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학과 정신분석 새미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김현승의 생애
2.1. 작가의 생애
2.2. 작품 분석
3. 윤동주의 생애
3.1. 작가의 생애
3.2. 작품 분석
4. 기형도의 생애
4.1. 작가의 생애
4.2. 작품 분석
5. 허만하의 생애
5.1. 작가의 생애
5.2. 작품 분석
6. 황동규의 생애
6.1. 작가의 생애
6.2. 작품 분석
7. 문헌 연구 방법론
7.1. 영화 플롯 속의 시간에 관하여
7.2. 에서 나타난 시간의 '분절적 양상'에 관하여
7.3. 에서 나타나는 시간의'융합적 양상'에 관하여
7.4. 에서 나타나는 시간의 '비선형적 양상'에 관하여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시간에 대한 욕구는 다양한 창작물로 대변되어져 왔다. 과거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 절대적 위치에 있는 저자(author)에게 가장 강력한 만족감을 주던 요소 또한 그들이 소설 속의 서사(narrative)에서 '자신만의 시간을 정립할 때'였다. 이는 결국 플롯(plot)이라는 개념을 탄생시켰는데 플롯이란 단순 스토리(stroy)를 넘어서서 작품 내에 고유하게 존재하는 질서로써, 작품을 보다 매력 있고 유별한 것으로 정립하게 도왔다. 결국 서사는 세이모어 채트맨(Seymour Chatman)의 재정립에 따라 추가된 '시간적이고 인과론적인 경로에 따라 연결 된 일련의 사건들'이라는 개념을 지니게 되고 그 안에서 '플롯'의 기능 또한 극대화 되었다.
현대 대중문화 중 시간과 그 의미가 인접한 것은 바로 영화 일 것이다. 재현의 속성을 띄는 영화는 '시간'이란 개념이 녹아든 창작물의 대표 격이다. 영화 상영 시간 동안 관람객들은 영상물에게서 현재진행형의 시간을 감지하게 되고 이는 영화의 독특한 시간적 지위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파리에서 처음으로 유료관객들에게 영화를 상영했을 때, 을 처음 관람한 관객들이 자신을 향해 달려오는 기차를 보고 너무나도 놀란 나머지 극장 밖으로 뛰쳐나갔다고 하는 일화가 있다.
때문에 창작자가 아니더라도, 허구인 영상을 실제처럼 받아들이는 관람객에 의해, 하나의 사건이 마무리되면 끝나야 하는 주인공의 시간이 일반인들의 시간과 동등하게 연장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는 속편, 2편, n편을 창작하는 '시리즈물'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주인공의 태초의 시간을 관람자, 창작자 모두가 원하기 시작하며 '프리퀄(prequel)'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인간과 영화 간의 관계에서 시간의 우위를 점하고 싶어 하는 노력들은 결국 하나의 작품을 다중으로 늘렸고 이는 점차 한 필름에 표현하고 싶은 모든 시간을 녹여내는 방식으로 변모해갔다. 표현하고 싶은 시간 전부를 담는 편집 법은 위의 문학의 플롯이라는 개념과 유사한 목적의식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플롯의 다양성이 허용되기 시작한 뒤 영화에서 시간을 표현하는 방식은 보다 다양해졌다. 단순히 영화 (2007)처럼 장면 및 분위기 전환을 통해 1초의 컷으로 몇 개월을 뛰어넘을 수도 있고 영화 (1994)의 도입부처럼 극중 등장인물의 대사 한 줄을 통해 수 백 년을 뛰어넘길 수 도 있다. 국내 영화 중 2016년 개봉작 또한 하우스 호러물의 장르의 활용하여 미래가 과거의 시간에 틈입하는 다차원적인 세계관을 펼쳐놓는다.
