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변별적 자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변별적 자질의 개념
1.1. 변별적 자질의 정의
1.2. 변별적 자질의 특성
1.3. 변별적 자질의 구성
2. 변별적 자질의 종류
2.1. 주요 분류 자질
2.2. 자음 분류 자질
2.2.1. 조음 위치 자질
2.2.2. 조음 방법 자질
2.3. 모음 분류 자질
3. 변별적 자질과 잉여성
3.1. 분절 잉여성
3.2. 배열 잉여성
4. 변별적 자질의 이론적 문제
4.1. 변별적 자질의 선택
4.2. 변별적 자질 값의 해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변별적 자질의 개념
1.1. 변별적 자질의 정의
변별적 자질이란 "소리(음소)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징들 가운데 음들을 서로 구별시켜주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 'ㄱ'과 'ㅋ'을 구별시켜 주는 유기성, 'ㄴ'과 'ㄷ'을 구별시켜 주는 비음성 등이 변별적 자질의 한 예이다. 이러한 변별적 자질은 음소를 이루는 음성적 특징을 바탕으로 음소를 더 작게 쪼개어 표시한 단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변별적 자질의 특성
변별적 자질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별적 자질은 "소리를 구분해 준다"는 의미의 "변별적"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때의 소리는 음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변별적 자질은 음소의 자격을 가지는 소리들을 서로 구별해 준다. 따라서 단순한 변이음의 차이를 구별하는 데에만 쓰이는 자질은 변별적 자질이라고 보기 어렵다. 대표적인 예로 국어에서 "[유성성]" 자질은 성대 울림과 관련된 자질이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이에 의해 구분되는 음소 쌍이 없어 변별적 자질로 볼 수 없다"이다.
둘째, 변별적 자질은 기본적으로 이분법적인 특징을 지닌다. 즉, 하나의 변별적 자질은 그 자질을 가진 부류와 그렇지 않은 부류만을 구별할 뿐, 제3의 부류를 가리킬 수는 없다. 이에 따라 N개의 변별적 자질이 결합하면 2^N개의 음소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변별적 자질은 음성학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음향적이고 청각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말하는 쪽보다는 듣는 쪽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변별적 자질은 음소를 구성하는 더 작은 단위로서, 소리를 구분하고 음소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1.3. 변별적 자질의 구성
변별적 자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음소를 이루는 여러 가지 음성적 특징들 중 음소들을 구분하는 데 필수적인 자질들을 선별하여 변별적 자질로 정의한다" 이러한 변별적 자질들은 음소를 더욱 작은 단위로 세분화하여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한 음소는 이러한 변별적 자질들의 묶음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변별적 자질은 '+' 또는 '-'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자음 'ㅁ'은 [+비음성], [+전방성], [-설정성] 등의 변별적 자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변별적 자질들의 조합을 통해 음소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며, 이는 음운론적 분석에 유용하다""
2. 변별적 자질의 종류
2.1. 주요 분류 자질
주요 분류 자질은 분절음, 즉 음소에 속하는 자음, 모음, 반모음을 구분하는데 쓰인다. 자음, 모음, 반모음의 세 부류를 구별하는 데에는 두 개의 변별적 자질이 필요하다. 이 변별적 자...
참고 자료
1.영어의 음성음운발음, 한신 문화사, 배양서, 1984
2.영어음운론 , 한신 문화사 , 김영석, 1996
3.영어음운론의 기초, 한국 문화사, 이영길, 1996
4.현대 영어 음성학, 학문사, 김태한, 1984
5.영어학 개론, 문창사, 황보근, 1999
6.인터넷: http://www.chosun.ac.kr/~ongmi/teaching/phonology/pho7-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