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채무발생 경위
1.1. 결혼과 전세 준비
2017년 지금의 배우자를 만나, 2018년도 12월에 결혼을 약속하며 준비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대출을 통해서 서울대학교 근처에 작은 빌라 집에서 전세를 시작하게 되었다. 국내 은행에서 채무를 통해서 부부가 살 집을 얻었고 이때 처음 채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당시 신혼여행을 가서 지금의 아이를 갖게 되었고, 이듬해 9월 작고 어린 아이를 안에 품을 수 있게 되었다. 아이가 태어나고 나니 앞으로 살 집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없었던 관계로, 주식투자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되었다.
1.2. 주식 투자와 코로나 영향
아이가 태어나던 시기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 여파와 더불어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주식 시장 또한 힘든 상황이었지만 오히려 이때를 기회로 삼아,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자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하게 되었다. 운이 좋은 날은 10퍼센트가 넘는 금액을 벌기도 하였고, 때로는 10퍼센트가 넘는 금액을 잃기도 하였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자신이 하고 있는 주식 투자방법이 합법적이고, 온전한 투자 방법인 줄 알았다. 그러나 손실이 조금씩 불어나면서 이러한 손실을 막기 위해서 대출을 알아보게 되었고, 그렇게 잘못된 투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이다.
1.3. 잘못된 대출과 채무 증가
결혼과 아이 출산 이후 주식 투자에 심취하게 된 저는 점차 투자 손실이 늘어나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잘못된 방법으로 대출을 받게 되었다. 처음에는 이전의 손실만이라도 만회하겠다는 생각으로 대출을 받았지만, 점점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더 많은 대출을 받게 되었다. 주식 투자로 얻은 금액을 실제 돈처럼 여기며 투자를 지속했던 저의 잘못된 인식 때문이었다.
당시 주식 투자에 전념하느라 실제 손실과 부채 증가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것 같다. 주식 매매 과정에서 얻고 잃은 금액들을 "사이버 머니"와 같은 것으로 여기며 부채 증가에 대한 심각성을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