복잡한 플롯이 적용 된 시공개념은 , , 와 같은 현대적 작품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현대 영화에 빠져서는 안 될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 , 의 분석을 통해 플롯의 적용이 시간의 측면에서 보이는 양상과 효과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2. 김현승의 생애
2.1. 작가의 생애
김현승(1913~1975)은 호는 다형(茶兄), 남풍(南風)이며 전남 공주 출생이다. 부친을 따라 평양으로 가면서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시「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신들」이 양주동의 인정을 받아 동아일보에 발표되면서(1934) 문단에 데뷔하게 되었다. 이어서「아침」,「황혼」(중앙일보, 1935)을 발표하였으나, 이후 10여 년간 일제에 타협을 거부하여 절필하고 해방이 되고 3, 4년이 지나서 다시 시작활동을 시작했다. 1937년 평양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광복 후 초기작으로 「내일」(1949), 이어 「동면(冬眠)」(1950)을 발표하였으며, 1951년 조선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그 밖에도「내가 가난할 때」(1954),「김현승시초」(1957), 1958년에「독신자」,「낭만평야」, 「희망」등을 계속 발표하였으며, 「옹호자의 노래」(1958), 1964년에는「출발의 문을 열고」,「무한의 찬」을 발표했고, 1968년에 『견고한 고독』, 1970년에 『절대고독』, 1972년『한국현대시해설』등을 출간했다. 1973년에는 시집 『절대고독』으로 서울시 문화상을 받았으며, 1975년 62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2.2. 작품 분석
김현승의 '고독' 시는 자신의 시 세계의 생성적 움직임의 원초적이고도 가장 중요한 양상이 '상실', '사라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김현승은 상실되는 것, 사라지는 것을 노래하는데, 이는 그의 시 세계의 주된 특성이다. 그가 좋아하는 가을, 안개, 눈물, 지평선, 어둠, 저녁, 밤, 그늘 등의 이미지들은 사라짐이라는 그의 시 세계의 생성적 움직임에 통일적으로 수렴된다.
또한 그의 시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고독이다. 지상적인 것이 사라짐의 인식과, 그에 따른 신에의 지향은 청교도적인 윤리 의식과 하나를 이루고 있다. 그의 고독은 사회적인 현실로서의 고독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의 사회 비판적인 면모를 그의 윤리 의식과 연결시켜 해결할 수 있다.윤동주의 '자화상' 시는 동심의 공간인 우물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는 작품이다. 우물 속에 비치는 모습은 순수한 동심의 공간에서 존재하기에는 너무나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성인의 모습이다. 일제하의 질곡 속에서 더욱 무능한 모습일 수밖에 없는 자신에 대한 미움과 연민의 정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바로 우물이다.
이 시에서 우물의 이미지는 자아 성찰과 관련되고, 그것을 통해 얻는 것은 부끄러움이다. 윤동주의 시가 한국 현대시에서 보기 드문 우수한 시로 평가될 수 있는 이유는 치열한 시 정신에 기인한 것이며, 그 시의 정신은 윤동주 특유의 서정성과 결부되어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했기 때문이다.
3. 윤동주의 생애
3.1. 작가의 생애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북간도 명동촌에서 교원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는 북간도로 이주하여 황무지를 개척하고 기독교 장로가 되었으며, 윤동주 또한 세례를 받고 신자가 되었다. 근실함과 관유함, 온유함과 치밀함은 그의 물려받은 성품이었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1년 간 중국인관립학교에서 수학한 후 1932년 은진 중학교에 입학했다. 3학년을 마칠 즈음 고국에 유학하고자 평양 숭실 중학교에 전 입학하였으나 신사참배 문제로 광명 중학교에 4학년으로 전 입학한다. 이때부터 "동주"라는 이름으로 동시 「병아리 빗자루」등을 발표하였다.
연희 전문학교 문과에 입학, 1941년 12월에 졸업하면서 자서전 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간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필사본을 후배 정병욱에게 주어 그의 사후 1948년 정음사에서 유고집으로 발간되어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42년 동경 입교대학 영문과에 입학 가을에 동지사대학 영문과에 편입학 1943년 7월 귀향길 오르기 직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가 사상불온과 독립운동 등의 죄명으로 2년형의 언도를 받고 구주 복강형무소에서 복역 중 1945년 2월16일, 해방 6개월 전에 옥중 병환으로 사망하였다.
윤동주의 생애를 볼 때 그의 애국정신이나 독립사상은 의심할여지가 없으며, 그러한 투철한 정신은 모두 그의 시 정신에서 나왔다고 보여 진다.
