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헤어미래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발 및 두피관리 시장 현황과 전망
1.1. 모발과 두피시장의 현황 및 전망
1.2. 국내 두피 관리 및 탈모시장 규모
1.3. 홈헤어케어의 등장 및 특징
2. 미용 경영자의 역할과 자질
2.1. 미용 경영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 및 요건
2.2. 미용 경영자의 역할
2.3. 이상적인 미용 경영자의 모습
3. 네일아트샵 창업 계획
3.1. 창업동기
3.2. 사업계획서 작성
3.2.1. 창업비용
3.2.2. 차별화 전략
3.2.3. 목표 시장 및 소비자 분석
3.2.4. 경쟁 분석 및 마케팅 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발 및 두피관리 시장 현황과 전망
1.1. 모발과 두피시장의 현황 및 전망
모발과 두피시장의 현황 및 전망은 다음과 같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헤어 케어 시장은 연간 1조1000억원 규모로 2019년 기준 연평균 7%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는 시장규모 1조3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분석가들은 코로나 19 감염증 발생으로 집에서 하는 셀프 헤어 케어가 보편화되면서 셀프 헤어 케어가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으로 집에서 직접 관리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국내외 홈뷰티 시장이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주요 화장품 업체들은 헤어 케어 시장을 겨냥해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업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 헤어 케어 시장은 약 90조원이며 국내 헤어 케어 시장도 연평균 7% 성장하고 있어 연간 1조1000억원 규모로 파악된다. 특히 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미용실 등 외부 시설 이용이 부담스러워지면서 집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는 헤어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각 업체들은 헤어 케어 시장 공략으로 분주하다.
1.2. 국내 두피 관리 및 탈모시장 규모
국내 두피 관리 및 탈모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국내 탈모 환자 수는 2억 3천 628만 명으로 2015년(2억 853만 명) 대비 12% 증가하였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3.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20대(20.8%)가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탈모 치료에 지출된 총 의료비도 198억 원에서 302억 원으로 52% 증가하였다. 한국의 잠재적 탈모 인구는 약 천만 명으로 추산되며, 특히 20~30대에서 탈모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헬스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의 20~30대 탈모관리 제품 매출이 전년 대비 72% 급증하는 등 예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한모발학회는 국내 탈모 관련 의료 및 제품 시장이 약 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처럼 두피관리와 탈모관리에 대한 열망이 증가하면서 두피 케어 산업 또한 급성장하고 있다.
1.3. 홈헤어케어의 등장 및 특징
코로나19 감염증의 확산이 지속되면서 사람들로 붐비는 미용실과 같은 외부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지면서 가정에서 안전하게 모발을 관리할 수 있는 홈 헤어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편안한 기분 전환에 도움이 되는 가정용 헤어 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유례없는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우리의 일상은 크게 변했다. 가끔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 좋아하는 미용실, 네일샵, 피부 미용샵을 가는 일도 많이 줄어들고 있다. 대신 홈스파, 홈살롱, 홈뷰티 등이 주류를 이루면서 뷰티 시장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헤어 전문 브랜드뿐 아니라 코로나19 감염증이 장기화되면서 가정용 헤어 케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혼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방문객이 몰리는 미용실이나 미용실을 찾는 대신 집에서 간단히 머리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G마켓에 따르면 두피·탈모 케어 제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3%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헤어스타일링 제품과 탈모 케어 제품의 매출은 각각 74%, 53% 증가했다. 헤어미스트와 헤어 트리트먼트 매출도 각각 9%,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은 2013년 800억 원에서 2018년 5000억 원으로 성장했으며 2022년에...
참고 자료
김경인. (2018). 홈 두피 케어와 살롱 두피 케어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8(2), 157-169.
김은옥. (2021). 셀프 헤어케어 제품속성이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예술경영연구, 15(1), 1-20.
소자본창업 네일샵 가이드북, 저자 이지영, 출판 유페이퍼, 2020.10.26.
김경은, 정지선, 박은주, 홍수정 공저. 쉽게 하자! 미용경영. 현문사, 2020.
김은숙, 이은우, 최윤정, 김영주, 김은희, 김필순, 김현주, 이명선, 천지연 공저. 미용경영학. 메디시언, 2021.
이상욱 외 공저. 미용경영. 도서출판청람, 2015.
임은진 등저. New 미용경영관리. 가담플러스,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