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환경, 사회문화적 영향, 대중매체, 빈곤, 종교적 신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
1.2. 생태학적 체계이론
2.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2.1. 미시체계
2.2. 중간체계
2.3. 외체계
2.4. 거시체계
2.5. 시간체계
3. 브론펜브레너 이론에 대한 평가
3.1. 의의
3.2. 한계
4. 브론펜브레너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은 인간의 발달에 생태학을 적용한 이론이다. 브론펜브레너는 "인간 발달 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이를 하나의 학문적 관점으로 체계화하였다. 이에 따르면, 인간 발달 생태학은 성장하는 인간 유기체와 그가 살고 있는 변화하는 환경 사이에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점진적인 상호적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상호적응 과정은 즉각적인 장면뿐만 아니라 그 장면들이 끼여 있는 더 큰 사회적 맥락 안에서 또는 그것들 사이에서 생겨나는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브론펜브레너는 인간 발달을 인간이 자신의 환경을 지각하고 다루는 방식에서의 지속적 변화라고 정의하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전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발달하는 개인을 단순히 환경의 영향을 받는 백지상태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재구성하는 존재인 성장하는 역동적인 실체로 간주한다. 둘째, 환경도 상호 조절 과정을 요구하면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은 상호 호혜성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셋째, 생태 체계적 환경의 개념은 개인이 직접 참여하는 장면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라 개인이 속하지 않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오는 영향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은 인간과 환경이 분리될 수 없으며, 서로 형성하고 적응하는 호혜적 관계에 있다는 총체적 인간관을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환경적 요구에 적응하며 때로는 환경을 자신의 요구에 맞게 수정 또는 변화시킴으로써 발달해 가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1.2. 생태학적 체계이론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발달의 과정에서 개인이 자신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맥락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한다는 관점을 담고 있다. 브론펜브레너는 개인을 단순히 환경의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보지 않고, 환경을 재구성하는 역동적인 실체로 간주한다.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은 상호 호혜성의 특성을 가지며, 개인이 직접 참여하는 장면뿐만 아니라 개인이 속하지 않은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영향까지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의 5가지 환경체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미시체계는 개인이 직접 접촉하는 물리적 환경으로, 가정, 학교, 또래집단과 같은 체계를 의미한다. 중간체계는 미시체계들 간의 상호관계를 의미하며, 부모-교사의 관계, 형제관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외체계는 개인이 직접 참여하지 않지만 개인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을 말하며, 부모의 직장, 지역사회 기관 등이 포함된다. 거시체계는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에 포함된 모든 요소에 더해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적 환경까지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시간체계는 개인의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와 사회역사적인 환경을 의미한다.
이처럼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맥락들을 고려하여 발달과정을 설...
참고 자료
서진환 외 편역(Malcolm Payne), 현대사회복지실천이론, 나남출판, 2001.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이윤상, 오윤성 공저, 다락방 서원, 2000
국회도서관 : http://www.nanet.go.kr/main/index2.jsp
국가지식포털 : https://www.knowledge.go.kr/main.jsp
보건사회부, 부건사회백서, 1993.
최성재,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송태은(2018). 생태체계 이론에 근거한 유아그림책 특징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수진(2023). 청소년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활용 미술과 수업지도안 개발-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관점 적용 모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s://m.blog.naver.com/amorfati21love_jx/221154988890 브론펜브레너 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https://m.blog.naver.com/wndtla9/221259563955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
(논문_동국대학교_2018) 학교 생태체계 환경 변인이 중3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김희경, 김성훈
이인정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2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https://youtu.be/kuWSpvf-Q4g 백석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강의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