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과 중요성이 매우 크다. 최근 국내 제왕절개 분만율은 40%를 넘어서 WHO 권고 수준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이 높은 이유는 반복 수술의 증가와 고령산모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제왕절개 분만은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도가 2배 이상 크며, 마취 후유증과 감염, 출혈 등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제왕절개로 출생한 신생아들은 면역력이 떨어지고 알레르기나 비만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에는 단점이 많지만 최근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제왕절개 산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왕절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왕절개 산모를 위한 적절한 간호 문제를 도출하여 해결함으로써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2021년 9월 27일부터 10월 1일까지 입원한 산모 김○○이며, 해당 기간 동안 EMR, lab sheet, 간호 기록지, medications, injections 등을 관찰하여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왕절개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과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왕절개 수술의 증가 추세와 함께 제왕절개 산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실제 사례를 통해 제왕절개 분만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제왕절개를 하는 산모에게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를 도출하여 해결함으로써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제왕절개 분만
2.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및 원인
2.1.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제왕절개 분만은 임신자궁을 절개하여 인공적으로 성숙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용어는 독일어 "카이저슈니트(Kaiserschnitt)"의 직역이며, 어원은 라틴어 "섹티오 카이사레아(sectio caesarea)"에서 유래한다. 이 라틴어 명칭은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가 복벽절개를 통해 태어났다는 설과 "벤다(caesarea)", 즉 임신자궁을 절개한다는 뜻의 중복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나 태아의 안전을 위해 자연분만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주로 시행하는 수술 방법이다."
2.1.2. 제왕절개 분만의 원인
제왕절개 분만의 주요 원인은 크게 모체 측 요인과 태아 측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모체 측 요인으로는 첫째, 난산이다"".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 부전 등으로 인해 난산이 발생할 경우 제왕절개가 필요하다""." 둘째, 모체의 질병이다"".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 모체의 질병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를 선택할 수 있다"". 셋째, 중증 감염이다"". 음부포진(herpes simplex virus II형), 활동성 병소 등의 중증 감염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를 통해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넷째,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했거나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는 경우이다"". 이전 수술 흔적으로 인해 위험성이 높아 제왕절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섯째,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이다"". 마지막으로 35세 이상의 노초산부나 오랜 불임 산부의 경우에도 제왕절개를 선택할 수 있다"".
태아 측 요인으로는 첫째, 태아 질식이다"". 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등으로 인한 태아 질식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를 선택한다"". 둘째, 태위 이상이다"". 둔위, 횡위 등 태아의 선진부 이상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가 필요하다"". 셋째, 다태아이다"". 특히 다태아 중 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제왕절개를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태아가 너무 커서 골반을 빠져나오지 못할 때도 제왕절개가 필요하다"".
2.2. 제왕절개 분만의 장단점
제왕절개 분만의 장점은 첫째, 출산 시간이 짧아 아기가 진통 중 위험에 처했을 때 빨리 아기를 꺼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자연분만을 시도하는 것보다 안전하다. 셋째, 회음부나 질이 늘어나지 않아 요실금이 덜 생긴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첫째, 한 번 제왕절개를 했으면 계속 제왕절개를 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것이다. 둘째, 일반 수술과 같이 약 2~3일은 통증으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며 산후 회복이 느리다는 것이다. 셋째, 입원기간과 비용에 있어 자연분만보다 더 많이 든다는 것이다. 넷째, 수술 부위의 상처가 남는다는 것이다. 다섯째, 수술 후 장과 자궁이 유착되거나 자궁선근종 등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2.3. 제왕절개 분만 수술 전 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