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물 스토리텔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활 풍수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성심당 분석
1.1. 서론
1.2. 성심당의 생활 풍수 분석
1.3. 성심당의 스토리텔링 분석
1.4. 결론
2.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 분석
2.1. 서론
2.2.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개념 정의
2.3. 스토리텔링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2.4. 스토리텔링 마케팅 성공요인 정리
2.5. 성공적인 스토리텔링 마케팅을 위한 제언
3. 아기 돼지 삼 형제 드라마화 시놉시스
3.1. 기획 의도
3.2. 주요 캐릭터 시놉시스
3.3. 줄거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활 풍수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성심당 분석
1.1. 서론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박을 꿈꾼다. 언제나 비슷한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도 매주 복권을 사며 대박을 꿈꾸기도 하고, 자영업을 하는 사장님들도 대박을 꿈꾼다. 그러나 직장인들은 자신의 일을 바꾸지 않으면 대박을 이루기 어렵지만, 본인의 가게를 가지고 사업을 하는 사장님들은 성실함을 기본으로 하고, 운이 더해진다면 직장인보다는 대박을 칠 수 있는 상황이 올 가능성이 높다. 그리하여 사장님들은 가게를 차릴 때부터 기운이 좋은 개업 날짜를 얻기도 하고, 가게의 위치를 꼼꼼히 살피기도 하며, 인테리어까지도 하나하나 대박의 기운이 있다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것들, 즉 가게가 가진 위치나, 인테리어 등에 대박의 기운을 믿으며 신경쓰는 것은 풍수와 관계가 있다.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다른 사람이 특별히 누리는 대박을 얻기가 쉽지 않기에, 실질적인 노력과 함께 운이 함께 들어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풍수를 믿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1.2. 성심당의 생활 풍수 분석
성심당의 생활 풍수 분석은 성심당이 대박 가게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예로부터 대박 가게에는 풍수지리가 많이 들어있다고 한다. 현재 빵집 매출 1위에 빛나는 성심당은 어떠한 풍수지리적 특징이 있을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현대의 지역적 풍수 지리를 살피기에는 인공적으로 자연을 변화시킨 도시 속 건물들이 많기 때문에, 풍수 지리라고 하면 늘 나오는 배산임수(背山臨水)같은 내용만으로는 그 건물의 풍수적 특징을 알기 어렵다. 따라서 현대에 풍수를 살필 때에는 자연물 뿐만 아니라, 그 건물의 인접한 도로의 위치나 다른 건물들, 또는 건물 자체가 가지는 특징 및 인테리어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성심당의 풍수를 살펴보면, 먼저 성심당 본점의 현관 위치는 큰 도로에서 약간 비스듬히 있다. 그래서 가게에 나쁜 기운이 잘 들어오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건물에 비해 현관이 작기에, 좁은 가게 입구를 들어서면 넓은 가게 내부가 나타난다. 이는 재물 운이 들어와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모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밖에서 안이 잘 보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직접 조명과 간접 조명을 적절히 활용하여 가게 안이 집중되게 하였다. 이처럼 성심당은 도로의 위치, 입구와 내부의 구조, 조명 등에서 대박 가게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성심당의 스토리텔링 분석
성심당의 스토리텔링 분석은 다음과 같다"
성심당은 오랜 역사를 지닌 대전의 대표 향토기업으로, 성심당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기업의 아름다운 이미지를 구축하고 대전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성심당의 역사는 1956년 대전역 앞 작은 찐빵집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대전의 역사와 함께 성장해온 기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성심당은 창업자 임길순 씨의 가난한 이웃을 위한 배려와 나눔의 정신을 스토리로 풀어내고 있다. 임길순 씨는 한국전쟁 당시 거창한 피난길에서 겪은 어려움 끝에 대전에 터를 잡고 성심당을 창업하였는데, 당시 구호물자였던 밀가루로 찐빵을 만들어 팔며 생활을 이어나갔다. 이후에도 남은 빵은 모두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누어주었다는 내용이 성심당의 대표적인 스토리이다.
이러한 창업주의 아름다운 스토리는 성심당의 전통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도 성심당은 당일 생산한 빵 중 남은 빵을 모두 지역 복지시설에 기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10억 원어치에 달할 정도로 큰 규모이다. 이처럼 성심당은 기업의 이윤 창출뿐만 아니라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며 대전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성심당은 임영진 대표가 개발한 '튀김 소보로'로 인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는 성심당이 비록 작은 빵집에서 시작했지만 기술 혁신과 노력 끝에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을 제치고 전국 1위 매출을 달성한 감동적인 성공 스토리이다.
