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센터 시설 만들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동복지
2.1. 아동복지의 정의 및 중요성
2.2.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
2.3.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보호
3. 지역아동센터
3.1. 지역아동센터의 개념 및 목적
3.2. 지역아동센터의 이용대상 및 서비스
3.3.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및 활동
4. 기타 아동복지시설
4.1. 아동양육시설
4.2. 아동일시보호시설
4.3. 아동보호치료시설
4.4. 공동생활가정(그룹홈)
4.5. 자립지원시설
4.6. 아동상담소
4.7. 아동전용시설
4.8. 아동보호전문기관
4.9. 가정위탁지원센터
4.10. 아동권리보장원
4.11. 자립지원전담기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견인할 중요한 인적자원이기 때문에 거시 사회는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을 통해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고, 그들이 건강한 상태로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영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아동복지의 중요성은 매우 높기에 아동복지는 사회에서 기능하는 사회복지 시스템 중에서도 그 인프라가 매우 촘촘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사회복지 인력은 클라이언트가 아동일 경우를 대비하여 아동복지에 관련된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나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량에 필요한 이론과 실천기술들을 지난 '아동복지정책' 교과과정을 통해 학습한 바 있고 그중에서도 한국에 존재하는 아동복지시설과 지역아동센터에 깊은 인상을 받은 바 있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아동복지시설에 관련된 유형과 세부 사항을 알아보고, 지역아동센터에 대해 더욱 자세히 기술해보도록 하겠다.
2. 아동복지
2.1. 아동복지의 정의 및 중요성
아동복지란 우리 사회에서 아동이 보다 편안하고 건강한 상태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의 하위 분야로서, 아동이 인격체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갖추고 성장할 수 있도록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아동복지가 지니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아동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중요한 인적자원이기 때문에, 그들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는 아동복지 서비스와 인프라의 질적 수준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기본적 발달 요소에 저해를 받고 있는 가정 및 지역사회 내 아동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들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보호와 지원이 아동복지의 핵심 대상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와 지자체,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가 아동의 권익과 복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통해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아동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전체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2.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은 크게 세 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첫째, 모든 아동이 자신이나 부모의 성별, 연령, 종교, 신분, 재산, 지역 등에 있어서 어떠한 차별도 받지 않고 완전하면서도 조화로운 발달을 위하여 안정된 가정에서 자라나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아동의 모든 활동에 있어서 아동의 이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아동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자체가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야 하며, 아동의 보호자도 가정 내에서 아동의 성장 단계에 맞는 양육과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국민들이 아동의 권익과 안전을 존중하고 건강한 양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아동복지의 기본 이념이라 할 수 있다."
2.3.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보호
요보호 아동에 대한 보호는 아동복지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다. 요보호 아동이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되어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 또는 보호자로부터 학대를 당하는 등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아동을 말한다. 이러한 요보호 아동에 대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아동 보호와 양육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첫째, 입양과 가정위탁제도를 통해 요보호 아동의 가정 보호를 강화한다. 입양은 요보호 아동에게 영구적인 가정을 제공하고, 가정위탁은 일시적 또는 단기적으로 가정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요보호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둘째, 요보호 아동을 위한 다양한 시설보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동양육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등 요보호 아동의 특성과 보호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시설에 입소시켜 보호와 양육,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동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개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요보호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한다.
셋째, 요보호 아동의 자립 지원을 강화한다. 시설 보호나 가정위탁에서 벗어나 사회에 진출할 때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립지원시설을 운영하고, 취업 준비와 주거, 생활비 지원 등 종합적인 자립 지원 ...
참고 자료
참여연대,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황클의 이야기>,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1621328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129&cntntsId=1105
두드림,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https://www.ddc.go.kr/ddc/contents.do?key=445
보건복지부, 2019,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임정기, 박현선, 정익중, 2015, <지역아동센터 운영자의 인식을 통해 본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7, No. 2, pp. 285-310
천인필, 「지역아동센터의 아동복지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광명시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8.
정구애, 「아동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아동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관한 연구-지역아동센터의 운영실태를 지역아동센터의 운영실태를 중심으로ꠓ」,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