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 기생충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09.26
9,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주거 기생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부의 불평등으로 인한 계층분리와 계층 구조화
2.1. 기생충에서 나타난 부의 불평등과 양극화
2.2. 상류층으로의 계층 간의 선을 넘을 수 있을까. 계층 구조의 고착화

3. 반지하와 대저택, 주거문제에 대하여
3.1. 기택의 반지하와 박사장의 예술적 단독 주택
3.2. 기생충에서 나타난 주거의 차이에서 드러나는 문화와 의식

4. 영화 기생충을 통해 본 양극화 형상화
4.1. 수직으로 구분한 주거 차이
4.2. 언어로 나타난 계급 차이
4.3. 냄새로 풀어낸 빈부 차이

5. 영화 기생충이 해외에서 통한 이유
5.1. 차별
5.2. 혐오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진정으로 평등하고, 평화로운 세계에서 숨 쉬고 있는가? 깊게 생각하기 싫고, 어쩌면 애써 외면했던 사회의 계층을 영화 기생충은 쉬우면서도 불편하게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2019년 개봉된 기생충은 1,031만 명이라는 관객을 동원하며 높은 평점과 입소문으로 한국은 물론 해외의 유명 시상식에서도 상을 받은 작품이다. 개봉 이전부터 흥행보증수표라 불리는 봉준호 감독에, 송강호 그 외에도 여러 유명 연예인들이 출연하여 기대를 끌었지만, 실제 반응은 기대이상이었다. 19년 5월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9명의 심사위원의 만장일치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은 사회비판적인 주제의식을 가지면서도 상업성과 단순하지만 명확한 내용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기생충은 말 그대로 백수인 기택의 아들 기우가 친구의 부탁으로 박사장의 자녀 다혜의 과외선생님이 되고, 기택의 가족들이 박사장의 가정에 위장취업을 하며 스멀스멀 기생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그렇기에 기생충은 오늘날의 부의 불평등과 이로 인한 계층 간의 갈등을 고발한다. 또한, 반지하에서 거주하는 기택의 가족이 상류층 박사장의 대저택에 스멀스멀 기생하는 이야기를 통하여 주거 불평등에 대한 진실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


2. 부의 불평등으로 인한 계층분리와 계층 구조화
2.1. 기생충에서 나타난 부의 불평등과 양극화
2.2. 상류층으로의 계층 간의 선을 넘을 수 있을까. 계층 구조의 고착화

상류층으로의 계층 간의 선 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박사장은 "선을 넘는 사람"을 혐오하며 기택의 냄새가 선을 넘는다고 불평한다. 이는 상층이 하층과 엄격히 분리된 문화를 유지하려는 것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영화에서는 같은 계층 내 공생의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기택의 가족과 문광의 가족 사이에서 동류 간의 폭력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상황에 따라 서로의 관계가 역전되며 계층 내의 공존이 불가능함을 알린다. 이는 무한 경쟁과 능력주의에 내던져진 이들이 자신의 목적과 생존을 위해 동류 간의 폭력을 드러내는 것이며, 공존을 꾀하지 못하고 계층을 다시 나누는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영화는 상류층으로의 선 넘기가 불가능하다고 보여준다. 이미 계층 양극화는 과거로부터 고착화되었으며, 사회에서 계층 양극화는 구조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불가능해진 계층 상승은 일상의 사람들의 의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박사장은 선을 넘는 사람을 혐오하며, 이는 상층이 하층과 엄격히 분리된 문화를 유지하려는 것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나아가 기정이라는 인물을 통해 계층 간의 이동 연결고리가 끊어졌다고 분석된다. 하지만 기정이 살았어도, 죽었어도 그들은 상류층으로의 계층 간의 선을 넘지 못했을 것이다. 그저 상류층을 체험할 수는 있어도.


3. 반지하와 대저택, 주거문제에 대하여
3.1. 기택의 반지하와 박사장의 예술적 단독 주택

기택의 반지하는 햇볕이 들지 않는 습하고 어두운 공간이다. 반지하의 특성상 기택의 가족은 밖의 세상과 분리되어 생활한다. 반면 박사장의 집은 유명 건축가가 지은 예술적인 단독주택으로, 높은 담과 가파른 계단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는 박사장 가족과 기택 가족 사이의 현격한 주거 환경 차이를 보여준다.

