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간과제물 생활과학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패션디자인 목표와 미적 범주 분석
1.1. 패션디자인의 이성적 목표 - 맞음새
1.2. 패션디자인의 사회심리적 목표 - 합목적성
1.3. 복식미의 미적 범주 분석
1.3.1. 우아 - Preen by Thornton Bregazzi
1.3.2. 골계 - Dolce & Gabbana
1.3.3. 우미 - Michael Kors
2. 한국사의 이해
2.1. 연보 쓰기
2.2. 자서전의 한 단락 쓰기
3. 세계의 정치와 경제
3.1. 초국적기업이란?
3.2. 한국에서 활동하는 초국적기업과 그 영향
3.2.1. 삼성
3.2.2. 현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패션디자인 목표와 미적 범주 분석
1.1. 패션디자인의 이성적 목표 - 맞음새
우선 '맞음새'는 옷의 크기나 형태가 입는 착용자의 인체에 얼마나 잘 맞는지를 의미한다. 옷의 형태가 인체의 3차원 형태에 적당한 여유분을 포함해 적합하게 보이고 동작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옷을 입고 벗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설계된 형태 적합성과 동작 적합성의 복합적 개념으로 의복을 구입할 때 우선시 되는 점검 항목 중 하나이다.
의류 매장에서 구매할 때 본인의 신체 치수에 적합한 사이즈를 선택하고, 팔을 움직여보거나 지퍼를 채웠을 때 여유분이 있는지, 모자를 썼을 때 이상 없는지 등 동작의 편안한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모스판청바지의 경우에도 추위 차단의 기능과 함께 스판 소재로 인한 움직임의 편안함을 고려했다.
이처럼 의복의 맞음새는 인체의 3차원 형태와 동작에 적합한 디자인으로,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편안함의 정도가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계절과 용도에 맞는 의복을 선택할 때는 추위에 대한 보호와 함께 동작의 편안함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패션디자인의 사회심리적 목표 - 합목적성
패션디자인의 사회심리적 목표 중 "합목적성 중 착용상황"은 의복이 착용되는 시간, 장소, 상황에 맞게 적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의복마다 적합한 T.P.O.-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가 있기 때문에 실제 착용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사회적으로 적합하게 받아들여지는 형태를 선택해야 한다.
합목적성은 사회적 규범의 지배를 받기에 격식을 갖춘 복장인 정장 또는 포멀웨어와 격식을 차리지 않은 복장인 평상복 또는 캐주얼로 구분된다. 선택한 덕다운패딩점퍼와 기모스판청바지는 캐주얼 복장에 해당하는데, 캐주얼웨어는 규범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기 좋고 편안한 것이 특징이다.
이 옷을 구입할 때는 겨울철 친구들과의 여행과 퇴근 후 또는 주말 외출 시 입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했다. 따라서 화려한 컬러나 기하학적인 패턴을 피하고 베이지 계열의 편안한 디자인을 선택했다. 함께하는 여행 친구들이 불편한 시선을 느낄 수 있는 복장은 입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추운 겨울철 바닷가 여행지에 적합하도록 방한 기능과 활동성이 좋은 소재와 디자인을 고려했다.
이처럼 착용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사회적으로 적합하고 상황에 맞는 옷을 선택한 것은 패션디자인의 사회심리적 목표 중 "합목적성"을 달성했다고 볼 수 있다.
1.3. 복식미의 미적 범주 분석
1.3.1. 우아 - Preen by Thornton Bregazzi
우아미(雅美)는 수수하고 격식 있는 아름다움을 뜻한다. 우아미가 잘 드러나는 Preen by Thornton Bregazzi 2021 S/S 컬렉션은 과잉된 장식이나 극단적인 표현이 없이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곡선미를 보여준다. 특히 화려한 꽃무늬에 러플과 프릴 장식이 가미되어 18세기 로코코 양식을 연상시키며, 이를 통해 유연하고 아름다운 곡선미가 드러난다. 이러한 디자인적 특성으로 인해 이 작품은 무의식적이고 무의지적인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우아한 미적 효과를 발휘한다. 관찰자로 하여금 특별한 법칙이나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느낌을 주며, 단순히 아름답다는 흡인력 있는 미적 체험을 제공한다.
1.3.2. 골계 - Dolce & Gabbana
골계는 의외성과 관련된 희극적인 느낌이 포함되어 유희적인 요소가 느껴지면서도 의외성이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Dolce & Gabbana의 2021 S/S 컬렉션에서 이러한 골계의 미적 범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Dolce & Gabbana의 2021 S/S 컬렉션은 과장된 느낌의 알록달록한 컬러와 기하학적 무늬를 패치워크한 키치한 느낌이 특징이다. 이는 어릿광대를 연상시키는데, 이러한 아이러니하고 유머러스한 분위기가 골계미를 잘 드러내고 있다.
Dolce & Gabbana 디자인은 의외성과 관련된 희극적인 느낌을 잘 보여준다. 일반적인 고급스러운 패션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그로 인해 기존의 패션 규범을 벗어나 새로운 즐거움을 준다. 이는 관람자로 하여금 놀라움과 웃음을 자아내며, 일상적이고 관습적인 미의식에서 벗어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종합적으로 Dolce & Gabbana의 2021 S/S 컬렉션은 과장된 디자인과 키치한 스타일링을 통해 골계미를 잘 구현해내고 있다. 이를 통해 관람자에게 유희적이면서도 의외성 넘치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3. 우미 - Michael Kors
우미(優美)는 고요함이나 심오함의 정신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엘레강스한 느낌과 더불어 장식적인 측면과 절제적인 측면을 포괄하...
참고 자료
한국사의 이해 교재
급발진 사고로 아내와 두 아들 잃은 가장의 ‘나홀로 4년 투쟁기’, 시사저널, 2020년 10월 29일,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799 (2021.04.22 접속)
세계화 시대 초국적기업의 실체, 동아일보, 2009년 10월 7일,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60901/8346141/1 (2021.04.22.접속)
초국적 기업의 횡포, 16개국 모여 회의하다, 오마이뉴스, 2015년 11월 14일,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60286(2021.04.22.접속)
초국적기업, 시사경제용어사전, 기획재정부, 2017
초국적기업,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 2006
"8천만원짜리 경운기 현대차 GV80"…잇단 논란에 소비자 분통, UPI뉴스, 2020년 6월 3일,
http://www.upinews.kr/newsView/upi202006030058 (2021.04.22.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