '융합(fusion)', '미분화(undifferentiation)'라고 하며, 자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인 '분화(differentiation)'는 양극단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는다. 보웬은 현재의 가족관계를 원가족과의 분화의 정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보았다.
보웬의 가족치료는 항상 방법보다는 방향에, 기법보다는 이론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가족체계이론 중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평가받는다. 보웬의 가장 뛰어나고 영향력 있는 제자인 필립 거린(Philip Guerin)과 토마스 포가터(Thomas Fogarty)는 보웬의 접근방법을 수정하여 증상의 형성과 유지에 위 세대의 직접적이고 분명한 영향이 없는 경우에는 핵가족만 대상으로 삼아도 좋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치료결과를 강화하거나 개인 및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만 위 세대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들은 또한 보웬 학파의 심리치료자들이 가진 기존의 이론적 관심 외에도 성, 민족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였다.
1.2. 주요 개념
1.2.1. 자아분화
자아분화는 보웬 이론의 핵심개념으로, 정신 내적인 동시에 대인관계적 개념이다. 개인의 자아정체감과 관련되어 있으며, 정서적 융합과 분화의 정도를 나타낸다.
분화가 이루어진 사람은 사고와 감정이 균형을 이루는 강한 정서와 자발성, 정서적 충동에 저항할 수 있는 자제력과 객관성, 대인관계에서 신념에 따라 행동하고 상대방의 영향에 좌우되지 않으면서도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분화의 정도가 낮은 사람(융합의 정도가 높음)은 주변 사람의 감정이나 반응에 지나치게 민감하며, 가족이나 권위적인 사람의 지시에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자주적 정체감이 없어 자신과 타인을 분리시키기 어려운 특징을 보인다.
보웬은 개인의 자아분화 ...
참고 자료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류현수, 동문사, 2014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강의 교재안 참조
사회복지실천론, 양정빈 외, 학지사, 2020
Family Therapy. Goldenberg, Irene & Goldenberg, Herbert. 가족치료. 김득성 외 역. 시그마프레스, 2003.
가족상담. 김유숙. 학지사, 2015.
가족치료: 이론의 실제. 김유숙. 학지사, 2012.
Family Evaluation. Kerr, M. E. & Bowen, Murray.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공역, 학지사, 2005.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법. 송정아, 최규련. 하우 출판사, 1999.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Nichols, Michael P. & Schwartz, Richard C.가족치료 개념과 방법. 김영애 외 역. 시그마플레스, 2005.
Family Therapy: A Systemic Integration. Becvar, D. S. & Becvar, R. J. 가족치료: 체계론적 통합. 정해정·이형실 역. 도서출판 하우, 2006.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김혜숙. 학지사, 2003.
가족관계와 가족치료. 송성자. 홍익제, 1991.
가족치료 이론. 김용태. 학지사, 2000.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에 근거한 신학대학원생의 가족배경 분석 및 상담. 김영근. 복음과 상담 16. 2011.
영화 <세자매> 분석을 통해 본 아동기 정서학대의 다세대 전수과정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박혜진.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22.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