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스피린의 화학적 구조와 역사
1.1. 아스피린의 화학적 구조
아스피린의 화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아스피린은 분자 내에 에스터기(-COOR), 아세틸기(CH3COO-), 카복실기(-COOH)를 가지고 있다. 아스피린은 벤조산(benzoic acid)의 2번 위치에 아세톡시가 치환된 구조이며, 살리실산(2-hydroxybenzoic acid)을 모핵으로 보면 하이드록시기가 아세톡시(acetoxy; OCOCH3)기로 치환된 화합물이다. 즉, 아스피린은 살리실산에 아세트산 무수물이 작용하여 에스터화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화합물로, 화학식은 C9H8O4이고 분자량은 180.157이다.
1.2. 아스피린의 역사
1.2.1. 버드나무 껍질과 살리신
기원전 2500년 이전부터 버드나무 껍질이나 잎을 씹으면 진통 및 해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는 버드나무로부터 나오는 살리신(salicin)이라는 물질이 체내에서 대사가 일어나 살리실산으로 바뀌어 진통 및 해열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살리신은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영양 풍부한 나무 바크나 잎사귀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 그 주요 약리 성분이 살리실산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살리실산의 효과가 오래 지속되게 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1828년에 독일 약사 요한 부흐너(Johann Andreas Buchner)가 삶은 버드나무 껍질로부터 최초로 노란색 물질을 얻어내었고, 이를 라틴어로 버드나무(salix)에 유도체를 뜻하는 in을 붙여 살리신(salicin)이라고 명명하였다. 살리신은 체내에서 살리실산으로 대사되어 진통 및 해열 작용을 나타낸다.
1.2.2. 아세틸살리실산 합성의 역사
1851년에 프랑스 화학자 찰스 게르하르트(Charles Frederic Gerhardt)는 최초로 아세틸살리실산을 합성하였다. 비록 당시의 아세틸살리실산 순도가 높지 않았지만, 이는 최초로 아스피린 합성에 성공한 사례였다. 이후 1897년에 독일 제약회사 바이엘(Bayer)의 펠릭스 호프만(Felix Hoffmann)이 조팝나무 껍질 추출물 연구를 통해 순도 높은 아세틸살리실산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1899년 1월, 바이엘 사에서는 분말 형태의 아세틸살리실산을 아스피린이라 명명하고 1899년 7월부터 진통 및 해열제로 판매를 시작하였다. 이후 아스피린은 1950년대 가장 많이 판매되는 약물로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2. 아스피린의 의약품 활용
2.1. 아스피린의 효능
아스피린은 해열, 진통, 소염 효과가 있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을 가라앉히는데 효과적인 비마약성 진통제이다. 또한 혈액의 응고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어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에도 사용된다"."
아스피린의 대표적인 효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열 효능이 있다. 아스피린은 체온을 내리는 기능이 있어 감기나 발열로 인한 고열을 내리는데 효과적이다"."둘째, 진통 효능이 있다. 아스피린은 통증을 줄이고 통증의 전달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어 두통, 근육통, 월경통 등의 진통에 효과적이다"."셋째, 소염 효능이 있다. 아스피린은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관절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등의 소염에 효과적이다"."넷째, 혈전 예방 효과가 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방해함으로써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준다"."따라서 아스피린은 해열, 진통, 소염, 혈전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대표적인 의약품이라 할 수 있다.
2.2. 아스피린의 활용
아스피린은 다양한 의약품 활용도를 가지고 있다. 먼저 해열, 진통, 소염 작용이 있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특히 500mg 용량의 아스피린은 감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