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강박장애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강박장애 사례
1.1. 대상자 일반정보
1.2. 개인력 및 과거력
1.3. 현병력

2. 간호과정 적용
2.1. 간호진단 #1. 강박행동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2.1.1. 간호목표
2.1.2. 간호계획 및 수행
2.1.3. 이론적 근거
2.2. 간호진단 #2. 강박사고와 관련된 불안
2.2.1. 간호목표
2.2.2. 간호계획 및 수행
2.2.3. 이론적 근거
2.3. 간호진단 #3. 강박행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2.3.1. 간호목표
2.3.2. 간호계획 및 수행
2.3.3. 이론적 근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강박장애 사례
1.1. 대상자 일반정보

대상자는 27세 여성으로 천주교를 믿으며, 현재는 주부 생활을 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보제공자 본인과 남편이 직업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수입원이 남편뿐이며 한달 용돈이 100만원이다. 주거형태는 자가 아파트이다. 결혼한 지 2년이 되었으나 아직 자녀가 없는 상태이다.


1.2. 개인력 및 과거력

대상자는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직업을 가진 부모 밑에서 자란 27세의 기혼여성이다. 2년 전에 결혼을 했으나 아직 아이가 없고 약 9년 전부터 반복적으로 손을 씻는 행동이 시작되었다. 하루에 몇 차례씩 샤워를 했으며, 작년부터는 잠들기 전과 외출 시에 300번 이상 문이 잠겼는지 확인하였다. 몇 개월 전부터 대상자의 이러한 행동은 더욱 심해졌다. 대상자는 최근 들어 상자, 잡지, 플라스틱 병들을 버리지 않고 모아두었으며, 이런 물건들 때문에 집은 엉망이 되었고, 결국 집 안을 자유롭게 다닐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1.3. 현병력

대상자는 남편과 함께 지역의 정신건강센터를 방문하였다. 정신보건간호사가 전반적 사정을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하려고 하자 먼저 손을 씻어야 한다며 밖으로 나갔다. 간호사가 손을 보자 너무 씻어 피부가 헐고 빨갛게 되어 있었다. "제가 보기에 손이 너무 빨갛게 된 것 같아 걱정이 되는데요" 라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제가 손을 너무 많이 씻어서 그런 것 같아요. 이렇게까지 손을 씻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지만, 손 씻기를 멈출 수가 없어요"라고 대답했다. 남편은 간호사에게 아내가 매일 손을 자주 씻고, 자주 샤워를 하고, 지나치게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느라 다른 일을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건강상 다른 문제는 없다고 하였다. 남편은 "요즘에는 부부관계도 거의 못합니다. 문이 잠겼는지 확인하느라 잠자리에 들지도 못합니다. 억지로 붙잡아 두어야할지 어떻게 할지 잘 모르겠어요"라고 걱정하였다. 간호사는 남편에게 보호자 대기실에서 기다리도록 요청했다. 대상자는 자신이 물건들을 잘 버리지 않아 남편이 화를 낸다고 말했다. 그리고 "방에는 내가 쌓아 둔 물건들로 가득 차 버렸어요. 이제는 침대로 걸어 가는 것도 어려워요."라고 덧붙였다.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혹시 어떤 원치 않는 생각들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나요?"라고 질문하자, "맞아요. 누군가가 나와 남편을 다치게 할까봐 두려워요. 세균 때문에 나와 남편이 병들고 아프게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성당 미사 중에 통제력을 잃고 옷을 벗을까봐 두렵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손을 씻는 것과 샤워하는 것, 문을 확인하는 것, 미사 중에 침투적인 사고가 생기는 등의 원인을 생각해보았는지 물었다. 대상자는 대학교 때 유부남과 잠깐 동안 사귀었는데, 이것을 숨기면서 드는 죄책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은 것이 현재 자신의 증상 원인이 된 것 같다고 하였다. 간호사는 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센터를 방문하는 마음건강주치의에게 의뢰하였다.


2. 간호과정 적용

강박장애 대상자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강박행동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에 대한 간호진단을 세웠다. 이를 위해 수집된 주관적 자료에는 "아내가 매일 손을 자주 씻고, 자주 샤워를 하고, 지나치게 문이 잠겨있는지 확인하느라 다른 일을 못할 정도다." (남편), "문이 잠겼는지 확인하느라 잠자리에 들지도 못합니다." (남편), "방에는 내가 쌓아 둔 물건들로 가득 차 버렸어요. 이제는 침대로 걸어 가는 것도 어려워요." (대상자)가 포함되었다. 객관적 자료에는 피부가 헐고 빨갛게 되어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단기 간호목표는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본인에게 알맞은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을 3가지 이상 말한다."와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효과적인 대처 전략에 대해 2가지 이상 말한다."이었다. 장기 간호목표는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현재 하고 있는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와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잠에 잘 드는 모습을 보인다."였다.

간호계획은 1)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간호를 통해 신뢰를 주고 라포를 형성한다, 2) 대상자에게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정신적, 신체적 활동을 격려한다, 3) 대상자가 본인의 감정과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불안할 때 이완 요법을 하도록 격려한다, 5)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지모임을 안내해주고 참석을 격려한다 등이었다.

간호수행으로는 1) 의료진과의 신뢰감, 라포 형성으로 대상자의 고립감과 외로움을 감소시켰고, 2) 우울, 불안이 있는 대상자에게 외...


참고 자료

정신건강간호학(2017). 수문사. 한금선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 수정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학술자료: 『강박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2017).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일중 외.
http://kjp-clinical.org/xml/12275/12275.pdf
김희숙 외 (2019),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5판』, 서울: 현문사
도복늠 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서울: 정담미디어
MEG CULANICK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강박장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7&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2021.03.04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 「강박장애」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psychiatry/disease/view.asp?con_no=20235 , 2021.03.04
Betty K. Richardson 저. 사례로 배우는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6.
Margaret Jordan Halter 저.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1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