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충전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09.26
9,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무료충전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 플랫폼
1.1. 비즈니스 모델 제시
1.2. 인도네시아 전기차 산업 시장 환경 분석
1.2.1. 인도네시아 경제 분석
1.2.2.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기차 산업 육성
1.2.3. 인도네시아 정부의 충전 인프라 현황
1.2.4. 민간기업의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례
1.3.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소개
1.4.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운영 전략
1.5. 향후 발전 계획

2. 친환경 자동차 산업 발전 방향
2.1. 친환경 자동차
2.2. 친환경 자동차 시장
2.2.1. 국제 시장
2.2.2. 국내 시장
2.3. 친환경 자동차 보급정책
2.3.1. 국외 친환경 자동차 보급정책
2.3.2. 국내 친환경 자동차 보급정책
2.4. 발전 방향

3. 테슬라 전기자동차
3.1. 제품 선정
3.2. 테슬라 소개
3.3. 테슬라 전기자동차 소개
3.4. 테슬라의 시장성공 요인
3.5. 자동차산업 시장환경분석
3.6. SWOT 분석
3.7. STP 분석
3.8. 4P 전략
3.9. 결론,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 플랫폼
1.1. 비즈니스 모델 제시

전기차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자동차 시장이 침체한 상황에서도 전 세계 전기차 판매 규모가 전년 대비 45% 급증한 294만 3,172대에 달했고, 국내의 경우도 6만 1,193대의 전기차가 판매되면서 전년 대비 46.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되면서 충전소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전기차 주행거리 및 충전 시설의 상대적인 부족은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분산된 특징이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장 안에서 어떤 사업을 내세우고,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중요하다. 이에 나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 플랫폼이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 플랫폼은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스마트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플랫폼 이름은 "kotak pengisian(이하 KP)"(인도네시아어: 충전 박스)이며,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차 충전소 경로 찾기 및 실시간 정보 제공이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이용자의 현위치와 가장 가까운 충전소 위치를 제공하고, 충전소까지의 시간/거리/요금 등을 비교하여 최적의 경로를 제공한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이륜차 이용자 비율이 높기 때문에 이륜차를 위한 맞춤 경로도 제공한다.

둘째, 충전 완료 후 알림 서비스이다. KP는 사용자에게 예상 충전 완료 시점을 알려주고, 충전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준다. 이를 통해 충전 시간 동안 자동차에 머무르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셋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편리한 결제 시스템이다.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자지갑(GO-PAY, OVO, DANA 등)과 연동하여 QR코드, 요금 충전, 포인트 제도 등을 통해 편리한 결제 방식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통해 KP는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플랫폼 내 고객 데이터 확보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광고 수익, 중개 수수료, 유료 서비스 등의 다양한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인도네시아 전기차 산업 시장 환경 분석
1.2.1. 인도네시아 경제 분석

2020년 인도네시아의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은 인도네시아의 GDP가 전년대비 2.1%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1998년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코로나19 대응 정책으로 민간 소비 및 투자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계획에 따르면 올해 적자 재정을 유지해 2021년 정부의 재정 적자 규모가 GDP의 5.7%인 1006조 루피아(약 742억 달러) 규모가 될 것이다. 코로나19 백신 보급, 사회 안전망 구축, 고용 유발 계수가 높은 인프라와 관광 관련 분야 등에 주로 예산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프라 부분은 전년대비 48.4% 증가한 417조 루피아(300억 달러)가 배정돼 내수시장 활성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산업도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면 2020년의 침체에서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2.2.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기차 산업 육성

