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도입
1.1. 영화 '코코'의 배경
영화 '코코'의 배경은 멕시코의 공휴일인 '망자의 날'을 기반으로 한다. "망자의 날"은 매년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걸쳐 3일간 진행되는 멕시코의 전통 명절이다. 이 기간 동안 가족들은 죽은 조상들의 혼을 기리며 제단에 조상의 사진과 그들이 좋아한 음식, 꽃 등을 차려놓고 추모한다.
영화 '코코'의 주인공 미구엘은 구두 제조공인 가족에 속해 있지만, 자신의 꿈은 유명한 가수 에르네스토 델라크루즈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족은 음악을 금기시하고 있는데, 이는 미구엘의 고조할아버지가 가족을 버리고 음악을 좇아 떠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거의 가족사가 미구엘과 가족 간의 갈등을 낳는 배경이 된다.
미구엘은 결국 망자의 날 축제 도중 우연히 죽은 자들의 세계로 들어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조상인 헥토르를 만나게 된다. 헥토르는 미구엘의 증조할아버지였으며, 에르네스토에 의해 죽음에 이르게 된 인물이다. 이처럼 영화 '코코'는 멕시코의 전통 문화와 가족사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1.2. 가족관계론 수업 과제
가족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단위이다.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행동 양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한 가족관계의 유지와 발전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가족관계론 수업에서는 가족의 특성과 기능,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 양상, 그리고 가족 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해결 방안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가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자신의 가족생활을 보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번 과제에서는 영화, 연극,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 나타난 가족 이야기를 통해 가족관계의 핵심 주제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영화 <코코>,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 소설 <카드로 만든 집>에서 드러난 가족애, 가족 갈등, 가족 간 소통과 이해 등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한 가족관계 형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특히 가족관계론 수업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온 주제들, 예를 들어 부모-자녀 관계, 가족 간 의사소통, 가족 갈등의 해결, 가족 문화와 가치관의 전승 등이 각 작품에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작품 속 가족들의 경험이 실제 가족생활과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가족관계의 본질과 중요성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자신의 가족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가족 간의 사랑
2.1. 미구엘과 마마 코코의 관계
미구엘과 마마 코코의 관계는 이 영화에서 가장 따뜻하고 보기 좋은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속 주인공인 12살 소년 미구엘은 증조할머니인 마마 코코와 매우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마마 코코는 나이가 들어 몸을 움직이기 힘들고 정신적으로도 지쳐 일종의 치매를 앓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마마 코코에게 미구엘은 누구보다도 사랑하고 의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미구엘은 매일 마마 코코에게 자신의 일상을 하나하나 수다스럽게 보고하며, 가족 중 그녀에게 가장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등 깊은 유대감이 느껴진다.
마마 코코는 말 한마디도 하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미구엘의 모든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들의 관계는 매우 따뜻하고 아름다워 보인다. 미구엘이 긴 여행을 마치고 무사히 돌아와 마지막으로 찾아와 선물을 건넨 대상도 바로 증조할머니 마마 코코였다. 그리고 이 순간, 마마 코코는 잊었던 기억을 모두 기억해내어 이승의 가족과 저승의 조상들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마마 코코가 가족 간의 사랑을 이어주는 상징적인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구엘과 마마 코코의 관계는 이 영화 속에서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가족 간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헥토르와 코코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