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가회계 5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제조원가의 개념
2.1. 원가의 정의
2.2. 원가의 분류
3. 제조원가의 구성요소
3.1. 직접재료원가
3.2. 직접노무원가
3.3. 제조간접원가
4. 제조원가의 흐름
4.1. 재공품 계정의 역할
4.2. 제품계정과 매출원가
5. 제조원가명세서 작성
5.1. 제조원가명세서의 정의와 목적
5.2. 제조원가명세서 작성 과정
6. 제조원가의 회계처리 절차
6.1. 재료원가 처리
6.2. 노무원가 처리
6.3. 제조간접원가 처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제품의 제조를 위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소비한 일체의 경제가치의 합계액을 제조원가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원가라고 표현할 때는 이 제조원가를 가리키는 것인데 이것은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할 수 있고 직접비용과 간접비용으로 구분 가능하다. 회계처리절차는 제조원가의 계산과 제품 가격 측정에 중요하다. 제조원가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모든 비용들을 적절하게 분류 후 제조원가를 기반으로 제품가격을 측정하는 단계에서는 제조원가에 적절한 이익을 더한 후에 가격을 정한다. 제조기업의 이러한 회계처리 절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기업의 제조원가의 개념과 흐름을 알아보려고 한다.
2. 제조원가의 개념
2.1. 원가의 정의
원가(COST)는 제품의 생산에 투입된 경제적 가치를 화폐액으로 측정한 것이다. 생산에 투입된 원가를 정확히 측정하고 원가보고의 대상이 되는 것을 원가대상이라고 하며, 원가대상은 제품 이외에도 활동, 부문, 공정, 프로젝트 등이 될 수 있다. 원가는 지출원가(outlay costs)와 기회원가(opportunitiy costs)로 나눌 수 있는데, 지출원가는 희생되는 경제적 자원을 이익획득에 지급된 현금지출액으로 측정한 원가이며, 기회원가는 특정 용도에 경제적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포기된 최대의 공헌금액이다. 원가에는 미소멸원가와 소멸원가가 존재하는데 미소멸원가는 회계처리에서의 자산이며, 소멸원가는 회계처리에서 수익창출을 위해 소비된 원가를 비용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원가계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원가개념은 지출 원가이고, 의사결정 목적을 위한 특수원가조사에서 사용되는 것은 기회 원가 개념이다.
2.2. 원가의 분류
원가는 생산에 투입된 경제적 가치를 화폐액으로 측정한 것이다. 원가는 지출원가와 기회원가로 나눌 수 있다. 지출원가는 희생되는 경제적 자원을 이익획득에 지급된 현금지출액으로 측정한 원가이며, 기회원가는 특정 용도에 경제적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포기된 최대의 공헌금액이다.
또한 원가에는 미소멸원가와 소멸원가가 존재하는데, 미소멸원가는 회계처리에서의 자산이며 소멸원가는 회계처리에서 수익창출을 위해 소비된 원가를 비용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원가계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원가개념은 지출원가이고, 의사결정 목적을 위한 특수원가조사에서 사용되는 것은 기회원가 개념이다.
원가는 생산에 투입된 원가계산상의 개념이고, 비용은 수익창출을 위해 지출된 경제적 가치로 손익계산서상의 개념이다. 제품원가는 판매 시점에서 수익에 대응하는 비용으로 전환되므로 원가와 비용은 기업의 경영활동에 따른 구분이다. 최종적으로 매출에 대응되어 이익을 산출하는 자료가 된다."
3. 제조원가의 구성요소
3.1. 직접재료원가
직접재료원가는 제품제조에 직접 투입되는 재료의 원가로,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재료원가이다. 재료는...
참고 자료
임세진, 「 CPA 원가관리회계 (제5판) 」, 파란, 2017
영화조세통람「세무 회계 용어사전개정7판」, 영화조세통람
위더스 평생교육원 「원가관리회계I」 교안, 2014
cpa 원가관리회계 제5판 - 임세진 / 출판사 - (도)란파
DAUM, 백과사전 ‘재공품’
임세진, 「 CPA 원가관리회계 (제5판) 」, 파란, 2017, p.44~54