인도네시아 정부는 공해문제를 해결하면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 2륜 이상의 전기 자동차 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차 및 전기 오토바이 생산량을 늘림으로써 연료 소비를 줄이고 연료의 수입 의존도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전기자동차를 생산함으로써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온실 가스와 관련하여 2030년까지 현재 CO2 배출량의 29%까지 감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조코위 대통령은 2019년 도로 교통을 위한 배터리식 전기자동차 프로그램 촉진법인 대통령령 2019년 제55호를 서명했다. 국내 배터리 산업 육성, 인센티브 제공, 전기차 충전소 제공 및 배터리식 자동차에 대한 전력 요율 규정 설정, 배터리식 전기차의 기술적 법규 준수, 환경 보호 등을 기반으로 대통령령이 이행된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산업 육성 로드맵에 따르면, 2022년부터 전기자동차 생산을 본격 가동하여 2025년 인니 전체 자동차 생산 중 전기자동차 생산 비율이 20%가 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을 유치하고 전기차 구입량을 늘리기 위하여 각종 인센티브를 시행할 예정이다. 자동차에 부과되는 세금 기준이 기존에 차체 및 엔진의 크기였다면, 연료 소비량과 탄소 배출량으로 기준을 변경하여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전기자동차 업체들의 미조립 자동차나 생산 설비 등의 수입관세를 일정 기간 낮추며, 전기자동차 구매자에게 자동차세 인하 및 충전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1.2.3. 인도네시아 정부의 충전 인프라 현황

인도네시아 정부의 충전 인프라 현황이다.

인도네시아 전력공사인 PLN에서 2015년 이래로 전기자동차를 위한 충전소(Stasiun Penyedia Listrik Umum, 이하 SPLU)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자카르타 자체만 하더라도 2016년 8월에 첫 SPLU가 생겼으며, 그 이후 2017년 7월까지 총 542개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소가 세워졌다. 이후 지속적으로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차 관련 각종 혜택을 발표하고, 쇼핑몰 등 공공장소에 충전시설 확대를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LN)의 자이날 아리핀 기술 부사장은 3만1천 개의 전기차 충전소가 쇼핑몰, 마트, 아파트 복합단지 등 주차면이 많은 곳에 들어설 것이며 3분의 1은 수도 자카르타에, 나머지는 술라웨시섬의 마카사르처럼 먼 도시까지 설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1.2.4. 민간기업의 인도네시아 전기차 충전소 구축 사례

현대차가 인도네시아 국영전력공사(PLN)와 현지 전기차 생태계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동남아 최대 차량공유 회사 그랩(Grab), 중국 자동차회사 울링(Wuling), 인도네시아 자동차회사 게짓 모터(Gegit Motor)도 참여한다. 이는 현지 전기차 보급 확대와 이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현대차는 특히 코나, 아이오닉EV 등 전기차를 현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PLN과 함께 현지 충전 인프라 구축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최대 쇼핑몰 운영업체 '리포몰 인도네시아'(LMI)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에 나선다. 쇼핑몰 입지를 활용해 최적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법인(HMID)는 LMI와 전기차 충전소 구축에 관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1개 쇼핑센터에 충전소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LMI가 설치 장소를 제공하면 현대차가 충전소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양사는 유럽 표준 타입2 복합충전시스템(CCS)의 충전 플러그를 사용하는 충전소를 마련할 계획이다. 충전 비용은 무료로 제공된다.

현대차는 현지 전기차 생태계 구축을 위해 투자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는 연내 100곳에 달하는 딜러망을 구축하고 이곳에 충전소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1.3.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소개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인 "kotak pengisian"은 인도네시아 내 전기차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스마트한 전기차 라이프를 제공한다. 우선 스...


참고 자료

융합금융처, 2019.5 “KOSME 산업분석 Report –자동차-”
환경부, 2015.12 “친환경 자동차”
KIAT, “글로벌기술협력기반 육성사업 심층분석 보고서 유럽의 전기자동차 정책 동향”
대한석유협회, 2017.7 “주요국가의 전기자동차 보급정책 및 정책제언”
조귀동, 2020.11.08. [바이든 시대] 전기·수소차에 보조금 지급 약속...친환경차 판매 급증할 듯,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06/2020110602424.html
테슬라 https://www.tesla.com/ko_kr/models
위키백과, 우리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
찰스 모리스, 「테슬라 모터스」, 을유문화사, 2020.05.25.
배진용, 「테슬라 전기자동차」, 더하심, 2017,10.10
최선웅, 테슬라의 스마트 기술 7가지, Appstory, 2016.07
배성주, 김현식, 파괴적 혁신에서의 비기술 혁신의 중요성: 테슬라 자동차
사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5. 04
http://azine.kr/m/_webzine/wz.php?c=71&b=54338&g=
권준상, 남다른 주행성능, 테슬라“모델3” 퍼포먼스, PAXNetnews, 2020.04.14.
https://paxnetnews.com/articles/5946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