3.2. 작품 분석
허만하의 시는 관념시, Platonic Poetry라 할 수 있는데, 그는 언제나 이데아의 세계로 눈이 가 있다. 그가 세밀한 관찰 끝에 포착한 질료(質料)의 저편, 노장적으로 말하면 무(無)라고 이름 붙일 수 없는 세계에 대한 짙은 향수를 깔...
참고 자료
권순용, 『한국대표시인전50 1권』,중앙일보사,1995.
기형도, 『기형도전집』,문학과지성사,1999.
김상우, 『현대시 이해와 감상』,청송출판사,1988.
김영현, 『대표 시 대표 평론 2』,실천문학,2000.
김춘수, 『김춘수 사색사화집』,현대문학,2002.
김효중, 『한국 현대시의 향연』,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출판부, 1999.
박덕규, 『시인열전』,청동거울,2001.
송하선, 『한국 현대시 이해와 감상』,선일문화사,1992.
신용협, 『한국 현대시 연구』,새미출판사,1994.
윤일주, 「선백의 생애」『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1980.
이영섭, 『한국 현대시 형성 연구』2000,국학자료원.
장도준, 『우리 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태학사,1996.
정현종 외,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작품집』,중앙 M&B,2002
정효구, 『시 읽는 기쁨』,작가정신,2001.
조남익, 『한국현대시해설 하』,미래문화사,1993.
최동호, 『한국명시 하』,한길사,1996.
허만하, 『비는 수직으로 서서 죽는다』,솔,1999.
홍윤기, 『한국 현대시 이해와 감상』,한림출판사,1991.
1> 1992「T. S Eliot의 詩와 思想」 金良洙 저 -한신문화사-
2> 1996「영미시의 이해」 권의무, 이광운 편저 -형설출판사-
3> 2001「T. S 엘리엇 인간과 문학」 이창배 저 -동국대학교 출판부-
4> 1991「김기림 문학 硏究」 정순진 저 -국학자료원-
5> 1997「김기림 모더니즘과 詩의 길」 김용직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6> 1999. 1「김기림」 정순진 저 -새미-
조남현, “서사”, 2018.06.10, 『문학비평용어사전』에서 재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278&cid=41799&categoryId=41800
조남현, “스토리”, 2018.06.10, 『문학비평용어사전』에서 재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367&cid=41799&categoryId=41800
박문각, “프리퀄”, 2018.06.10,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20789&cid=43667&categoryId=43667
황진미, 시간 위의 집’, 다차원 시공개념을 체험하고 싶다면, 엔터미디어, 2017.04.14.
http://www.entermedia.co.kr/news/news_view.html?idx=6392
위키백과, 「2017년 미국의 주말 흥행 1위 영화 목록」, 위키백과, 2018.06.10.,
https://ko.wikipedia.org/wiki/2017년_미국의_주말_흥행_1위_영화_목록.
전헌상, “운동과 시간의 영원성”, 2018.06.10, 아리스토텔레스『형이상학』(해제)에서 재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91626&cid=41908&categoryId=41942
이영돈, “연속성”, 2018.06.10, 『영상콘텐츠제작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50839&cid=58190&categoryId=58190
이용배, “초기 영화(1893~1930”, 2018.06.10, 『애니메이션의 장르와 역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2012&cid=42630&categoryId=42630
오원환. 「드라마 시그널>의 서사적 시간성과 극적 긴장의 조성에 관한 분석」,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2016, 187-221쪽.
신철하, 「영화서사에서의 시간 ― 메멘토와 박하사탕 ―」, 『한민족문화연구』 제39집, 2012.02.28, 441~487쪽.
이형숙,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간다>의 자기반영성 연구」, 『문학과 영상』, 2013.12, 1129-1153쪽.
임대희, 「영화의 비선형성 비서사적 스토리텔링 연구 - 나비효과>,엣지 오브 투모로우>의 다중분기구조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25권 0호, 2016, 355-366쪽.
김민중, 「현대영화에 나타나는 비선형적 사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02, 17-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