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학대 관련 법률로만 5페이지 만들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성복지정책 및 서비스
1.1. 돌봄노동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1.1. 보육정책
1.1.2. 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제도
1.1.3. 노인장기요양보험
1.2. 빈곤 해소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3. 여성의 인력개발과 사회참여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3.1. 청년여성 대상 능력개발 취업지원사업
1.3.2. 경력단절여성 대상 능력개발 및 취업지원사업
1.3.3.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와 양성평등 구현을 위한 조치들
1.4. 모자가정보호를 위한 서비스
1.5. 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서비스
1.6.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서비스
1.7. 참고문헌
2. 인간관계론 - 사이버 블링
2.1. 사이버 불링의 정의
2.2. 사이버 불링의 특징
2.3. 사이버 폭력의 특징
2.4. 사이버 불링의 사례
3. 시맨틱 웹
3.1. 시맨틱 웹의 개요
3.2. 시맨틱 웹의 구조
3.3. 시맨틱 웹 활용
3.4. 시맨틱 웹 사례 및 분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성복지정책 및 서비스
1.1. 돌봄노동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1.1. 보육정책
돌봄노동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으로 보육정책이 있다. 정부는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아에 대한 기본 보조금을 도입하고 차등보육료와 만 5세아 무상보육, 장애아 무상교육, 두 자녀 이상 보육료 감면 등을 매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부모 보육료 부담률은 69%로 스웨덴의 17%, 일본의 47%, 미국의 59%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한편, 취업부모들이 이용할 수 있는 직장보육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직장보육서비스 제공 사업장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있다. 보육시설 이용시간을 다양화하고 있고 장애아전담 보육시설은 매년 10개소씩 확충하며, 장애아 통합보육시설을 매년 100개소씩 확대 지정하고 있다.
1.1.2. 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제도
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제도는 여성복지정책 및 서비스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산전후 휴가제도는 출산 전 태아의 순조로운 발육과 출산 후 모체의 회복을 위하여 90일간의 휴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 기간 동안 근로자의 소득보전을 위해 60일분은 사업주가, 30일분은 고용보험에서 급여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우자가 출산한 남성 근로자의 경우 3일간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청구할 수 있다. 육아휴직제도는 만 1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1년간 휴직할 수 있는 제도로, 1995년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을 통해 남성 육아휴직제도도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들은 주로 대기업이나 정규직 근로자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률은 매우 저조한 편이다. 따라서 돌봄의 사회화와 양성평등적 보육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제도와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3.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목욕이나 집안일 등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신체활동 ?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후생활의 안정과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제도이다. 이 제도를 통해 노인에게 질적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의와 함께 그동안 노인수발을 감당해 온 여성들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의의가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 또는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후 생활의 안정과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이를 통해 노인에게 질적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그동안 주로 여성들이 감당해 왔던 노인 수발 부담을 경감시키는 의의가 있다."
1.2. 빈곤 해소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빈곤에 처한 여성가구가 먼저 이용할 수 있는 제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이다. 그러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절대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여서 많은 빈곤 여성이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빈곤 여성가구주의 경우 직업훈련, 취업알선과 같은 소득지원활동과 더불어 심리상담, 육아지원, 의료지원 등의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경제적 욕구가 큰 저소득 모부자가정에 대한 지원으로는 자녀학비지원과 만 6세 미만 아동에 대해 월 5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생업기반을 조성하여 조기 자립 및 생활안정을 이루도록 복지자금을 2천만 원까지 대여하며 무주택인 경우 영구임대주택을 우선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는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를 통해 빈곤 여성가구의 자립과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빈곤 여성가구가 사회적 지원에서 벗어나 있어 이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확대와 더불어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1.3. 여성의 인력개발과 사회참여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3.1. 청년여성 대상 능력개발 취업지원사업
청년여성 대상 능력개발 취업지원사업은 여대생 커리어 개발센터 설치를 통해 여대생뿐만 아니라 지역 중고생 및 고학력 여성 모두가 커리어 개발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과 맨토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여대생 커리어 개발센터를 통해 여성인력 개발과 취업지원에 힘쓰고 있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고 여성의 사회진출을 돕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여성인력 활용을 극대화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청년여성의 역량 강화와 취업 지원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3.2. 경력단절여성 대상 능력개발 및 취업지원사업
경력단절여성 대상 능력개발 및 취업지원사업은 2008년 제정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 촉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태조사, 유망직종 선정 ? 지원, 취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설치해 출산 ? 육아 부담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취업지원을 전담하는 one-stop창구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의 능력개발과 취업지원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여성일자리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이다.
1.3.3.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와 양성평등 구현을 위한 조치들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와 양성평등 구현을 위한 조치들은 다음과 같다.
정부는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와 양성평등 실현을 위해 다양한 조치들을 시행하고 있다. 우선, 정부위원회에 여성 참여를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교원의 지위 향상과 여교수 채용 목표제 추진, 양성평등 채용목표제 등이 그 예이다. 이...
참고 자료
여성학 : 행복한 시작 -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저, 신정, 2014
새 여성학 강의 - 한국여성연구소 저, 동녁, 2005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법여성학 판례연구 - 이병화 저, 에듀컨텐츠, 2013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 - 올랭프 드 구주 저, 박재연 역, 꿈꾼문고, 2019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여성과 일 - 강이수, 신경아 외 1명 저, 동녘, 2015
익명성의 폭력, 사이버불링 / 한희정
두경희(2013). 가해자와의 관계가 사이버 폭력 피해자의 정서와 인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8-75.
매일경제. “`지인 능욕 계정` `카톡 감옥방`…진화하는 학교 왕따폭력”.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191456, (2017.03.21.)
이해춘(2004). 사이버공간에서 공격성이 활성화되는 원인과 그 대응방안에 대한 소고. 학생생활연구, 25, 33-57
정철호(2009). 인터넷상의 명예훼손에 관한 소고. 스포츠와 법, 12(4), 367-394.
조선일보. “'카톡' 집단 언어폭력, 여고생 죽음으로 몰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17/2012081700137.html, (2012.08.18.)
폴인러브. “설마 우리 아이가?? 사이버 불링”.
http://polinlove.tistory.com/12628, (2017.03.23)
폴인러브. “온라인 따돌림, 사이버 불링”.
http://polinlove.tistory.com/11425, (2016.04.28)
(재)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4).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