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라산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주도와 한라산의 기후와 생물 유지
1.1. 제주도의 기후
1.2. 한라산의 고도와 기압에 따른 기후 특성
1.3. 제주도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분포
1.4. 한라산의 동물 서식 분포
1.5. 제주도의 멸종위기와 희귀 동식물
2. 제주도 1100고지 습지
2.1. 1100고지 습지의 가치
2.2. 1100고지 습지의 육지화 과정
2.3. 1100고지 습지와 생태관광
3. 제주도와 강원도의 지리여행
3.1. 화산 지리여행 - 제주도
3.2. 석회암 지리여행 - 강원도 삼척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주도와 한라산의 기후와 생물 유지
1.1. 제주도의 기후
제주도의 기후는 남한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제주도는 연중 온난한 기후를 나타내며, 연평균 기온이 약 15.3℃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또한 제주도는 다른 지역보다 기온의 일교차가 작은 편이다.
제주도의 기후는 해안에 인접한 지역과 내륙지역, 그리고 고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제주도 남부 해안 지역은 아열대성 해양기후 특성이 뚜렷한 반면, 한라산 고지대로 갈수록 온대성 기후로 변화한다. 해발고도 1,950m의 한라산 정상부는 고산 기후대의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의 강수량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이며, 강수량의 계절적 편차가 크다. 여름철 집중호우와 동절기 건조한 특징을 보인다. 강수량의 지역적 차이도 크게 나타나는데, 동쪽 지역이 서쪽 지역보다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다. 제주도는 또한 연중 지속적인 바람이 부는 편으로, 평균 풍속이 3.8m/s에 달한다.
제주도의 독특한 기후 특성은 제주도의 생물다양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고도와 기온에 따른 식생의 수직적 분포와 함께, 주변 바다의 영향으로 인한 아열대성 식물 군락 등이 나타난다. 이처럼 제주도의 기후는 섬 지형과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제주도 고유의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2. 한라산의 고도와 기압에 따른 기후 특성
한라산의 고도와 기압에 따른 기후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한라산은 해발고도 1,95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화산폭발을 통해 생성된 지형이기도 하다. 고도와 기압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식생이 살기에 불리한 환경이다. 한라산은 최고 약 18℃, 최저 영하 3℃까지 기후가 변하여 위치에 따른 기후차이도 크다. 고도에 따른 기온변화로 인해 한라산에는 아열대·온대·냉대 등 다양한 기후대가 수직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해발고도 70m 이하의 낮은 지대에는 아열대식물이 많으며, 녹나무를 주로 하는 상록활엽수림대가 발달해 있다.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대림대, 그리고 한대림대로 이어지는 명확한 식생대 구분이 나타난다. 이처럼 한라산의 고도와 기압은 기후와 식생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3. 제주도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분포
제주도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 분포는 지리적 위치와 고도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아열대에서 아한대 기후대까지 수직적으로 나뉘어 나타난다.
제주도의 저지대에는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고, 고지대로 갈수록 온대림대와 한대림대가 형성된다. 이는 제주도의 기온이 고도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이다. 즉,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과 고도에 따른 기온 차이로 인해 식생 분포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다.
저지대의 난대림대에는 녹나무를 주종으로 하는 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한다. 이 지대에는 난대성 특성으로 인해 벚나무, 단풍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혼재하기도 한다. 고도가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면서 온대림대와 한대림대가 형성된다. 온대림대에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의 낙엽활엽수가 주를 이루고, 한대림대에는 구상나무, 가문비나...
참고 자료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4.20.>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4.20.>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4.21.>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4.21.>
신문기사: “멸종위기 ‘전주물꼬리풀’기증” 『경인일보』,
2016.05.13.,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 2016.04.26.>
신문기사: “‘자연의 보고’ 한라산 생물종 1600여종” 『제주도민일보』,
2013.02.22.,
신문기사: “[제주의 자존, 한라산을 말하다](2) 제1부 위기의 생태계”
『한라일보』, 2016.03.07.,
홈페이지: 한라산 국립공원
신문기사: “한반도 기후변화로 침엽수 고사...내륙지역서 발견된 것은 처음”
『동아일보』, 2016.04.04.,
논문: 공우석,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1999,
%9C%EB%9D%BC%EC%82%B0%20%EA%B8%B0%EC%98%A8&ndsCategoryId=10310&librar
y=35,2016.05.15.>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5.15.>
신문기사: “‘세계 7대 자연경관’지구촌의 보물섬이 된 제주도 ”
『경인일보』, 2011.11.14.,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백과
2016.05.18.>
신문기사: “제주 덕천서 발견된 동굴, 거문오름계 가지 동굴”
『제주의소리』,2016.02.29.,
74456>
교재
KBS뉴스, 박수현, 2014.7.24. [글로벌24 이슈] 에코 투어리즘이 뜬다
유네스코와 유산 홈페이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