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전거 발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공공자전거 정책
2.1. 공공자전거 정책의 추진 배경
2.2. 국내외 공공자전거 정책 사례
3. 창원시 공공자전거 정책 '누비자'
3.1. 누비자 도입과 발전 과정
3.2. 누비자의 효과
3.2.1. 환경 및 경제적 효과
3.2.2. 시민 만족도
4.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발전과 활성화
4.1.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개념 및 현황
4.2.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사회적 영향
4.3. 마이크로 모빌리티 확산을 위한 개선 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재 도심 속에서 사람들이 공공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개인용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보다 대여소에서 빌려 반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내가 거주하는 서울시에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활발히 운영중이다. 대여소가 주위에 많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근거리를 대중교통보다 자전거를 타고 가기에 편리하다. 예전에는 개인용 자전거도 없고 보관도 불편하여 자전거를 탈 생각조차 없었는데 공공자전거가 생기고 나서 기분 전환하고 싶거나 이동할 때 공공자전거를 즐겨 타게 되었다. 이러한 편리성 때문에 공공자전거에 대해 더 깊이 조사해보고자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2. 공공자전거 정책
2.1. 공공자전거 정책의 추진 배경
창원시는 기존의 공업도시의 이미지에 부담을 느껴왔다. 이에 창원시는 도시의 이미지를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2008년 '환경올림픽 람사르 총회'를 개최하는 도시로서 대기 환경 개선은 반드시 이뤄야 할 중점 과제였다. 따라서 창원시는 박완수 당시 창원시장 주도 하에 '환경수도 창원'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2006년부터 환경에 관한 정책을 적극 추진했다. 그 중 하나가 자전거이용 활성화 정책이고 더 세부적인 정책으로 공공자전거 정책을 추진했다. 일단 입지적으로 보면 창원시는 계획도시로서 1974년 최초의 도시기본계획에서도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할 정도로 자전거 정책을 도입하기 좋았으며 현재도 자전거 전용도로가 잘 설치되어 있어 자전거 관련 정책을 펼치기 최적의 도시다. 또한 창원시는 분지지형에 만들어진 도시로 대부분 평지 지형이라 자전거를 이용하기도 좋은 환경이다. 또한 계획도시의 특성상 대부분의 도로가 직선으로 길게 이어져 있기도 하다. 따라서 창원시는 상술한 지리적 이점을 등에 업고 자전거 관련 정책을 특화하려 했으나 초기에는 정책 도입에 따른 효과가 미미했다. 정책 추진 초기에 창원시민들은 자전거에 대해 교통수단으로서 보기 보다는 여가수단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므로 창원시민들의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이용률은 낮았다. 그에 따라 창원시는 무료 시민대여 자전거를 도입했으나 자전거 대여 절차가 번거롭고 까다로워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이후 박완수 당시 창원시장과 창원시 공무원들이 외국의 생태도시, 특히 프랑스의 자전거 정책 추진실태를 견학할 당시 접한 벨리브 시스템에 자극을 받고 돌아와 창원시도 이와 같은 3세대 무인공공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단, 창원시는 GPS를 공공자전거에 탑재하고 IT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의 벨리브 시스템에서 발견한 한계들을 보완했다. 이것이 창원시 공공자전거 정책 '누비자'의 시작이 되었다.
2.2. 국내외 공공자전거 정책 사례
국내외 공공자전거 정책 사례는 다음과 같다.
네덜란드의 'White bike'는 기부된 자전거를 이용해 무료로 운영되던 첫 공공자전거였다. 그러나 자전거의 훼손과 도난으로 정착되지 못했다. 이후 1995년 코페하겐의 'Bicyklen'이 시행되었고 동전으로 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현재도 운영중이다. 주로 관광객에게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공공자전거시스템을 운영 중인 도시는 100여개 이상으로 파리,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몬트리올 등이 있다."이다.
3. 창원시 공공자전거 정책 '누비자'
3.1. 누비자 도입과 발전 과정
창원시 공공자전거...
참고 자료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공식 홈페이지 https://www.bikeseoul.com
따릉이 어플
고양시 공공자전거 피프틴 공식 홈페이지 http://www.fifteenlife.com
창원시 공공자전거 누비자 공식 홈페이지 www.nubija.com
대전시 공공자전거 타슈 공식 홈페이지 http://www.tashu.or.kr
현대신문
서울시설공단 – 공공자전거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traffic/bikeseoul.jsp
공공자전거시스템(Public Bike System)의 운영성과 및 국내 도입전략 최기주, 이재영 2010
이코노미 뉴스 http://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26975
이코노미 조선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202
김동준(2010), “국내 공공자전거 운영 현황”,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신희철, 김동준, 정성엽(2012), “공공자전거 효과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우승국, 2014, “공공자전거 이용자 특성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707-708.
정헌영, 2012, “공영자전거 기종점 자료를 활용한 지역별 자전거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495-500
김동준, 정성엽, 한상용, 신희철, 2014, “공공자전거 경제적 효과 분석-고양시 및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63-73
오재성, 김영수, 이창희, 2014, “공공자전거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107-118
권영훈, 2014, “공공자전거 운영을 통한 도시 재생-창원시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171-189
신희철, 김동준, 정성엽, 2012, “공공자전거 효과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 보고서
박근태, 2009,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적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하승우, 2011, “창원시 공공자전거 ‘누비자’ 추진실태”, 월간교통, 60-69
조형규, 2009, “창원시 자전거 정책 추진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85-92
신상범, 2016, “한국 지방 도시 공공자전거 정책의 도입과 지속 요인”, 대한지리학회지, 89-108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에 미래 교통서비스 구축방법 홍다희(2012.11)
스마트 모빌리티 사회 저자 이재호(2019.04)
공공자전거 임대내역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분석 연구, 조재희 백가은, 한국SI학회지, 2021공유 전동킥보드 이용환경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 안다은 이경환 고은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21공유 전동킥보드 이용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수재 이경재 추상호 김상훈, 한국ITS학회논문지, 홍익대학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