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분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상기 환자는 임박한 진통과 병원에 언제 갈 것인지를 어떻게 알게 될지 걱정하고 있으며, 진통에 대해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또한 주변 친구들을 통해 진통에 대한 '공포'에 대한 경험을 들어서 통증을 매우 두려워하고 있다. 더불어 진통과 출산에 대하여 많이 궁금해 하고 있지만 이전에 산전 교육을 받지 않았다. 정상 분만을 원하고 있으나 정맥주사 맞는 것도 두려워하고 있다""
1.1.2. 객관적 자료
입원경위에 따르면 상기 대상자는 IUP 39 +2wks의 초산모로 새벽 1시 이슬이 비췄고 새벽 2시경부터 labor pain이 5-6분에서 8-9분으로 강해져 분만을 위해 내원하였다"".
산과력은 G1 P0 L0 A0이며, 체중은 임신 전 47kg에서 입원 시 56kg으로 증가하였다"".
자궁 수축은 80mmHg 이상, 간격은 3분, 지속시간은 30초로 측정되었다"". 자궁 저 높이는 33cm, 태아 심음은 135회/분, 선진부는 두정위, 자궁 경관 거상은 90%, 개대는 3.5cm, 태아 하강 정도는 -2로 확인되었다"".
현재 활력징후를 살펴보면, 혈압은 120/80mmHg에서 130/80mmHg 사이를 유지하였고, 체온은 36.7도로 정상 소견을 보였다"".
이와 같이 산모의 객관적 사정 결과 임신 주수, 자궁 수축 정도, 자궁 경관 상태, 태아 상태 등 분만 과정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2. 간호 진단
1.2.1. 정의
간호 진단의 정의란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인지적 정보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대상자가 분만 과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 부족은 산모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분만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1.3. 간호 목표
1.3.1.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현재 분만 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한다. 분만 과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상자가 안심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예상치 못한 분만 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적절한 대처와 협력을 통해 원활한 분만을 도와 산모와 태아 모두의 안녕을 확보할 수 있다.
1.3.2.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현재 분만 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한다고 표현한다.대상자는 분만 종료 전까지 힘주기, 호흡법을 적용하여 원활한 분만을 한다. 분만 과정에서 대상자가 힘주기와 호흡법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편안한 분만을 하고 정상적인 진행을 돕는다. 힘주기와 호흡법은 분만 시 통증 완화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 필수적이므로 이를 숙지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1.4. 진단적 계획 및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및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현재 분만 진행 정도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예측할 수 없는 분만 진행과 발생으로 산모의 불안과 통증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확한 교육을 위해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의 분만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교육의 시발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교육을 위해 대상자의 지식정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대상자가 과거에 알고 있던 정보와 관련하여 잘못된 해석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지식은 불완전한 생각을 수정하는데 도움이 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