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본 연구는 호흡기 질환 중 하나인 흉막 삼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호흡기내과는 숨을 쉬는 기관지와 폐 및 그 장기에 생길 수 있는 감기, 폐렴, 결핵, 천식 등의 여러 질환을 진료하고 연구하는 분과이다. 실습 중인 병동에는 고령의 대상자들이 많아 한 가지 질환이 아닌 여러 가지 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번 실습에서 '흉막 삼출'이라는 진단명을 접하게 되었고, 이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2. 흉막 삼출(Pleural effusion)의 정의와 원인
2.1. 정의
흉막 삼출은 폐의 흉막에서 체액 성분이 스며 나오는 삼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정상인의 경우 벽 쪽 흉막에 있는 모세 혈관에서 흉막 안쪽으로 소량의 체액이 일정하게 생성되어 들어가지만,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는 질환이나 체액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질환이 발생하면 흉막 삼출 증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흉막 삼출은 원인 질환에 의하여 흉막에서 흡수되는 체액보다 생성되는 체액이 많아질 때 발생한다""
2.2. 원인
2.2.1. 누출성 흉막 삼출
누출성 흉막 삼출은 울혈성 심부전증, 간경변, 신증후군 등의 질환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는 질환이나 체액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질환이 발생하면 흉막 삼출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정상인의 경우 벽쪽 흉막의 모세혈관에서 일정하게 소량의 체액이 흉막 안으로 생성되어 들어가지만, 이러한 체액의 생성이 많아지거나 체액의 흡수가 감소하면 흉막 삼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누출성 흉막 삼출은 체순환의 정수압 증가, 모세혈관 삼투압의 감소,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림프계 기능 장애 등의 기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즉, 울혈성 심부전증의 경우 혈관 내 액체의 증가로 인해 모세혈관압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수분이 벽쪽 흉막으로 나오게 되고, 간경변이나 신증후군 등의 경우에는 혈액 내 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감소로 인해 혈관 내 삼투압이 감소하여 수분이 혈관에서 간질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면 단백질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삼출성 흉막 삼출을 초래할 수 있으며, 림프계의 기능 장애로 인해 보상 기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체액이 축적되어 흉막 삼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누출성 흉막 삼출은 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등의 질환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체액의 생성 증가와 흡수 감소의 기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2.2. 삼출성 흉막 삼출
삼출성 흉막 삼출은 염증 반응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암, 폐렴, 결핵 등이 있다. 암성 흉수의 경우 폐암, 유방암, 임파종 등이 흔한 원인이 된다. 그 외에도 교원성 질환, 기생충 질환, 바이러스성 폐렴, 복부 질환에 의한 이차적 흉수 및 외상에 의한 혈흉 등이 삼출성 흉막 삼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삼출성 흉막 삼출은 염증, 감염, 악성 종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3. 증상
3.1. 가슴 통증
가슴 통증은 흉막 삼출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흉막 삼출 환자들은 가슴의 통증을 "칼로 찌르는 듯하다", "결린다" 또는 "담이 온 거 같다"와 같이 표현한다. 이러한 통증은 염증이 있는 흉막 근처의 부위에서 느껴지며, 깊은 숨을 들이쉬거나, 기침을 하거나, 또는 가슴을 움직일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이는 흉막 염증이나 흉막 삼출에 의한 폐 압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흉막 삼출 환자의 경우 통증 관리가 중요한 간호중재 중 하나이다""
3.2. 마른 기침
흉막 삼출로 인한 마른 기침은 염증반응이나 흉수에 의한 폐압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흉막 삼출 환자들은 마른 기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흉막의 염증으로 인해 기침 반사가 민감해지거나, 흉수로 인해 폐가 압박되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마른 기침은 객담 배출이 없는 특징이 있으며, 통증이나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흉막 삼출로 인한 폐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3. 호흡곤란
호흡곤란은 대상자가 고통스럽게 호흡하는 증상으로, 흉막 삼출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흉막 삼출이 많이 고이면 폐를 압박하기 때문에 숨찬 증상이 생기게 된다. 또한 통증 때문에 깊은 숨을 쉬지 못해 얕고 빠른 호흡을 보이기도 한다. 대상자는 "가슴이 답답하다", "돌이 있는 것처럼 무겁다", "저린다" 등의 증상을 표현하였다. 이는 흉막 삼출로 인한 폐기능 저하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감염으로 인해 흉막 삼출이 생긴 경우에는 발열, 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