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방사선 혈관조영술(Radiologic Angiography)
1.1. 정의 및 특징
방사선 혈관조영술(radiologic angiography)은 장기 혹은 조직에 분포하는 동맥, 정맥, 임파선의 크기, 형태 및 폐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검사할 혈관이나 맥관계에 요오드화 조영제를 주사한 후 빠르고 연속적인 X선 촬영을 하여 영상을 얻는 검사이다. 관상동맥조영술, 대동맥조영술, 림프관조영술 등이 있다. 혈관 조영을 위해 사용되는 조영제는 심한 알레르기, 아낙필락시스 쇼크 등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소생술을 즉각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응급장비를 준비해야 한다.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검사이며 부작용이나 생명의 위협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동의서가 필요하다. 모든 혈관조영술은 엄격한 무균상황 하에서 시행된다.
1.2. 합병증
혈관조영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천자 부위 출혈 시 수혈이나 수술이 필요할 만큼 심각할 수 있다. 조영제 부작용으로 오심, 두드러기, 심장허탈, 호흡부전이 있을 수 있다. 조영제나 해조류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는 조영술 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여 부작용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둘째, 신 질환, 당뇨, 다발성 골수종, 탈수된 환자에게 조영제를 투여할 경우 신독성으로 인해 신부전증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절한 수분 공급과 조영제 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혈전성 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통증, 발적, 카테터 삽입 부위의 종창, 말초맥박의 변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넷째, 카테터 삽입 부위의 감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증, 종창, 배액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하고 온열치료를 할 수 있다.
다섯째, 카테터 삽입 부위의 과다출혈이나 혈종 형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잘 관찰하고, 필요 시 압박 드레싱과 얼음주머니 적용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이처럼 혈관조영술은 침습적인 검사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합병증 예방과 신속한 대처를 위해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와 환자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
2. 심장 혈관조영술(Cardiac Angiography)
2.1. 정의 및 적응증
심장 혈관조영술(cardiac angiography)은 심장, 대혈관, 관상동맥 등을 검사하기 위한 혈관 촬영술이다. 심장 판막증,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등 질병 진단 및 병태 파악과 대동맥의 이상, 허혈성 심장 기능 평가에 유용하며 혈전용해제 주입, 좁아진 혈관에 풍선이나 스텐트 삽입과 같은 치료의 목적으로 시행한다. 혈관의 상태, 막힌 혈관의 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