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워즈워드와 낭만주의 문학
1.1. 워즈워드의 생애와 문학 활동
워즈워드는 영국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시인이다. 그는 1770년 4월 7일 웨스트모어랜드 주 콕커마우스에서 태어났다. 워즈워드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바탕으로 시를 창작했으며, 이를 통해 낭만주의 문학의 지평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워즈워드는 어릴 적부터 자연에 대한 애정이 깊었다. 그는 웨스트모어랜드의 목가적 풍경 속에서 자란 데 큰 영향을 받았다. 윌리엄 워즈워드는 의과대학에 입학했지만 곧 그만두고 네트리 근처에 있는 레브번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이후 그는 프랑스 혁명 발발 당시 프랑스를 방문하여 혁명의 이념에 감화되었다. 하지만 점차 혁명이 폭력적으로 변화하자 실망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자연 회귀주의와 고독한 개인의 내면을 중요하게 여기는 낭만주의 사상을 정립하게 된다.
1798년 코울리지와 공동으로 '서정민요집'을 발간하면서 본격적인 시인 활동을 시작한 워즈워드는 이후 평생에 걸쳐 시 창작에 몰두했다. 그는 1805년 포츠머스에서 마가렛 허친슨과 결혼했고, 이듬해 레이크 지방으로 이사하여 고요하고 평화로운 농촌 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이 시기 그의 대표작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틴턴 사원', '서정민요집', '서정 시집' 등이 그것이다.
워즈워드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간 존재의 근원적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탐색하였다. 특히 어린 시절의 순수한 경험을 소중히 여기며,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보편적인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했던 낭만주의 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의 창작세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와 성장을 거듭했지만, 일관되게 자연과 정신의 조화를 지향했다고 볼 수 있다.
1.2. 자연에 대한 워즈워드의 긍정적 인식
워즈워드는 자연에 대한 깊은 애착과 경외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자연을 순수하고 신성한 것으로 바라보았으며, 자연 속에서 인간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많은 시 중에서 "Rainbow"와 "We are Seven"은 자연에 대한 워즈워드의 긍정적 인식을 잘 보여준다.
"Rainbow" 시에서 화자는 하늘에 나타난 무지개를 보면 가슴이 뛰는데, 이는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지는 경이로운 경험이다. 화자는 자연 현상인 무지개에서 순수하고 소박한 동심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자연에 대한 경건한 태도를 표현한다. 또한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워즈워드는 어린아이가 무한한 상상력을 가지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여겼다. 이는 현실에 얽매여 상상력을 잃어버린 어른들에게 많은 교훈을 줄 수 있다.
"We are Seven" 시에서는 교회 묘지 근처에 살고 있는 어린 소녀와의 대화를 통해 자연에 대한 워즈워드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소녀는 죽은 언니와 오빠를 자신의 가족의 일부로 여기며, 그들의 죽음을 완전히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는 어린아이가 가지고 있는 순수하고 생명력 넘치는 태도를 보여준다. 반면 화자는 소녀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고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려 한다. 이를 통해 워즈워드는 세월이 흐르면서 상상력을 잃어버린 어른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자연과 교감하며 살아가는 삶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워즈워드는 자연을 인간 존재의 본질을 반영하는 신성한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그는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상상력을 통해 현실에 얽매인 인간들에게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촉구했다고 볼 수 있다. 워즈워드의 자연 친화적 세계관은 그의 문학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낭만주의 문학의 핵심 특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3. 상상력과 순수성의 중요성
워즈워드는 상상력과 순수성이 문학의 핵심이라고 믿었다. 그는 신고전주의 문학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낭만주의 문학을 열었다. 워즈워드는 "시라는 것은 강력한 감정이 자발적으로 넘쳐흐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사람들이 실제 사용하는 언어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그의 시에서 드러나는 상상력은 주로 어린 시절의 회상을 통해 표현되었다.
특히 "무지개(Rainbow)"와 "우리는 일곱 명이다(We are Seven)"에서 워즈워드의 상상력과 순수성에 대한 강조가 드러난다. "무지개"에서 화자는 무지개를 보면 가슴이 뛰는 어린아이의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성인이 된 지금에도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워즈워드는 상상력과 순수성이 잃어버리지 않고 오히려 성인이 되어서도 유지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리는 일곱 명이다"에서는 죽은 형제자매를 포함하여 자신이 일곱 명이라고 고집하는 어린 소녀의 모습을 통해, 순수하고 상상력 넘치는 어린아이의 시각이 어른들의 현실 인식보다 더 가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워즈워드는 상상력과 순수성이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고 보았다. 그에게 상상력과 순수성은 현실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1.4. 대표 작품 분석
1.4.1. 무지개(Rainbow)
하늘의 무지개를 볼 때면 내 가슴이 뛴다.
내 삶이 시작될 때 그랬고 성인이 된 지금에도 그러하며, 내가 더 나이 들었을 때도 그러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죽음을 달라고 말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