박사장의 집은 다송이(박사장의 아들)의 고급 장난감 텐트가 있을 정도로 여유로운 공간이다. 또한 비가 온다고 해서 미세먼지가 없어져 좋아하는 등, 박사장 가족은 외부 환경 변화에도 전혀 불편해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택의 반지하는 큰 비에 잠겨 모든 것을 잃게 된다. 결국 기택 가족은 박사장의 대저택 지하에서 기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류층과 하류층 사이의 엄격한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기택의 가족이 사는 반지하는 햇볕을 ...


참고 자료

김현아 (2020). 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공간과 로컬리티: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21(2), 249-278 *겹낫표는 잡지나 책의 제목에만 사용할 것.
한송희. (2020) 『가난 재현의 정치학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8(1), 5-20』
송상호 (2020). 『봉준호의 시선 탐구 : <기생충> 속 ‘기정의 죽음’을 중심으로.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9(1), 66-71』
육정학 (2020). 『영화 〈기생충〉을 통해 본 가족과 사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정현경 (2020).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 -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 비평문학(75), 7-33』
다음 영화 기생충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11292)
영화 [기생충]줄거리 결말 ‘인간에게 기생하는 인간 기생충’ 해석
(https://blog.naver.com/starfeeling/221803964170 )
탑클래스 서경리 기자. 번역가 - <기생충> 번역가 달시 파켓 “영화 속 캐릭터에 가장 가깝게 표현하는 게 나의 일(2019)”
(https://topclass.chosun.com/board/view.asp?tnu=201907100012)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54760?no=154760)
영화 '기생충' 박사장이 사는 집, 얼마나 할까?|작성자 이춘란대표
(https://blog.naver.com/gaepo-ovest/221556642304)
한겨레 [왜냐면] 수능이 공정하지 않은 이유. 서영권. (2019.10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915174.html#csidx26d84c604d9d04a84e4d7257d07c65b
부의 양극화. [미래뉴스 제공] 박천규(광주여자대학교 실버케어학과 교수)
https://blog.naver.com/s6320898/220920562724
노시훈,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집의 모티프 연구」, 『문학과영상학회논문지』, 21권 2 호, 문학과영상학회, 2020.
오남무, 「봉준호 감독 <기생충>의 공간 서사를 통한 사회 부조리 연구」, 청주대 박사학 위논문, 2021.
육정학, 「영화 <기생충>을 통해 본 가족과 사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이아영, 「영화 <기생충>의 표현성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한국엔터 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정낙현, 「영화 ‘기생충’ 속 공간분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한국문화공간건축 학회, 2020.
정지욱 외 10인, 『기생충 제1장 ‘김영아/ 계급과 사회: 같이 잘 살면 안 될까요?’』, 연 극과인간, 2020.
한송희, 「가난 재현의 정치학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8권 1호, 사답법 인 언론과 사회, 2020.
“눅직한 ‘냄새’에서 느껴지는 가난... ‘기생충’의 잔인한 점”, 오마이뉴스, 2019.06.04.,
, (2020.04.30. 검색.)
권승태(2020), 영화 〈기생충〉의 시각 정체성과 서사 정체성, 문학과영상학회
조규찬(2020), <기생충>에 드러난 자본과 공간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성현(2020), 『[영화로 보는 가정 이야기] 우리가 가족이다 - 영화 : 기생충』, 새가정사
박승원(2020), 영화 《기생충》; 비는 오고야 만다, 노동사회과학연구소
김미희(2020), 영화 〈기생충〉 새 역사를 쓰다, 관훈클럽
조재성(2020), 영화 '기생충'을 보고: 혁명이냐? 건축이냐?, 대한민국도시계획학회
허만섭(2020), 문화자본론 관점에서 본 영화 〈기생충〉 -현대적 아비투스 계급의 발견-,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한송희(2020), 가난 재현의 정치학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