한편 성심당은 2005년 화재로 인한 매장 및 공장 소실이라는 위기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 성심당의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잿더미 회사, 우리가 일으켜 세우자'는 구호를 내걸며 재건에 힘써 5일 만에 부분적 생산을 재개할 수 있었다. 이는 성심당이 단순히 기업이 아닌 '운명 공동체'라는 점을 보여준다. 성심당은 이러한 직원들의 헌신에 보답하기 위해 '인간 경영'을 실천하며 직원들의 복지와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이처럼 성심당은 창업주의 가난한 이웃을 향한 배려, 기술혁신을 통한 성공, 위기에 대한 직원들의 단합과 헌신 등 다양한 감동적인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성심당의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전 시민들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찾아오는 많은 고객들의 사랑과 신뢰를 얻는 데 기여하고 있다."
1.4. 결론
성심당의 성공이야기를 따라가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성심당은 생활 풍수라는 내용 속에서도 대박 가게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생활 풍수를 따라하는 가게는 많고, 이것의 덕을 보는 경우도 많지만, 성심당의 경우에는 생활 풍수가 주는 운도 큰 작용을 하기는 했지만, 그것보다 스토리텔링 속에서 나타난 기업의 가치가 더 많은 성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
사랑, 배려, 창조 등등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기업의 가치로 삼고 경영에 매진하는 기업체는 많다. 하지만, 성심당처럼 초심을 잃지 않고, 그 기업의 가치를 브랜드화시켜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기업은 드물다. 직원...
참고 자료
[논문]
김자성,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성공요인 분석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황민우,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마케팅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애니메이션 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한석진,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효과적인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08
조각현,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광고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연구, 2011
신혜리,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메시지 전략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06
원희수, 「스토리텔링 마케팅 성공요소에 관한 연구」, 아주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08
유희중,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테마파크 조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07
신지원,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IMC전략 사례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06. 30
김윤경, 「스토리텔링 마케팅 유형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왕지현, 「감성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02
[학술지]
박정현, 「상품에 이야기를 담아라」,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소, 2006. 04. 05
허문경, 「스토리텔링 마케팅」, ‘『CERI Entertainment Review Vol. 7』, CERI 엔터테인먼트 연구소, 2007
[보고서]
KOCCA, 「기업심층보고서 월드디즈니」, KOCCA, 2007
곽진민 외 1명, 「브랜드에 생명을 불어넣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DEGIECO HOT ISSUE, KT경제연구소, 2009. 11
양철호, 「전통주의 명가 국순당 성공비결(2)」, EMARS, 2003. 10. 27
[기사]
한국경제<키엘’돌풍ㆍㆍㆍ저가 앞세워 설화수 추월>,’
http://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71364151<ype=1&nid=000&page=52&sid=010405, 2011. 07. 14(접속일자: 2014. 05. 18)
‘뉴스핌<[스토리텔링 경영] 국순당, 건강주 구기 백세주’, http://cn.moneta.co.kr/Service/stock/ShellView.asp?ModuleID=741&LinkID=263&ArticleID=2012041810342201636&stockcode=043650&codeName=%B1%B9%BC%F8%B4%E7 , ‘2012. 04. 08’(접속일자: 2014. 05. 18)
‘뉴시스<국순당백세주마을 남포점 오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4088470, 2011. 09. 20(접속일자: 2014. 05. 18)
[온라인]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06. 1. 30, 국학자료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368&cid=272&categoryId=272(접속일자 : 2014. 05. 0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368&cid=272&categoryId=272(접속일자 : 2014. 05. 01)
http://blog.daum.net/hansuniform/111(접속일자 : 2014. 5. 12. 접속),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olong2&logNo=40155529793&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접속일자 : 2014. 5. 12. 접속)
SK-II홈페이지 : http://www.sk2.co.kr/kr/the-miracle-of-pitera.aspx(접속일자: 2014. 5. 1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ourbaksa&logNo=199589576&beginTime=0&jumpingVid=&from=section&redirect=Log&widgetTypeCall=true(접속일자: 2014. 05. 2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estlife114&logNo=100186759709&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접속일자: 2014. 05. 20)
http://www.seelotus.com/gojeon/oe-kuk/poetry/innisfree.htm(접속일자: 2014. 05. 2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3&aid=0002110836(접속일자: 2014. 05. 21)
http://www.youtube.com/watch?v=HW2ao7V0V0s(접속일자: 2014. 0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